우리나라는 노인 인구의 급증으로 인해 실질적인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고 있다. 그로 인해 사회 전반에 걸친 다양한 영역에서 문제점이 나타나는데, 노인의 소득감소, 빈곤, 독거노인 증가, 자녀의 부양 회피 등으로 노인들의 우울과 불안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원예치료에 기반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우울과 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차적으로 선행연구 및 문헌 조사를 통해 원예치료에 기반한 REBT 집단프로그램을 구성하였고, 다음으로 D 시 소재의 노인시설기관 입소 노인 중 연구 참여 의사를 밝히고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K-MMSE~2) 평가에서 18점 이상(경증치매 노인 ~ 정상군)을 획득한 10명의 노인을 집단프로그램 참여자로 선정, 프로그램 전후의 우울, 불안 수준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원예치료에 기반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내용구성은 선행연구 및 문헌 조사를 기초로 연구자가 구성하였다. 구성한 프로그램은 10년 이상 임상경험을 가진 원예치료사 3인과 REBT 집단상담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완성되었다. 참가집단은 원예치료에 기반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주 1회, 회당 60분 총 8회기에 걸쳐 실시하였고, 한국판 단축형 노인우울척도(GDSSF-K)와 한국판 노인불안척도(K-GAI)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시작 전·후 우울과 불안 수준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
우리나라는 노인 인구의 급증으로 인해 실질적인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고 있다. 그로 인해 사회 전반에 걸친 다양한 영역에서 문제점이 나타나는데, 노인의 소득감소, 빈곤, 독거노인 증가, 자녀의 부양 회피 등으로 노인들의 우울과 불안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원예치료에 기반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우울과 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차적으로 선행연구 및 문헌 조사를 통해 원예치료에 기반한 REBT 집단프로그램을 구성하였고, 다음으로 D 시 소재의 노인시설기관 입소 노인 중 연구 참여 의사를 밝히고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K-MMSE~2) 평가에서 18점 이상(경증치매 노인 ~ 정상군)을 획득한 10명의 노인을 집단프로그램 참여자로 선정, 프로그램 전후의 우울, 불안 수준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원예치료에 기반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내용구성은 선행연구 및 문헌 조사를 기초로 연구자가 구성하였다. 구성한 프로그램은 10년 이상 임상경험을 가진 원예치료사 3인과 REBT 집단상담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완성되었다. 참가집단은 원예치료에 기반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주 1회, 회당 60분 총 8회기에 걸쳐 실시하였고, 한국판 단축형 노인우울척도(GDSSF-K)와 한국판 노인불안척도(K-GAI)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시작 전·후 우울과 불안 수준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2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먼저 실험 전 Shapiro-Wilk test로 정규성 검토를 실시하여 정규성 가정을 충족하는지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개발된 치료 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우울과 불안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변화를 독립표본 t-test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참여군의 우울 수준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불안 수준의 변화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원예치료에 기반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노년기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우울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원예활동은 언어 기반의 전통적인 상담에 비해 노인 참가자들의 주의를 집중시키고 원예와 관련된 신체활동에 참여함으로써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동기를 높이고 활력을 되찾아가는 좋은 경험으로 평가되었다. 이를 통해 노인 대상의 원예치료에 기반한 인지 치료적 개입의 효과성을 기대해 볼 수 있으며 특히 고령으로 인해 인지 활동에 제한이 있는 노인들에게 심리치료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추는데 매우 효과적인 개입 전략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 된다.
우리나라는 노인 인구의 급증으로 인해 실질적인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고 있다. 그로 인해 사회 전반에 걸친 다양한 영역에서 문제점이 나타나는데, 노인의 소득감소, 빈곤, 독거노인 증가, 자녀의 부양 회피 등으로 노인들의 우울과 불안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원예치료에 기반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우울과 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차적으로 선행연구 및 문헌 조사를 통해 원예치료에 기반한 REBT 집단프로그램을 구성하였고, 다음으로 D 시 소재의 노인시설기관 입소 노인 중 연구 참여 의사를 밝히고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K-MMSE~2) 평가에서 18점 이상(경증치매 노인 ~ 정상군)을 획득한 10명의 노인을 집단프로그램 참여자로 선정, 프로그램 전후의 우울, 불안 수준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원예치료에 기반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내용구성은 선행연구 및 문헌 조사를 기초로 연구자가 구성하였다. 구성한 프로그램은 10년 이상 임상경험을 가진 원예치료사 3인과 REBT 집단상담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완성되었다. 참가집단은 원예치료에 기반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주 1회, 회당 60분 총 8회기에 걸쳐 실시하였고, 한국판 단축형 노인우울척도(GDSSF-K)와 한국판 노인불안척도(K-GAI)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시작 전·후 우울과 불안 수준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2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먼저 실험 전 Shapiro-Wilk test로 정규성 검토를 실시하여 정규성 가정을 충족하는지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개발된 치료 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우울과 불안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변화를 독립표본 t-test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참여군의 우울 수준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불안 수준의 변화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원예치료에 기반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노년기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우울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원예활동은 언어 기반의 전통적인 상담에 비해 노인 참가자들의 주의를 집중시키고 원예와 관련된 신체활동에 참여함으로써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동기를 높이고 활력을 되찾아가는 좋은 경험으로 평가되었다. 이를 통해 노인 대상의 원예치료에 기반한 인지 치료적 개입의 효과성을 기대해 볼 수 있으며 특히 고령으로 인해 인지 활동에 제한이 있는 노인들에게 심리치료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추는데 매우 효과적인 개입 전략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 된다.
Korea is facing a substantial aging society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As a result, problems appear in various areas throughout society. Depression and anxiety of the elderly are increasing due to a decrease in income of the elderly, poverty, an increase in...
Korea is facing a substantial aging society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As a result, problems appear in various areas throughout society. Depression and anxiety of the elderly are increasing due to a decrease in income of the elderly, poverty, an increase in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avoidance of child sup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horticultural treatment on the reduction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the elderly. To this end, a REBT group program based on horticultural treatment was constructed primarily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surveys. Then, 10 elderly people who obtained 18 points or more (mild dementia elderly ~ normal group) in the Korean version of the Simplified Mental Health Test (K-MMSE~2) were selected as group program participants, and changes in depression and anxiety levels were examin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content composition of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horticultural treatment was composed by researcher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surveys. The configured program was completed with the advice of three horticultural therapists with more than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and also with the REBT group counseling experts. The participating group conducted a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horticultural treatment once a week, 60 minutes per episode, and the level of depression and anxiety was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using the Korean shortening elderly depression scale GDSF-K and the Korean elderly anxiety scale (K-GAI). The data analysis of this study used the SPSS 28.0 statistical program. First, a normality review was conducted with a Shapiro-Wilk test before the experiment to confirm that the normality assumption was satisfied. Next,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 developed treatment program has affected the reduction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the elderly,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investiga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evel of depression in the participating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but the change in anxiety level was not significant. Through the results,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horticultural treatment seems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eduction of depression that lowers the quality of life at an old age. In particular, compared to the traditional language-based counseling, horticultural activities allowed the elderly participants to focus and increase their motivation to participate, and therefore the program was evaluated as a good experience for them to become revitalized again. Through this,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therapy intervention based on horticultural treatment for the elderly can be expected, especially, expecting the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y to lower entry barriers to psychotherapy for the elderly with limited cognitive activity.
Korea is facing a substantial aging society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As a result, problems appear in various areas throughout society. Depression and anxiety of the elderly are increasing due to a decrease in income of the elderly, poverty, an increase in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avoidance of child sup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horticultural treatment on the reduction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the elderly. To this end, a REBT group program based on horticultural treatment was constructed primarily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surveys. Then, 10 elderly people who obtained 18 points or more (mild dementia elderly ~ normal group) in the Korean version of the Simplified Mental Health Test (K-MMSE~2) were selected as group program participants, and changes in depression and anxiety levels were examin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content composition of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horticultural treatment was composed by researcher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surveys. The configured program was completed with the advice of three horticultural therapists with more than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and also with the REBT group counseling experts. The participating group conducted a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horticultural treatment once a week, 60 minutes per episode, and the level of depression and anxiety was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using the Korean shortening elderly depression scale GDSF-K and the Korean elderly anxiety scale (K-GAI). The data analysis of this study used the SPSS 28.0 statistical program. First, a normality review was conducted with a Shapiro-Wilk test before the experiment to confirm that the normality assumption was satisfied. Next,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 developed treatment program has affected the reduction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the elderly,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investiga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evel of depression in the participating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but the change in anxiety level was not significant. Through the results,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horticultural treatment seems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eduction of depression that lowers the quality of life at an old age. In particular, compared to the traditional language-based counseling, horticultural activities allowed the elderly participants to focus and increase their motivation to participate, and therefore the program was evaluated as a good experience for them to become revitalized again. Through this,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therapy intervention based on horticultural treatment for the elderly can be expected, especially, expecting the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y to lower entry barriers to psychotherapy for the elderly with limited cognitive activi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