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 가구의 증가로 공공 공간의 출입 문제 등과 같은 도시 내 반려견과 관련된 각종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데이터와 설문조사법을 이용하여 대구광역시 내 반려견 산책 시 선호장소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의 선호장소 위치분석과 이미지 ...
반려견 가구의 증가로 공공 공간의 출입 문제 등과 같은 도시 내 반려견과 관련된 각종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데이터와 설문조사법을 이용하여 대구광역시 내 반려견 산책 시 선호장소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의 선호장소 위치분석과 이미지 내용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약 2년간의 시간적 범위를 기반으로 '#반려견산책' '#강아지산책', '#개산책' 세 가지의 인스타그램 해시태그를 활용해 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대구광역시 반려견 양육자 19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였다. 반려견 산책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물리적 환경파악을 위해 양육현황, 반려견 산책 환경 만족도, 반려견 산책 장애 요인, 반려견 산책 선호장소, 반려견 산책 선호장소 선택이유에 관하여 물었다. 그 결과 첫째, 추출된 622건의 위치 데이터를 바탕으로 대구광역시 내 반려견 인기 산책 장소는 총 13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위 세 개 장소의 경우 국채보상공원, 두류공원, 수성못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반려견 동반 산책 선호장소의 공간적 특징 및 경향성 파악을 위한 719개의 사진분석결과 ‘수변산책로’, ‘거주지 주변’,‘공원’,‘도시/도시인프라’,‘반려견 운동장/카페’ 총 다섯 가지 분류체계 항목으로 조사되었다. 물리적 특성에만 기반을 둔 분석한계를 보완하고자 정서적 이미지 분석도 함께 수행되었는데, ‘활동성’,‘전통/역사성’. ‘자연(녹지)성’,‘경관성’요소들로 분류되었다. 셋째, 온라인 설문결과 반려견 양육자들의 반려견 산책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낮게 조사되었으며 반려견 산책 시 장애 요인에 대하여 비양육자들의 불편한 시선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체로 비물리적 요인들에 대한 응답 결과를 중심으로 나타났다. 넷째, 반려견 산책 장소 주관식 문항 분석결과 ‘수변공간’, ‘공원/녹지’, ‘동네주변’,‘기타’ 총 네 가지 장소로 분류되었으며 특히, 집 가까이‘동네주변’에서 산책한다고 응답한 양육자들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장소를 반려견 산책 장소로 선택한 이유를 주관식 문항으로 물은 결과, ‘이용밀도’,‘접근성’,‘안전성’,‘쾌적성’,‘편리성’ 총 5가지가 주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고, 접근성 요인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 대구광역시 내의 어떠한 장소가 반려견 양육자들에게 주로 선호되고 있는지, 나아가 대구광역시의 산책 선호장소의 이미지들과 양육자들의 실제 선호장소 및 이유를 파악할 수 있었다. 반려견 산책 장소선호도를 파악하여 근린 생활권 내 산책 환경 개선방안과 선호장소에 대한 경향성 들을 파악함으로써, 도시 공간 내 반려견 양육자와 비양육자간의 사회적 갈등 감소와 시민과 동물의 조화로운 공존을 줄이는데 이로울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근린 생활권 공간계획을 위한 안전하고 쾌적한 장소의 특성을 마련하기 위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바이다.
반려견 가구의 증가로 공공 공간의 출입 문제 등과 같은 도시 내 반려견과 관련된 각종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데이터와 설문조사법을 이용하여 대구광역시 내 반려견 산책 시 선호장소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의 선호장소 위치분석과 이미지 내용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약 2년간의 시간적 범위를 기반으로 '#반려견산책' '#강아지산책', '#개산책' 세 가지의 인스타그램 해시태그를 활용해 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대구광역시 반려견 양육자 19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였다. 반려견 산책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물리적 환경파악을 위해 양육현황, 반려견 산책 환경 만족도, 반려견 산책 장애 요인, 반려견 산책 선호장소, 반려견 산책 선호장소 선택이유에 관하여 물었다. 그 결과 첫째, 추출된 622건의 위치 데이터를 바탕으로 대구광역시 내 반려견 인기 산책 장소는 총 13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위 세 개 장소의 경우 국채보상공원, 두류공원, 수성못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반려견 동반 산책 선호장소의 공간적 특징 및 경향성 파악을 위한 719개의 사진분석결과 ‘수변산책로’, ‘거주지 주변’,‘공원’,‘도시/도시인프라’,‘반려견 운동장/카페’ 총 다섯 가지 분류체계 항목으로 조사되었다. 물리적 특성에만 기반을 둔 분석한계를 보완하고자 정서적 이미지 분석도 함께 수행되었는데, ‘활동성’,‘전통/역사성’. ‘자연(녹지)성’,‘경관성’요소들로 분류되었다. 셋째, 온라인 설문결과 반려견 양육자들의 반려견 산책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낮게 조사되었으며 반려견 산책 시 장애 요인에 대하여 비양육자들의 불편한 시선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체로 비물리적 요인들에 대한 응답 결과를 중심으로 나타났다. 넷째, 반려견 산책 장소 주관식 문항 분석결과 ‘수변공간’, ‘공원/녹지’, ‘동네주변’,‘기타’ 총 네 가지 장소로 분류되었으며 특히, 집 가까이‘동네주변’에서 산책한다고 응답한 양육자들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장소를 반려견 산책 장소로 선택한 이유를 주관식 문항으로 물은 결과, ‘이용밀도’,‘접근성’,‘안전성’,‘쾌적성’,‘편리성’ 총 5가지가 주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고, 접근성 요인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 대구광역시 내의 어떠한 장소가 반려견 양육자들에게 주로 선호되고 있는지, 나아가 대구광역시의 산책 선호장소의 이미지들과 양육자들의 실제 선호장소 및 이유를 파악할 수 있었다. 반려견 산책 장소선호도를 파악하여 근린 생활권 내 산책 환경 개선방안과 선호장소에 대한 경향성 들을 파악함으로써, 도시 공간 내 반려견 양육자와 비양육자간의 사회적 갈등 감소와 시민과 동물의 조화로운 공존을 줄이는데 이로울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근린 생활권 공간계획을 위한 안전하고 쾌적한 장소의 특성을 마련하기 위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바이다.
The increase in dog households is causing various problems related to dogs in the city, such as access approval in public spac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referred places for dog walks in Daegu Metropolitan City using social media data and a survey method. To this end, thi...
The increase in dog households is causing various problems related to dogs in the city, such as access approval in public spac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referred places for dog walks in Daegu Metropolitan City using social media data and a survey method. To this end, this study is based on the temporal range of about 2 years from 2020 to 2022 to analyze the location of preferred plac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the content of images, '#dog walk', '#dog walk', '#dog walk' '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ree Instagram hashtags. In addi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91 dog breeder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o understand the physical environment that can promote dog walking, we asked about the current state of raising dogs, satisfaction with the dog walking environment, factors that hinder dog walking, preferred places for dog walking, and reasons for choosing preferred places for dog walking. As a result, first, based on 622 extracted location data, a total of 13 popular walking places for dogs in Daegu Metropolitan City were found, and the top three places were Gukchaebosang Park, Duryu Park, and Suseongmot Lak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719 photos to identif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of preferred places for walking with dogs, 'waterside trails', 'surrounding residences', 'parks', 'city/city infrastructure', and 'dog playgrounds/cafes' total five categories. It was investigated as a classification system item. Emotional image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o compensate for the analysis limitations based only on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activity' and 'tradition/historicity'. It was classified into ‘nature (greenery)’ and ‘landscape’ elements. Third, as a result of the online survey, the overall satisfaction of dog caregivers with the dog-walking environment was found to be low, and the response to the uncomfortable gaze of non-custodians was the highest for the obstacle factor during dog-walking, and responses to non-physical factors, in general, appeared based on the results. Fourth, as a result of subjective item analysis of places for dog walks, 'waterside space', 'park/green area', 'around the neighborhood', and 'other' were classified into four places. appeared to be the most As a result of asking the reason for choosing a particular place as a dog-walking place with subjective questions, it was found that 'density of use', 'accessibility', 'safety', 'comfort', and 'convenience' were the main factors. The accessibility factor was found to be the highest.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were able to find out which plac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re mainly attractive to dog breeders, and images of preferred walking plac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the actual preferred places and reasons of breeders.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beneficial to reduce social conflicts between dog guardians and non-custodians and harmonious coexistence of citizens and animals in urban space by identifying the preference for places for walking dogs and identifying ways to improve the walking environment in the neighborhood and trends in preferred places. This is expected to be a preliminary data to prepare the characteristics of a safe and pleasant place for the space planning of the neighborhood living area.
The increase in dog households is causing various problems related to dogs in the city, such as access approval in public spac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referred places for dog walks in Daegu Metropolitan City using social media data and a survey method. To this end, this study is based on the temporal range of about 2 years from 2020 to 2022 to analyze the location of preferred plac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the content of images, '#dog walk', '#dog walk', '#dog walk' '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ree Instagram hashtags. In addi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91 dog breeder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o understand the physical environment that can promote dog walking, we asked about the current state of raising dogs, satisfaction with the dog walking environment, factors that hinder dog walking, preferred places for dog walking, and reasons for choosing preferred places for dog walking. As a result, first, based on 622 extracted location data, a total of 13 popular walking places for dogs in Daegu Metropolitan City were found, and the top three places were Gukchaebosang Park, Duryu Park, and Suseongmot Lak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719 photos to identif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of preferred places for walking with dogs, 'waterside trails', 'surrounding residences', 'parks', 'city/city infrastructure', and 'dog playgrounds/cafes' total five categories. It was investigated as a classification system item. Emotional image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o compensate for the analysis limitations based only on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activity' and 'tradition/historicity'. It was classified into ‘nature (greenery)’ and ‘landscape’ elements. Third, as a result of the online survey, the overall satisfaction of dog caregivers with the dog-walking environment was found to be low, and the response to the uncomfortable gaze of non-custodians was the highest for the obstacle factor during dog-walking, and responses to non-physical factors, in general, appeared based on the results. Fourth, as a result of subjective item analysis of places for dog walks, 'waterside space', 'park/green area', 'around the neighborhood', and 'other' were classified into four places. appeared to be the most As a result of asking the reason for choosing a particular place as a dog-walking place with subjective questions, it was found that 'density of use', 'accessibility', 'safety', 'comfort', and 'convenience' were the main factors. The accessibility factor was found to be the highest.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were able to find out which plac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re mainly attractive to dog breeders, and images of preferred walking plac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the actual preferred places and reasons of breeders.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beneficial to reduce social conflicts between dog guardians and non-custodians and harmonious coexistence of citizens and animals in urban space by identifying the preference for places for walking dogs and identifying ways to improve the walking environment in the neighborhood and trends in preferred places. This is expected to be a preliminary data to prepare the characteristics of a safe and pleasant place for the space planning of the neighborhood living area.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