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는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중대재해 감축을 위해 산업안전 법규를 강화하고 다양한 정책적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영향 으로 기업들도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제4차 산업기술 을 접목한 다양한 스마트 안전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발전공기업에서도 정책적 영향과 ESG 경영의 중요성 때문에 발전소 현장으로 우수한 스마 트 안전기술 적용에 대한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일부 발전소 현장에서 적용된 기술이 현장 적용성과 적합성의 부족으로 종사자들이 기술 적용 이전 대비 작업환경이 안전하게 개선되었 다는 인식의 전환을 하지 못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되고 있었다. 이는 기 술의 수요자이자 수혜자인 발전소 종사자 입장에서의 니즈 등을 간과한 결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발전소 현장에 실효성 있는 스마트 안전기술 의 도입방안을 도출하고자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산업 분야에 적용된 스 마트 안전기술 관련 선행연구 및 적용사례 조사, 발전소 위험작업 및 안 전사고 특성 분석, 발전소 종사자 관점에서의 기술 도입 분야에 대한 선 호도를 조사하였다. 첫 번째, 스마트 기술의 적용사례 조사에서 대형 건설현장에서는 주로 위험한 작업과 건설장비로부터 근로자를 보호할 목적으로 각종 감지 센서, 추락 보호복(에어백 장착) 등에 적용하고 있었다. 제조업, 발전소에서는 작업자의 접근이 어려운 위험구역 또는 관리 사각지역과 설비에 대해 원격점검·관리를 할 수 있도록 드론, ...
최근 정부는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중대재해 감축을 위해 산업안전 법규를 강화하고 다양한 정책적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영향 으로 기업들도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제4차 산업기술 을 접목한 다양한 스마트 안전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발전공기업에서도 정책적 영향과 ESG 경영의 중요성 때문에 발전소 현장으로 우수한 스마 트 안전기술 적용에 대한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일부 발전소 현장에서 적용된 기술이 현장 적용성과 적합성의 부족으로 종사자들이 기술 적용 이전 대비 작업환경이 안전하게 개선되었 다는 인식의 전환을 하지 못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되고 있었다. 이는 기 술의 수요자이자 수혜자인 발전소 종사자 입장에서의 니즈 등을 간과한 결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발전소 현장에 실효성 있는 스마트 안전기술 의 도입방안을 도출하고자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산업 분야에 적용된 스 마트 안전기술 관련 선행연구 및 적용사례 조사, 발전소 위험작업 및 안 전사고 특성 분석, 발전소 종사자 관점에서의 기술 도입 분야에 대한 선 호도를 조사하였다. 첫 번째, 스마트 기술의 적용사례 조사에서 대형 건설현장에서는 주로 위험한 작업과 건설장비로부터 근로자를 보호할 목적으로 각종 감지 센서, 추락 보호복(에어백 장착) 등에 적용하고 있었다. 제조업, 발전소에서는 작업자의 접근이 어려운 위험구역 또는 관리 사각지역과 설비에 대해 원격점검·관리를 할 수 있도록 드론, 디지털 트윈, 레일로봇, Edge컴퓨팅과 인공지능(AI) 및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활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현단계는 재해예방 효과의 검증, 유지·관리 및 보급·확산 용이성을 갖춘 스마트 안전기술의 공급단계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있었다. 두 번째, 발전소 안전사고의 특징은 넘어짐 유형이 가장 많았고, 산업재 해에 취약한 발전소 근로자 유형은 연령대는 50대(39%), 근무경력은 6개 월 미만자(53%)의 비율이 높았다. 고용노동부 통계 결과인 재해자의 고령 화, 근속기간이 짧은 근로자의 재해율이 높은 결과와 유사하였다. 소속 분 류에는 발전소 현장에 직접 투입되어 정비 업무를 수행하는 협력사 직원 의 취약성이 확인되었으나, 매년 점차 감소하는 추세로 분석되었다. 세 번째, 발전소 종사자가 인식하는 개선이 시급한 위험작업 및 적용 기술 선호도, 기술 적용 시 개선사항 등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총 22개의 설문 항목에 대해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184명 답변, 61.33% 응답 률)를 시행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발전사 및 협력사 직원은 공통적으로 노출 빈도가 높은 4개의 위험작업(고소작업, 중량물 취급, 밀폐공간, 화기 사용)에 대해 개선의 시급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근로자의 신체를 보호 할 수 있는 분야에 적용 하는 것을 가장 높게 선호(발전사는 35%, 협력 사는 40%)하였다. 다만, 협력사는 개인 신상 및 위치의 노출이 있을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 선호도가 매우 낮은 5.4%로 기술의 도입목 적에 대한 충분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해 보였다. 안전사고 발생의 주요 원인에 대해 발전사 근로자 75%, 협력사 근로자 61.9%가 휴먼에러 요소 (부주의, 안전수칙 미준수, 본인 과실)로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발전소에 스마트 안전기술 및 장비(기기)의 도입 시에는 산 업재해에 취약한 고령자와 6개월 미만 근속자를 고려하고, 협력사 근로자 와의 공감대 형성 관점에서 접근이 필요하다. 그리고 근로자의 노출 빈도 가 높은 4개 유형의 위험작업에 대해 작업 방법 또는 공법을 개선하는 방 향으로 스마트 기술을 적용해야 한다. 또한 근로자가 휴먼에러 요소를 인 지하여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도입이 시급함을 도출할 수 있었 다. 마지막으로 스마트 안전기술의 근간인 제4차 산업기술은 초연결, 초지 능, 초융합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기술의 개발, 사용, 벤치마킹, 확산단계 를 거치면서 더욱더 똑똑한 스마트 안전기술로 발전시키고, 이를 기반으 로 국내 선순환적인 안전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정책적인 지원이 뒷받 침되어야 한다. 따라서 스마트 안전기술(장비)에 대한 국가적인 차원으로 통합관리 가능한 인벤토리를 구축하고, 우수한 기술을 개발·공급하는 기 업 및 대학(연구소)에 대한 육성·지원정책을 마련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 다.
최근 정부는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중대재해 감축을 위해 산업안전 법규를 강화하고 다양한 정책적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영향 으로 기업들도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제4차 산업기술 을 접목한 다양한 스마트 안전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발전공기업에서도 정책적 영향과 ESG 경영의 중요성 때문에 발전소 현장으로 우수한 스마 트 안전기술 적용에 대한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일부 발전소 현장에서 적용된 기술이 현장 적용성과 적합성의 부족으로 종사자들이 기술 적용 이전 대비 작업환경이 안전하게 개선되었 다는 인식의 전환을 하지 못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되고 있었다. 이는 기 술의 수요자이자 수혜자인 발전소 종사자 입장에서의 니즈 등을 간과한 결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발전소 현장에 실효성 있는 스마트 안전기술 의 도입방안을 도출하고자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산업 분야에 적용된 스 마트 안전기술 관련 선행연구 및 적용사례 조사, 발전소 위험작업 및 안 전사고 특성 분석, 발전소 종사자 관점에서의 기술 도입 분야에 대한 선 호도를 조사하였다. 첫 번째, 스마트 기술의 적용사례 조사에서 대형 건설현장에서는 주로 위험한 작업과 건설장비로부터 근로자를 보호할 목적으로 각종 감지 센서, 추락 보호복(에어백 장착) 등에 적용하고 있었다. 제조업, 발전소에서는 작업자의 접근이 어려운 위험구역 또는 관리 사각지역과 설비에 대해 원격점검·관리를 할 수 있도록 드론, 디지털 트윈, 레일로봇, Edge 컴퓨팅과 인공지능(AI) 및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활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현단계는 재해예방 효과의 검증, 유지·관리 및 보급·확산 용이성을 갖춘 스마트 안전기술의 공급단계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있었다. 두 번째, 발전소 안전사고의 특징은 넘어짐 유형이 가장 많았고, 산업재 해에 취약한 발전소 근로자 유형은 연령대는 50대(39%), 근무경력은 6개 월 미만자(53%)의 비율이 높았다. 고용노동부 통계 결과인 재해자의 고령 화, 근속기간이 짧은 근로자의 재해율이 높은 결과와 유사하였다. 소속 분 류에는 발전소 현장에 직접 투입되어 정비 업무를 수행하는 협력사 직원 의 취약성이 확인되었으나, 매년 점차 감소하는 추세로 분석되었다. 세 번째, 발전소 종사자가 인식하는 개선이 시급한 위험작업 및 적용 기술 선호도, 기술 적용 시 개선사항 등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총 22개의 설문 항목에 대해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184명 답변, 61.33% 응답 률)를 시행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발전사 및 협력사 직원은 공통적으로 노출 빈도가 높은 4개의 위험작업(고소작업, 중량물 취급, 밀폐공간, 화기 사용)에 대해 개선의 시급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근로자의 신체를 보호 할 수 있는 분야에 적용 하는 것을 가장 높게 선호(발전사는 35%, 협력 사는 40%)하였다. 다만, 협력사는 개인 신상 및 위치의 노출이 있을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 선호도가 매우 낮은 5.4%로 기술의 도입목 적에 대한 충분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해 보였다. 안전사고 발생의 주요 원인에 대해 발전사 근로자 75%, 협력사 근로자 61.9%가 휴먼에러 요소 (부주의, 안전수칙 미준수, 본인 과실)로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발전소에 스마트 안전기술 및 장비(기기)의 도입 시에는 산 업재해에 취약한 고령자와 6개월 미만 근속자를 고려하고, 협력사 근로자 와의 공감대 형성 관점에서 접근이 필요하다. 그리고 근로자의 노출 빈도 가 높은 4개 유형의 위험작업에 대해 작업 방법 또는 공법을 개선하는 방 향으로 스마트 기술을 적용해야 한다. 또한 근로자가 휴먼에러 요소를 인 지하여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도입이 시급함을 도출할 수 있었 다. 마지막으로 스마트 안전기술의 근간인 제4차 산업기술은 초연결, 초지 능, 초융합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기술의 개발, 사용, 벤치마킹, 확산단계 를 거치면서 더욱더 똑똑한 스마트 안전기술로 발전시키고, 이를 기반으 로 국내 선순환적인 안전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정책적인 지원이 뒷받 침되어야 한다. 따라서 스마트 안전기술(장비)에 대한 국가적인 차원으로 통합관리 가능한 인벤토리를 구축하고, 우수한 기술을 개발·공급하는 기 업 및 대학(연구소)에 대한 육성·지원정책을 마련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 다.
Recently, the government has strengthened industrial safety regulations and prepared various support measures to prevent serious disaster accidents at industrial sites. Accordingly, many companies are also trying to apply various smart safety technologies that are combined with the F...
Recently, the government has strengthened industrial safety regulations and prepared various support measures to prevent serious disaster accidents at industrial sites. Accordingly, many companies are also trying to apply various smart safety technologies that are combined with the Fourth Industrial Technology to their industrial sites. Power Generation Public Enterprises are also having a lot of interests in the application of smart safety technology to power plant sites in order to meet the government's policy regarding the prevention of serious disaster accidents as a public institution. However, in some power plant sites, there were cases where the applied smart safety technology lacked its suitability or effectiveness at the field. For this reason, plant workers, who were consumers and beneficiaries of technology, could not have their awareness that the working environment had improved safely after the technology had been applied to the field. It seemed to be the result of overlooking the needs of power plant workers, who were consumers and beneficiaries of technolog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ot started to derive a method to apply effective smart safety technology to the power plant site based on power plant workers’ awareness. The scop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Prior research and application cases related to smart safety technology applied to the industrial field were investigated, works exposed to accident risk at power plants and accident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nd preferences in technology appl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lant workers were studied. First, as cases of using smart technology, large construction sites mainly applied various detection sensors, tags, and fall protection devices (inserted airbags) to protect workers from dangerous work and equipment. In manufacturing factories and power plants, drones, digital twins, rail robots, edge comput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ies were being used to remotely monitor and manage harmful areas, blind spots, and dangerous facilities that are difficult for workers to access. However, at this stage, it has not reached the level of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 prevention for smart safety technologies applied to the field, or evaluating whether they are easy to distribute and utilize. Second, among the types of plant safety accidents, falls occurred the most. The kind of power plant workers vulnerable to industrial accidents was the highest in their 50s(39% of the total victim) and those with less than 6 months of work experience(53% of the total victim). It was similar to the report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at the elderly and short term period workers were vulnerable to disaster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partner company’s employees who were directly deployed to the power plant site and performed maintenance work were vulnerable to disasters, but they were gradually decreasing every year. Third, based on the awareness of plant workers, dangerous tasks that are urgently needed to be improved, preferences for smart safety technology, and considerations when applying technology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300 employees(of power generation companies and partner companies) working at the power plant were surveyed, and the response rate was 61.33%(184 Respondents).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ur major dangerous works of the power plant were analyzed as high-altitude work, heavy object handling, enclosed space work, and firework which were frequently performed at the plant site and vulnerable to safety accidents. The highest preference was to apply smart technology to areas that could protect the body of workers(35% for power generation company and 40% for partner company). However, 5.4% of partners have a very low preference for monitoring systems that may have exposure to personal identity and location, and it seemed necessary to form sufficient consensus on the purpose of applying the technology. However, respondents equally answered that the causes of safety accidents at the power plant were carelessness, non-compliance with safety rules, and self-negligence, which were human error factors. In conclusion, when applying smart safety technology and equipment (devices) to power plants, the elderly who are vulnerable to industrial accidents and those who have worked for less than six months should be considered. It is also necessary to form a consensus with employees of partner companies on the purpose of applying smart safety technology. And dangerous work with a high frequency of exposure by workers must be improved by developing work methods or construction methods. A system that allows workers to recognize and control human errors should be applied. Finally, in order to develop smart safety technology,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policy support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smart safety technology. Therefore, I would like to propose to establish an inventory system at the national level for smart safety technology (equipment) and to prepare policies for fostering and supporting companies and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that develop and supply excellent technologies.
Recently, the government has strengthened industrial safety regulations and prepared various support measures to prevent serious disaster accidents at industrial sites. Accordingly, many companies are also trying to apply various smart safety technologies that are combined with the Fourth Industrial Technology to their industrial sites. Power Generation Public Enterprises are also having a lot of interests in the application of smart safety technology to power plant sites in order to meet the government's policy regarding the prevention of serious disaster accidents as a public institution. However, in some power plant sites, there were cases where the applied smart safety technology lacked its suitability or effectiveness at the field. For this reason, plant workers, who were consumers and beneficiaries of technology, could not have their awareness that the working environment had improved safely after the technology had been applied to the field. It seemed to be the result of overlooking the needs of power plant workers, who were consumers and beneficiaries of technolog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ot started to derive a method to apply effective smart safety technology to the power plant site based on power plant workers’ awareness. The scop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Prior research and application cases related to smart safety technology applied to the industrial field were investigated, works exposed to accident risk at power plants and accident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nd preferences in technology appl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lant workers were studied. First, as cases of using smart technology, large construction sites mainly applied various detection sensors, tags, and fall protection devices (inserted airbags) to protect workers from dangerous work and equipment. In manufacturing factories and power plants, drones, digital twins, rail robots, edge comput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ies were being used to remotely monitor and manage harmful areas, blind spots, and dangerous facilities that are difficult for workers to access. However, at this stage, it has not reached the level of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 prevention for smart safety technologies applied to the field, or evaluating whether they are easy to distribute and utilize. Second, among the types of plant safety accidents, falls occurred the most. The kind of power plant workers vulnerable to industrial accidents was the highest in their 50s(39% of the total victim) and those with less than 6 months of work experience(53% of the total victim). It was similar to the report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at the elderly and short term period workers were vulnerable to disaster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partner company’s employees who were directly deployed to the power plant site and performed maintenance work were vulnerable to disasters, but they were gradually decreasing every year. Third, based on the awareness of plant workers, dangerous tasks that are urgently needed to be improved, preferences for smart safety technology, and considerations when applying technology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300 employees(of power generation companies and partner companies) working at the power plant were surveyed, and the response rate was 61.33%(184 Respondents).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ur major dangerous works of the power plant were analyzed as high-altitude work, heavy object handling, enclosed space work, and firework which were frequently performed at the plant site and vulnerable to safety accidents. The highest preference was to apply smart technology to areas that could protect the body of workers(35% for power generation company and 40% for partner company). However, 5.4% of partners have a very low preference for monitoring systems that may have exposure to personal identity and location, and it seemed necessary to form sufficient consensus on the purpose of applying the technology. However, respondents equally answered that the causes of safety accidents at the power plant were carelessness, non-compliance with safety rules, and self-negligence, which were human error factors. In conclusion, when applying smart safety technology and equipment (devices) to power plants, the elderly who are vulnerable to industrial accidents and those who have worked for less than six months should be considered. It is also necessary to form a consensus with employees of partner companies on the purpose of applying smart safety technology. And dangerous work with a high frequency of exposure by workers must be improved by developing work methods or construction methods. A system that allows workers to recognize and control human errors should be applied. Finally, in order to develop smart safety technology,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policy support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smart safety technology. Therefore, I would like to propose to establish an inventory system at the national level for smart safety technology (equipment) and to prepare policies for fostering and supporting companies and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that develop and supply excellent technologi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