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미디어 교육이 초기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Media Education on Media Literacy and Communication Skills in Early Adolescents원문보기
기술의 발달로 미디어는 정보전달과 커뮤니케이션 형성의 주요 수단으로 우리 생활에 꼴 필요하게 되었으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디지털 원주민인 청소년들은 인지적, 정서적 발달 과정 중에 있으며 미디어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미디어를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 미디어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어 학교, 가정, 사회에서 다양한 미디어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와 가정에서의 미디어 교육이 초기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하위요인인 인터넷 활용, 스마트 기기 활용, 자아 표현, 참여성, 비판적 이해와 의사소통 능력의 하위요인인 의사 표현, 경청 및 이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미디어 교육(학교 미디어 교육, 가정 미디어 교육)이 초기 청소년의 미디어 ...
기술의 발달로 미디어는 정보전달과 커뮤니케이션 형성의 주요 수단으로 우리 생활에 꼴 필요하게 되었으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디지털 원주민인 청소년들은 인지적, 정서적 발달 과정 중에 있으며 미디어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미디어를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 미디어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어 학교, 가정, 사회에서 다양한 미디어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와 가정에서의 미디어 교육이 초기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하위요인인 인터넷 활용, 스마트 기기 활용, 자아 표현, 참여성, 비판적 이해와 의사소통 능력의 하위요인인 의사 표현, 경청 및 이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미디어 교육(학교 미디어 교육, 가정 미디어 교육)이 초기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미디어 교육(학교 미디어 교육, 가정 미디어 교육)이 초기 청소년의 의사소통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제시된 연구 문제를 검정하기 위해 2022년 11월 4일부터 11월 13일까지 약 10일간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집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5∼6학년 223명을 임의 표집하여 자기 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중 불성실한 답변을 한 설문지 20부를 제외하고 총 203명의 자료를 최종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조사 도구는 학교와 가정의 미디어 교육, 미디어 리터러시, 의사소통 능력의 설문지와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묻는 문항을 추가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 분석은 SPSS 29.0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의 일반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술통계 분석, 척도에 대한 신뢰도 분석, 변수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피어슨 상관관계분석, 주요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미디어 교육은 초기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하위 요인 중 인터넷 활용 능력과 자아 표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가정 미디어 교육 중 부모의 제한형 중재는 초기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하위요인 중 스마트 기기 활용 능력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정 미디어 교육 중 부모의 대화형 중재는 초기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하위요인 중 자아 표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 미디어 교육은 초기 청소년의 의사소통 능력의 하위요인 중 의사 표현과 경청 및 이해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가정 미디어 교육 중 부모의 대화형 중재가 초기 청소년의 의사소통 능력의 하위요인 중 의사 표현과 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학교와 가정의 미디어 교육이 초기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각 하위요인별로 세부적으로 탐구하였다. 또한 미디어 교육 정책에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학교 미디어 교육의 실천 전략과 가정에서 실행할 수 있는 교육을 계획하고 실천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으로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초기 청소년을 임의 표집 하였으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향후 더 다양한 지역, 학년 등을 고려한 표집을 통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 미디어 교육을 학교와 가정 미디어 교육으로 한정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학교, 가정뿐만 아니라 사회기관, 정부 기관에서 실시되는 미디어 교육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살펴보기를 제안한다.
기술의 발달로 미디어는 정보전달과 커뮤니케이션 형성의 주요 수단으로 우리 생활에 꼴 필요하게 되었으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디지털 원주민인 청소년들은 인지적, 정서적 발달 과정 중에 있으며 미디어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미디어를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 미디어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어 학교, 가정, 사회에서 다양한 미디어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와 가정에서의 미디어 교육이 초기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하위요인인 인터넷 활용, 스마트 기기 활용, 자아 표현, 참여성, 비판적 이해와 의사소통 능력의 하위요인인 의사 표현, 경청 및 이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미디어 교육(학교 미디어 교육, 가정 미디어 교육)이 초기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미디어 교육(학교 미디어 교육, 가정 미디어 교육)이 초기 청소년의 의사소통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제시된 연구 문제를 검정하기 위해 2022년 11월 4일부터 11월 13일까지 약 10일간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집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5∼6학년 223명을 임의 표집하여 자기 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중 불성실한 답변을 한 설문지 20부를 제외하고 총 203명의 자료를 최종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조사 도구는 학교와 가정의 미디어 교육, 미디어 리터러시, 의사소통 능력의 설문지와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묻는 문항을 추가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 분석은 SPSS 29.0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의 일반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술통계 분석, 척도에 대한 신뢰도 분석, 변수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피어슨 상관관계분석, 주요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미디어 교육은 초기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하위 요인 중 인터넷 활용 능력과 자아 표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가정 미디어 교육 중 부모의 제한형 중재는 초기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하위요인 중 스마트 기기 활용 능력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정 미디어 교육 중 부모의 대화형 중재는 초기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하위요인 중 자아 표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 미디어 교육은 초기 청소년의 의사소통 능력의 하위요인 중 의사 표현과 경청 및 이해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가정 미디어 교육 중 부모의 대화형 중재가 초기 청소년의 의사소통 능력의 하위요인 중 의사 표현과 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학교와 가정의 미디어 교육이 초기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각 하위요인별로 세부적으로 탐구하였다. 또한 미디어 교육 정책에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학교 미디어 교육의 실천 전략과 가정에서 실행할 수 있는 교육을 계획하고 실천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으로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초기 청소년을 임의 표집 하였으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향후 더 다양한 지역, 학년 등을 고려한 표집을 통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 미디어 교육을 학교와 가정 미디어 교육으로 한정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학교, 가정뿐만 아니라 사회기관, 정부 기관에서 실시되는 미디어 교육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살펴보기를 제안한다.
Keyword
#미디어 교육 학교 미디어 교육 가정 미디어 교육 미디어 리터러시 의사소통 능력 초기 청소년
학위논문 정보
저자
이경숙
학위수여기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청소년교육학과
지도교수
장미경
발행연도
2023
키워드
미디어 교육 학교 미디어 교육 가정 미디어 교육 미디어 리터러시 의사소통 능력 초기 청소년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