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수술후 환자의 폐기능, 신체활동 및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운동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적 접근
상명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맹 이 호
폐암은 폐의 기관지 점막이나 분비선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발병률과 사망률이 가장 빠르게 증가하며 사람들의 건강과 생명에 가장 큰 위협이 되는 악성 종양 중 하나이다. 운동의 암개선 효과는 심장혈관, 심폐기능의 개선뿐만 아니라 화학요법과 ...
국 문 요 약
폐암수술후 환자의 폐기능, 신체활동 및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운동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적 접근
상명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맹 이 호
폐암은 폐의 기관지 점막이나 분비선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발병률과 사망률이 가장 빠르게 증가하며 사람들의 건강과 생명에 가장 큰 위협이 되는 악성 종양 중 하나이다. 운동의 암개선 효과는 심장혈관, 심폐기능의 개선뿐만 아니라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을 줄일 수도 있으며, 수술 후 폐암 환자의 폐기능 개선, 운동능력 향상, 입원 기간 단축, 수술 후 합병증 발생률 감소, 근지구력 및 삶의 질 향상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이 폐암 환자의 신체기능, 폐기능, 수면의 질, 운동능력, 우울 및 불안, 호흡곤란 등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 평가방법을 통하여 검토하고 다양한 운동방식, 운동기간, 그리고 수술전후 운동 여부 등이 폐암 환자의 수술 후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논의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컴퓨터를 활용하여 Web of science, PubMed, EMBASE,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관련된 문헌을 검토하였다. 검색 기간은 1993년 1월부터 2022년 5월까지로 정하였다. 선정 및 배제 기준에 엄격히 따라 문헌을 선별하였다. 연구에 포함된 논문의 품질 평가는 Jadad 시스템 평가의 ‘편의 위험 평가’ 도구에 따라 Excel로 포함된 문헌을 데이터 추출 및 정리하고 Stata 15.1 패키지를 사용하여 데이터에 대해 메타분석을 진행하였다.계수 자료는 교차비(odds ratio, OR)로 효과크기를 표시하고 계량 자료는 가중 평균 차이(mean difference, MD) 또는 표준화 평균 차이(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를 사용하여 95% 신뢰 구간(confidenceInterval, CI)로 나타났다. 이질성을 평가하기 위해 Q 검사에서 산출된 p값을 I2값과 결합하여 판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술을 받은 폐암 환자에게 운동 중재를 실시한 결과 최대산소섭취량의 개선효과가 있다. 12주 이상의 운동은 신체활동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저항 훈련은 통증에 대한 개선 효과가 더욱은 것으로 나타났다. 호흡훈련과 고강도 인터벌 훈련은 호흡곤란에 대한 개선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는데 그 중 고강도 인터벌 훈련이 더욱 효과가 있다. 우울 및 불안에도 개선 효과가 있다. 수술 후 운동이 입원일수를 단축시키는데 개선효과가 있다. 따라서 폐암 수술을 받은 환자의 최대산소섭취량, 신체활동, 우울 및 불안, 통증,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전략으로 운동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판단된다.
국 문 요 약
폐암수술후 환자의 폐기능, 신체활동 및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운동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적 접근
상명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맹 이 호
폐암은 폐의 기관지 점막이나 분비선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발병률과 사망률이 가장 빠르게 증가하며 사람들의 건강과 생명에 가장 큰 위협이 되는 악성 종양 중 하나이다. 운동의 암개선 효과는 심장혈관, 심폐기능의 개선뿐만 아니라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을 줄일 수도 있으며, 수술 후 폐암 환자의 폐기능 개선, 운동능력 향상, 입원 기간 단축, 수술 후 합병증 발생률 감소, 근지구력 및 삶의 질 향상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이 폐암 환자의 신체기능, 폐기능, 수면의 질, 운동능력, 우울 및 불안, 호흡곤란 등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 평가방법을 통하여 검토하고 다양한 운동방식, 운동기간, 그리고 수술전후 운동 여부 등이 폐암 환자의 수술 후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논의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컴퓨터를 활용하여 Web of science, PubMed, EMBASE,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관련된 문헌을 검토하였다. 검색 기간은 1993년 1월부터 2022년 5월까지로 정하였다. 선정 및 배제 기준에 엄격히 따라 문헌을 선별하였다. 연구에 포함된 논문의 품질 평가는 Jadad 시스템 평가의 ‘편의 위험 평가’ 도구에 따라 Excel로 포함된 문헌을 데이터 추출 및 정리하고 Stata 15.1 패키지를 사용하여 데이터에 대해 메타분석을 진행하였다.계수 자료는 교차비(odds ratio, OR)로 효과크기를 표시하고 계량 자료는 가중 평균 차이(mean difference, MD) 또는 표준화 평균 차이(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를 사용하여 95% 신뢰 구간(confidenceInterval, CI)로 나타났다. 이질성을 평가하기 위해 Q 검사에서 산출된 p값을 I2값과 결합하여 판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술을 받은 폐암 환자에게 운동 중재를 실시한 결과 최대산소섭취량의 개선효과가 있다. 12주 이상의 운동은 신체활동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저항 훈련은 통증에 대한 개선 효과가 더욱은 것으로 나타났다. 호흡훈련과 고강도 인터벌 훈련은 호흡곤란에 대한 개선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는데 그 중 고강도 인터벌 훈련이 더욱 효과가 있다. 우울 및 불안에도 개선 효과가 있다. 수술 후 운동이 입원일수를 단축시키는데 개선효과가 있다. 따라서 폐암 수술을 받은 환자의 최대산소섭취량, 신체활동, 우울 및 불안, 통증,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전략으로 운동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판단된다.
Effect of exercise to improve lung function,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after lung cancer surger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ng Yihao Dep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angmyung University
Lung canc...
ABSTRACT
Effect of exercise to improve lung function,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after lung cancer surger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ng Yihao Dep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angmyung University
Lung cancer is a malignant tumor that occurs from the bronchial mucosa or glands of the lungs, and the incidence and mortality rate increase the fastest and is one of the most threatening malignant tumors to people's health and life. The cancer improvement effect of exercise can reduce side effects of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as well as cardiovascular and cardiopulmonary function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lung cancer patients' lung function after surgery, improving exercise ability, shortening hospitalization period, reducing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improving muscle endurance and quality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xercise on physical function, lung function, sleep quality, exercise ability, depression and anxiety, and breathing difficulties in lung cancer patients, and to analyze and discuss the effects of various exercise methods, exercise period, and smoking history on lung cancer patients' postoperative recovery. The method of this study searched the Web of science, PubMed, EMBASE, and database using a computer and manually reviewed related documents. The search period was set from January 1993 to May 2022. The literature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and exclusion criteria. The quality evaluation of the papers included in the study was performed by extracting and organizing the documents contained in Excel according to the 'Evaluation of Convenience Risk' tool of the Jadad system evaluation, and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ata using the Stata16.1 package. The coefficient data are represented by the odds ratio (OR) and the quantitative data are represented by 95% confidence interval (CI) using the weighted mean difference (MD) or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 In order to evaluate heterogeneity, the p value calculated in the Q test was determined by combining it with the I2 valu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xercise intervention was performed on lung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There is an improvement effect on the maximum oxygen intake. Exercise over 12 weeks can further improve physical activity. Resistance training has a greater improvement effect on pain. Respiratory training and high-intensity interval training showed a relatively greater improvement effect on shortness of breath, and high-intensity interval training has a further improvement effect. It has an improvement effect on depression and anxiety, and more than 12 weeks of training and high-intensity interval training are more effective. Postoperative exercise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number of days of hospitalization. Therefore, exercise is considered to play an important role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y to improve symptoms such as maximum oxygen intake, physical activity, depression and anxiety, pain, and shortness of breath in patients who have undergone lung cancer surgery.
Key words: Patients after lung cancer surgery, lung function, physical activity, exercise, meta analysis
ABSTRACT
Effect of exercise to improve lung function,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after lung cancer surger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ng Yihao Dep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angmyung University
Lung cancer is a malignant tumor that occurs from the bronchial mucosa or glands of the lungs, and the incidence and mortality rate increase the fastest and is one of the most threatening malignant tumors to people's health and life. The cancer improvement effect of exercise can reduce side effects of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as well as cardiovascular and cardiopulmonary function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lung cancer patients' lung function after surgery, improving exercise ability, shortening hospitalization period, reducing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improving muscle endurance and quality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xercise on physical function, lung function, sleep quality, exercise ability, depression and anxiety, and breathing difficulties in lung cancer patients, and to analyze and discuss the effects of various exercise methods, exercise period, and smoking history on lung cancer patients' postoperative recovery. The method of this study searched the Web of science, PubMed, EMBASE, and database using a computer and manually reviewed related documents. The search period was set from January 1993 to May 2022. The literature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and exclusion criteria. The quality evaluation of the papers included in the study was performed by extracting and organizing the documents contained in Excel according to the 'Evaluation of Convenience Risk' tool of the Jadad system evaluation, and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ata using the Stata16.1 package. The coefficient data are represented by the odds ratio (OR) and the quantitative data are represented by 95% confidence interval (CI) using the weighted mean difference (MD) or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 In order to evaluate heterogeneity, the p value calculated in the Q test was determined by combining it with the I2 valu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xercise intervention was performed on lung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There is an improvement effect on the maximum oxygen intake. Exercise over 12 weeks can further improve physical activity. Resistance training has a greater improvement effect on pain. Respiratory training and high-intensity interval training showed a relatively greater improvement effect on shortness of breath, and high-intensity interval training has a further improvement effect. It has an improvement effect on depression and anxiety, and more than 12 weeks of training and high-intensity interval training are more effective. Postoperative exercise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number of days of hospitalization. Therefore, exercise is considered to play an important role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y to improve symptoms such as maximum oxygen intake, physical activity, depression and anxiety, pain, and shortness of breath in patients who have undergone lung cancer surgery.
Key words: Patients after lung cancer surgery, lung function, physical activity, exercise, meta analysi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