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갈루아 이론의 관점을 바꾸어 접근하는 역갈루아 문제 중 하나로, 주어진 유한군 G를 갈루아 군으로 갖는 다항식족을 찾아볼 수 있다. 다만, 해당 다항식족에 대하여 일부 다항식의 갈루아 군은 군 H⊂G(H≠G)에 대응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본 연구는 예외 없이 G가 갈루아 군이 되는 다항식족을 ‘보편-G-다항식’이라 하고, 이를 구할 것이다. 한편 n차 다항식의 대부분은 갈루아 군이 대칭군 S_n과 동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갈루아 군으로서 비교적 일반적이지 않은 G⊂S_n(G≠S_n)에 관한 보편-G-다항식이 유의미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리하여 대칭군의 진부분군 G의 보편-G-다항식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합성 다항식 f(g(x))의 갈루아 군은 이른바 ‘화환곱’의 ...
저자 | 김유정 |
---|---|
학위수여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학위구분 | 국내석사 |
학과 | 수학교육학과수학교육전공 |
지도교수 | 쾨니히 요아힘 |
발행연도 | 2023 |
총페이지 | ⅱ, 74 |
키워드 | 수학교육 갈루아 군 합성 다항식 |
언어 | kor |
원문 URL | http://www.riss.kr/link?id=T16650145&outLink=K |
정보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