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유아의 몸을 바라보는 교사(나)의 변화과정과 즉흥연주로서의 교육과정 실행 The Teacher's (my) Perspective Transformation of Children's Body and its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as Improvisation원문보기
본 연구는 교사(나)가 유아의 몸을 바라보며 변화되는 다양한 생각과 경험을 바탕으로 즉흥연주로서의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과정을 탐구한다. 이에 따라 교사(나)가 유아의 몸을 바라보며 시선이 어떻게 바뀌었으며, 교육과정을 즉흥연주로서 실행하는 과정을 보여주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교사(나)가 유아의 몸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며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과정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자기연구와 사례연구를 사용하였다. 총 연구기간은 2021년 3월부터 2022년 2월까지이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몸을 바라보는 교사(나)의 변화과정에서 교사(나)가 가지고 있던 오래된 고정관념과 습관이 유아의 몸을 새롭게 바라보기 시작하면서 균열이 생기고 딜레마에 빠지기 시작했다. 또한, 기존에 몸에 대한 이분법적 구도를 해체하려고 노력하며 유아들은 몸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고 다양한 경험을 몸으로 습득하고 표현하는 것을 보며 교실에서 교사가 가지고 있는 권력을 내려놓는 시도를 하였다. 교사가 탈권력을 시도할 때 유아들은 상호 교류하며 자연스러운 몸성이 나오며 그 과정에서 안전에 대한 고민과 갈등이 있지만 유아를 믿고 그들의 다양한 시도를 인정하고 지켜봐주기 시작하며 유아에게 귀 기울이며 경청의 ...
본 연구는 교사(나)가 유아의 몸을 바라보며 변화되는 다양한 생각과 경험을 바탕으로 즉흥연주로서의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과정을 탐구한다. 이에 따라 교사(나)가 유아의 몸을 바라보며 시선이 어떻게 바뀌었으며, 교육과정을 즉흥연주로서 실행하는 과정을 보여주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교사(나)가 유아의 몸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며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과정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자기연구와 사례연구를 사용하였다. 총 연구기간은 2021년 3월부터 2022년 2월까지이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몸을 바라보는 교사(나)의 변화과정에서 교사(나)가 가지고 있던 오래된 고정관념과 습관이 유아의 몸을 새롭게 바라보기 시작하면서 균열이 생기고 딜레마에 빠지기 시작했다. 또한, 기존에 몸에 대한 이분법적 구도를 해체하려고 노력하며 유아들은 몸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고 다양한 경험을 몸으로 습득하고 표현하는 것을 보며 교실에서 교사가 가지고 있는 권력을 내려놓는 시도를 하였다. 교사가 탈권력을 시도할 때 유아들은 상호 교류하며 자연스러운 몸성이 나오며 그 과정에서 안전에 대한 고민과 갈등이 있지만 유아를 믿고 그들의 다양한 시도를 인정하고 지켜봐주기 시작하며 유아에게 귀 기울이며 경청의 페다고지를 실천하게 된다. 둘째, 즉흥연주로서의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교사(나)는 놀이중심, 유아중심의 교육과정 속에서도 여전히 기존의 교사가 주도하는 교육과정, 계획을 세우고 교사가 개입하는 교육과정에서 벗어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그런 과정에서 즉흥과 계획이 뒤엉킨 교육과정이 생성되기도 하고 여전히 벗어나기를 시도하며 유아들의 흥미를 확장시키기도 하고 흥미를 떨어트리기도 하는 경험을 하며 즉흥연주로서의 교육과정을 실행하기 위해 발버둥치는 과정이 담겨있다. 이를 토대로 논의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몸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고 해석할 수 있는 교사되기, 둘째,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수 있는 교사되기, 셋째, 교육학적 성찰(pedagogical reflection)을 실천하는 교사되기로 논의하였다. 이는 현장의 교사들이 유아의 몸을 기존에 보던 방식에서 벗어나 새롭게 다시 볼 것을 제안하며 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즉흥연주로서 교육과정을 실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교사(나)가 유아의 몸을 바라보며 변화되는 다양한 생각과 경험을 바탕으로 즉흥연주로서의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과정을 탐구한다. 이에 따라 교사(나)가 유아의 몸을 바라보며 시선이 어떻게 바뀌었으며, 교육과정을 즉흥연주로서 실행하는 과정을 보여주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교사(나)가 유아의 몸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며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과정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자기연구와 사례연구를 사용하였다. 총 연구기간은 2021년 3월부터 2022년 2월까지이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몸을 바라보는 교사(나)의 변화과정에서 교사(나)가 가지고 있던 오래된 고정관념과 습관이 유아의 몸을 새롭게 바라보기 시작하면서 균열이 생기고 딜레마에 빠지기 시작했다. 또한, 기존에 몸에 대한 이분법적 구도를 해체하려고 노력하며 유아들은 몸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고 다양한 경험을 몸으로 습득하고 표현하는 것을 보며 교실에서 교사가 가지고 있는 권력을 내려놓는 시도를 하였다. 교사가 탈권력을 시도할 때 유아들은 상호 교류하며 자연스러운 몸성이 나오며 그 과정에서 안전에 대한 고민과 갈등이 있지만 유아를 믿고 그들의 다양한 시도를 인정하고 지켜봐주기 시작하며 유아에게 귀 기울이며 경청의 페다고지를 실천하게 된다. 둘째, 즉흥연주로서의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교사(나)는 놀이중심, 유아중심의 교육과정 속에서도 여전히 기존의 교사가 주도하는 교육과정, 계획을 세우고 교사가 개입하는 교육과정에서 벗어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그런 과정에서 즉흥과 계획이 뒤엉킨 교육과정이 생성되기도 하고 여전히 벗어나기를 시도하며 유아들의 흥미를 확장시키기도 하고 흥미를 떨어트리기도 하는 경험을 하며 즉흥연주로서의 교육과정을 실행하기 위해 발버둥치는 과정이 담겨있다. 이를 토대로 논의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몸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고 해석할 수 있는 교사되기, 둘째,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수 있는 교사되기, 셋째, 교육학적 성찰(pedagogical reflection)을 실천하는 교사되기로 논의하였다. 이는 현장의 교사들이 유아의 몸을 기존에 보던 방식에서 벗어나 새롭게 다시 볼 것을 제안하며 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즉흥연주로서 교육과정을 실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cess of how the teacher (I) transform the perspective of the children's body and implements the curriculum as improvisation. The research questions set for this are as follows. This study used a self-study and case-study method because the teacher (I)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cess of how the teacher (I) transform the perspective of the children's body and implements the curriculum as improvisation. The research questions set for this are as follows. This study used a self-study and case-study method because the teacher (I) explored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curriculum by looking at the children's body from a new perspective. The research period is from March 2021 to February 2022.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that have emerged through the research. First,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teacher (I) looking at the body, the old stereotypes and habits that the teacher (I) had began to look at the children's body anew, cracking and falling into a dilemma. Also, striving to dismantle the dichotomy of the existing body, children’s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rough the body, seeing the physical acquisition and expression of diverse experiences, and the power that teachers have in the classroom. This study tried to take it down. When the teacher attempts to deprive the baby, the children interacts and develops a natural physicality, and in the process there are safety concerns and conflicts, but teacher (I) believes in the children and begins to acknowledge and watch over their various attempts. Listen to the children and practice listening pedagogy. Secon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curriculum as improvisation, the teacher (I) is a play-centered, children-centered curriculum that is still led by existing teachers, plans, and teacher intervention. This study is making various attempts to get out of the curriculum. In order to carry out the educational process as improvisation by creating a curriculum in which improvisation and planning are intertwined in such a process, still trying to escape, expanding the interest of children, and losing interest. The process of stepping into is included. This gives suggestions as to why teachers in the field should break the children's body out of the existing, more universal way and look at it anew. It is also important in that it provides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the curriculum as an improvis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Based on this, the points of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become a teacher who sees the children's body from a new perspective, Second, become a teacher who carries out the curriculum that we create together, and Third, become a teacher who practices pedagogical reflection. This suggests that teachers in the field break away from the existing and new ways of revising the children's body and offer the possibility to carry out the curriculum as an improvisation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bo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cess of how the teacher (I) transform the perspective of the children's body and implements the curriculum as improvisation. The research questions set for this are as follows. This study used a self-study and case-study method because the teacher (I) explored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curriculum by looking at the children's body from a new perspective. The research period is from March 2021 to February 2022.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that have emerged through the research. First,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teacher (I) looking at the body, the old stereotypes and habits that the teacher (I) had began to look at the children's body anew, cracking and falling into a dilemma. Also, striving to dismantle the dichotomy of the existing body, children’s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rough the body, seeing the physical acquisition and expression of diverse experiences, and the power that teachers have in the classroom. This study tried to take it down. When the teacher attempts to deprive the baby, the children interacts and develops a natural physicality, and in the process there are safety concerns and conflicts, but teacher (I) believes in the children and begins to acknowledge and watch over their various attempts. Listen to the children and practice listening pedagogy. Secon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curriculum as improvisation, the teacher (I) is a play-centered, children-centered curriculum that is still led by existing teachers, plans, and teacher intervention. This study is making various attempts to get out of the curriculum. In order to carry out the educational process as improvisation by creating a curriculum in which improvisation and planning are intertwined in such a process, still trying to escape, expanding the interest of children, and losing interest. The process of stepping into is included. This gives suggestions as to why teachers in the field should break the children's body out of the existing, more universal way and look at it anew. It is also important in that it provides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the curriculum as an improvis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Based on this, the points of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become a teacher who sees the children's body from a new perspective, Second, become a teacher who carries out the curriculum that we create together, and Third, become a teacher who practices pedagogical reflection. This suggests that teachers in the field break away from the existing and new ways of revising the children's body and offer the possibility to carry out the curriculum as an improvisation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bod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