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공공도서관에서의 기록관리 및 아카이브 서비스 현황과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 Services in Public Libraries원문보기
공중의 정보이용·독서활동·문화활동 및 평생교육을 위하여 설립·운영되는 공공도서관은 설립주체와 운영방식 등에 따라 다양한 운영 주체로 구성되어 그 운영주체에 따라 각 도서관의 기록물 관리 실정은 각기 상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9~2023)에서는 도서관을 위한 기록관리체계에 대한 추진과제가 부재한 상황으로 각 도서관 운영 주체 별로 일관되지 않은 기록물 관리 실정이 예상된다. 한편 도서관 운영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배치되는 사서 인력은 사서자격증 발급을 위한 교육과정 이수 시, 기록관리 영역과 연관된 교과목을 이수할 것으로 예상되어 일반 공공기관 등에 비해 기록물 관리 업무에 대하여 다른 양상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최근 도서관에서는 전통적인 정보자료의 수집 뿐만 아니라 도서관 사업의 확장 및 연계 홍보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자체적으로 발간하거나 수집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도서 중심의 자료 관리 체계에서는 새로운 유형의 자료를 관리하기 어려워 기록관리 체계를 도입하여 자료를 관리한다면 자료관리 영역과 참고정보서비스 영역에서의 발전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일부 공공도서관에서는 ...
공중의 정보이용·독서활동·문화활동 및 평생교육을 위하여 설립·운영되는 공공도서관은 설립주체와 운영방식 등에 따라 다양한 운영 주체로 구성되어 그 운영주체에 따라 각 도서관의 기록물 관리 실정은 각기 상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9~2023)에서는 도서관을 위한 기록관리체계에 대한 추진과제가 부재한 상황으로 각 도서관 운영 주체 별로 일관되지 않은 기록물 관리 실정이 예상된다. 한편 도서관 운영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배치되는 사서 인력은 사서자격증 발급을 위한 교육과정 이수 시, 기록관리 영역과 연관된 교과목을 이수할 것으로 예상되어 일반 공공기관 등에 비해 기록물 관리 업무에 대하여 다른 양상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최근 도서관에서는 전통적인 정보자료의 수집 뿐만 아니라 도서관 사업의 확장 및 연계 홍보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자체적으로 발간하거나 수집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도서 중심의 자료 관리 체계에서는 새로운 유형의 자료를 관리하기 어려워 기록관리 체계를 도입하여 자료를 관리한다면 자료관리 영역과 참고정보서비스 영역에서의 발전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일부 공공도서관에서는 지역사회의 기록을 적극적으로 수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에 배치되어 있는 사서들의 기록관리 영역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살펴보는 동시에 국내 공공도서관에서의 아카이브 서비스 운영 사례를 조사하여, 공공도서관 현장에서의 기록관리와 아카이브 서비스에 대한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인천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서들을 대상으로, 크게 “기록관리 현황 및 인식 조사”와 “공공도서관 아카이브 서비스 인식 및 실태조사” 두 가지 영역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국내 공공도서관에서의 아카이브 서비스 운영 사례를 웹사이트를 통해 조사하였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이 공공도서관에서의 기록관리와 아카이브 서비스가 나아갈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지역, 공동체, 그리고 마을과 함께하는 기록관리, 그리고 아카이브 서비스 운영. 둘째. 공공도서관에서의 기록물 수집범위의 확장. 셋째. 사서들의 기록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인력 및 교육 문제의 해결. 넷째. 매력적인 아카이브 서비스의 개발과 그 운영. 다섯째. 예산과 행정적 제도의 장애 해결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향성을 가지고 도서관에서의 기록관리, 그리고 아카이브 서비스가 운영된다면, 기존 기록관 영역에서 해소하지 못한 부분을 보완하는 동시에 기록관리 관련 체계 및 서비스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공중의 정보이용·독서활동·문화활동 및 평생교육을 위하여 설립·운영되는 공공도서관은 설립주체와 운영방식 등에 따라 다양한 운영 주체로 구성되어 그 운영주체에 따라 각 도서관의 기록물 관리 실정은 각기 상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9~2023)에서는 도서관을 위한 기록관리체계에 대한 추진과제가 부재한 상황으로 각 도서관 운영 주체 별로 일관되지 않은 기록물 관리 실정이 예상된다. 한편 도서관 운영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배치되는 사서 인력은 사서자격증 발급을 위한 교육과정 이수 시, 기록관리 영역과 연관된 교과목을 이수할 것으로 예상되어 일반 공공기관 등에 비해 기록물 관리 업무에 대하여 다른 양상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최근 도서관에서는 전통적인 정보자료의 수집 뿐만 아니라 도서관 사업의 확장 및 연계 홍보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자체적으로 발간하거나 수집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도서 중심의 자료 관리 체계에서는 새로운 유형의 자료를 관리하기 어려워 기록관리 체계를 도입하여 자료를 관리한다면 자료관리 영역과 참고정보서비스 영역에서의 발전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일부 공공도서관에서는 지역사회의 기록을 적극적으로 수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에 배치되어 있는 사서들의 기록관리 영역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살펴보는 동시에 국내 공공도서관에서의 아카이브 서비스 운영 사례를 조사하여, 공공도서관 현장에서의 기록관리와 아카이브 서비스에 대한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인천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서들을 대상으로, 크게 “기록관리 현황 및 인식 조사”와 “공공도서관 아카이브 서비스 인식 및 실태조사” 두 가지 영역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국내 공공도서관에서의 아카이브 서비스 운영 사례를 웹사이트를 통해 조사하였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이 공공도서관에서의 기록관리와 아카이브 서비스가 나아갈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지역, 공동체, 그리고 마을과 함께하는 기록관리, 그리고 아카이브 서비스 운영. 둘째. 공공도서관에서의 기록물 수집범위의 확장. 셋째. 사서들의 기록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인력 및 교육 문제의 해결. 넷째. 매력적인 아카이브 서비스의 개발과 그 운영. 다섯째. 예산과 행정적 제도의 장애 해결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향성을 가지고 도서관에서의 기록관리, 그리고 아카이브 서비스가 운영된다면, 기존 기록관 영역에서 해소하지 못한 부분을 보완하는 동시에 기록관리 관련 체계 및 서비스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Public libraries established and operated for public information use, reading activities, cultural activities, and lifelong education are expected to consist of various operating entities depending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method. In addition, in the 3rd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
Public libraries established and operated for public information use, reading activities, cultural activities, and lifelong education are expected to consist of various operating entities depending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method. In addition, in the 3rd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 (2019-2023), there is no task to promote the record management system for libraries, and records management is expected to be inconsistent for each library operator. On the other hand, librarians, who are essential for library operation, are expected to complete courses related to the record management area when completing the curriculum for issuing librarianship certificates, and are expected to have different aspects of record management work compared to general public institutions. In addition, in recent years, libraries have been publishing or collecting various types of data not only to collect traditional information data, but also to expand and promote the library business.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manage new types of data in the existing book-oriented data management system, and if the data is managed by introducing a record management system, it is expected to develop in the data management area and 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area, while some public libraries are actively collecting community records.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 and current status of record management at public library sites, while also examining the overall perception of the record management area of librarians deployed in public libraries. For the above research problems, a survey was conducted on two areas: "Record Management Status and Perception Survey" and "Public Library Archive Service Recognition and Status Survey" for librarians working at public libraries loca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t the same time, cases of the operation of archive services in domestic and foreign public librarie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website. Therefore, it was intended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record management and archive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as follows. First, the management of records with local, community, and village, and the operation of archive services. Second, expansion of the scope of collection of records in public libraries. Third, librarians' overall perception of record management and solving manpower and education problems. Fourth,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ttractive archive services. Fifth, it suggested resolving obstacles to the budget and administrative system. If record management and archive services are operated in the library with this direction, the development of record management-related systems and services can be expected while supplementing the areas that have not been resolved in the existing archives.
Public libraries established and operated for public information use, reading activities, cultural activities, and lifelong education are expected to consist of various operating entities depending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method. In addition, in the 3rd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 (2019-2023), there is no task to promote the record management system for libraries, and records management is expected to be inconsistent for each library operator. On the other hand, librarians, who are essential for library operation, are expected to complete courses related to the record management area when completing the curriculum for issuing librarianship certificates, and are expected to have different aspects of record management work compared to general public institutions. In addition, in recent years, libraries have been publishing or collecting various types of data not only to collect traditional information data, but also to expand and promote the library business.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manage new types of data in the existing book-oriented data management system, and if the data is managed by introducing a record management system, it is expected to develop in the data management area and 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area, while some public libraries are actively collecting community records.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 and current status of record management at public library sites, while also examining the overall perception of the record management area of librarians deployed in public libraries. For the above research problems, a survey was conducted on two areas: "Record Management Status and Perception Survey" and "Public Library Archive Service Recognition and Status Survey" for librarians working at public libraries loca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t the same time, cases of the operation of archive services in domestic and foreign public librarie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website. Therefore, it was intended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record management and archive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as follows. First, the management of records with local, community, and village, and the operation of archive services. Second, expansion of the scope of collection of records in public libraries. Third, librarians' overall perception of record management and solving manpower and education problems. Fourth,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ttractive archive services. Fifth, it suggested resolving obstacles to the budget and administrative system. If record management and archive services are operated in the library with this direction, the development of record management-related systems and services can be expected while supplementing the areas that have not been resolved in the existing archiv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