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은 세계에서 5번째로 흔한 암으로, 우리나라 위암 발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대표적인 위암치료방법으로 최소침습술을 이용한 위 절제술이 있으며, 이러한 최소침습술을 이용한 위 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은 식이 감소 및 신체기능이 저하된다. 신체기능은 암환자의 생존을 예측하는 도구로 활용되고 있으며, 저하된 신체기능은 심혈관 기능 장애, 골격근 기능 장애, 그리고 ...
위암은 세계에서 5번째로 흔한 암으로, 우리나라 위암 발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대표적인 위암치료방법으로 최소침습술을 이용한 위 절제술이 있으며, 이러한 최소침습술을 이용한 위 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은 식이 감소 및 신체기능이 저하된다. 신체기능은 암환자의 생존을 예측하는 도구로 활용되고 있으며, 저하된 신체기능은 심혈관 기능 장애, 골격근 기능 장애, 그리고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지기 때문에 수술 후 신체기능 회복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운동은 신체기능, 골격근, 심혈관 장애를 개선시키지만, 아직까지 위암 수술 후 운동중재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현저히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암 수술 직후 운동 중재가 위암 환자의 신체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신촌 S병원에서 위암 수술을 받은 환자 총 52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6명이 측정을 완료하지 못해 4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나이: 60.2±12.2, 남성: 56.5%, 위암기수: 1~3기). 운동중재 방법으로 수술 후 총 4번의 운동중재를 진행하였다. 2번의 운동 중재는 수술 후 1일, 2일차에 하루 1회씩 운동전문가가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운동중재를 실시하였다. 나머지 2번의 운동 중재는 퇴원 후 각 1주차에 가정기반 운동중재(비대면 운동중재)와 함께 운동정보가 담겨있는 운동일지, 운동영상을 제공하였다. 퇴원 후 운동은 하루 30분 이상의 저강도-중강도 유산소운동과 맨몸 근력운동을 하는 것을 권장하였다. 운동군의 총 운동중재 참여율은 87.5% 였으며, 운동 순응도는 82.6%였다. 위암 수술 후 운동중재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주 효과 변인은 간편 신체수행검사로 이차적 변인은 하체 근지구력, 근력, 체성분지표, 염증지표, 삶의 질이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위암 수술 직후 운동중재는 간편 신체수행검사 점수를 유의하게 향상시켰다(운동군: 11.33점; 95%CI 10.78~11.89 대조군: 10.68점; 95%CI 10.05~11.31). 둘째, 위암 수술 직후 운동중재는 하체 근지구력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운동군: 13.96개; 95%CI 12.72~15.20 대조군: 13.55개; 95%CI 11.54~15.55). 셋째, 위암 수술 직후 운동중재는 염증지표인 C-반응성 단백질을 유의하게 개선시켰다(운동군: 67.40mg/L; 95%CI 50.52~84.28 대조군 103.76mg/L; 95%CI 79.70~127.81).넷째, 위암 수술 직후 운동중재는 수술 전 신체기능으로 회복한 인원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운동군: 71% 대조군: 36%). 본 연구는 위암 수술 후 조기에 운동중재를 개입함으로써 운동중재가 신체기능을 향상시키고 염증지표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암 수술 후 운동은 신체회복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제시가 가능하다. 그러나 본 연구의 추적기간이 수술 후 1차 외래로 짧은 기간동안 추적을 하였기 때문에 추후 장기 추적조사를 진행하는 연구를 통해 운동중재의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위암 수술 후 운동중재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위암은 세계에서 5번째로 흔한 암으로, 우리나라 위암 발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대표적인 위암치료방법으로 최소침습술을 이용한 위 절제술이 있으며, 이러한 최소침습술을 이용한 위 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은 식이 감소 및 신체기능이 저하된다. 신체기능은 암환자의 생존을 예측하는 도구로 활용되고 있으며, 저하된 신체기능은 심혈관 기능 장애, 골격근 기능 장애, 그리고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지기 때문에 수술 후 신체기능 회복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운동은 신체기능, 골격근, 심혈관 장애를 개선시키지만, 아직까지 위암 수술 후 운동중재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현저히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암 수술 직후 운동 중재가 위암 환자의 신체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신촌 S병원에서 위암 수술을 받은 환자 총 52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6명이 측정을 완료하지 못해 4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나이: 60.2±12.2, 남성: 56.5%, 위암기수: 1~3기). 운동중재 방법으로 수술 후 총 4번의 운동중재를 진행하였다. 2번의 운동 중재는 수술 후 1일, 2일차에 하루 1회씩 운동전문가가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운동중재를 실시하였다. 나머지 2번의 운동 중재는 퇴원 후 각 1주차에 가정기반 운동중재(비대면 운동중재)와 함께 운동정보가 담겨있는 운동일지, 운동영상을 제공하였다. 퇴원 후 운동은 하루 30분 이상의 저강도-중강도 유산소운동과 맨몸 근력운동을 하는 것을 권장하였다. 운동군의 총 운동중재 참여율은 87.5% 였으며, 운동 순응도는 82.6%였다. 위암 수술 후 운동중재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주 효과 변인은 간편 신체수행검사로 이차적 변인은 하체 근지구력, 근력, 체성분지표, 염증지표, 삶의 질이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위암 수술 직후 운동중재는 간편 신체수행검사 점수를 유의하게 향상시켰다(운동군: 11.33점; 95%CI 10.78~11.89 대조군: 10.68점; 95%CI 10.05~11.31). 둘째, 위암 수술 직후 운동중재는 하체 근지구력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운동군: 13.96개; 95%CI 12.72~15.20 대조군: 13.55개; 95%CI 11.54~15.55). 셋째, 위암 수술 직후 운동중재는 염증지표인 C-반응성 단백질을 유의하게 개선시켰다(운동군: 67.40mg/L; 95%CI 50.52~84.28 대조군 103.76mg/L; 95%CI 79.70~127.81).넷째, 위암 수술 직후 운동중재는 수술 전 신체기능으로 회복한 인원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운동군: 71% 대조군: 36%). 본 연구는 위암 수술 후 조기에 운동중재를 개입함으로써 운동중재가 신체기능을 향상시키고 염증지표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암 수술 후 운동은 신체회복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제시가 가능하다. 그러나 본 연구의 추적기간이 수술 후 1차 외래로 짧은 기간동안 추적을 하였기 때문에 추후 장기 추적조사를 진행하는 연구를 통해 운동중재의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위암 수술 후 운동중재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Gastric cancer is highly prevalent in South Korea. The primary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most gastric cancer patients is minimally invasive surgery. However, this therapeutic approach often results in diminished dietary intake and compromised physical function among patients. Deterior...
Gastric cancer is highly prevalent in South Korea. The primary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most gastric cancer patients is minimally invasive surgery. However, this therapeutic approach often results in diminished dietary intake and compromised physical function among patients. Deterioration in physical function is linked to the complex consequences of cardiovascular and skeletal muscle function impairment for this reason, the importance of postoperative physical function recovery is emphasized. However, there has been insufficient research conducted on the physical function of patients who have undergone gastric cancer surger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ercise after gastrectomy on physical recovery in gastric cancer patients (Stages 1-3). 52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postoperative exercise or usual care (1:1 ratio). The in-patient post-operative exercise intervention involved 15 minutes of supervised resistance exercise once and encouraging walking the hallway on postoperative days (POD)1, 2. Discharged patients received two remote exercise interventions and were instructed to engage in daily 30 minutes of walking and one set of bodyweight exercises. Measurements were taken three times (Baseline, POD3, and the first outpatient(follow-up)). The primary outcome was the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SPPB), and the secondary outcomes were grip strength, 30-second sit-to-stand (STS), body composition, quality of life, incidence of orthostatic hypotension, and blood marker(inflammation). The 46 (88%) participants completed. Compliance with supervised inpatient exercise sessions was 96% and remote exercise was 79%.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PPB scores of 11.3±1.31 in the exercise compared with 10.7±1.43 usual care. Moreo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STS exercise group 14.0±2.94 usual care group 13.6±4.52, and inflammatory markers in POD3 C-reactive protein exercise group 66.9±40.73 usual care group 103.7±54.2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ip strength, body composition, quality of life, and incidence of orthostatic hypotension. In conclusion, Postoperative exercise presents a strategy to enhance physical recovery in patients undergoing gastrectomy, improving physical function, and reducing inflammation.
Gastric cancer is highly prevalent in South Korea. The primary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most gastric cancer patients is minimally invasive surgery. However, this therapeutic approach often results in diminished dietary intake and compromised physical function among patients. Deterioration in physical function is linked to the complex consequences of cardiovascular and skeletal muscle function impairment for this reason, the importance of postoperative physical function recovery is emphasized. However, there has been insufficient research conducted on the physical function of patients who have undergone gastric cancer surger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ercise after gastrectomy on physical recovery in gastric cancer patients (Stages 1-3). 52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postoperative exercise or usual care (1:1 ratio). The in-patient post-operative exercise intervention involved 15 minutes of supervised resistance exercise once and encouraging walking the hallway on postoperative days (POD)1, 2. Discharged patients received two remote exercise interventions and were instructed to engage in daily 30 minutes of walking and one set of bodyweight exercises. Measurements were taken three times (Baseline, POD3, and the first outpatient(follow-up)). The primary outcome was the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SPPB), and the secondary outcomes were grip strength, 30-second sit-to-stand (STS), body composition, quality of life, incidence of orthostatic hypotension, and blood marker(inflammation). The 46 (88%) participants completed. Compliance with supervised inpatient exercise sessions was 96% and remote exercise was 79%.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PPB scores of 11.3±1.31 in the exercise compared with 10.7±1.43 usual care. Moreo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STS exercise group 14.0±2.94 usual care group 13.6±4.52, and inflammatory markers in POD3 C-reactive protein exercise group 66.9±40.73 usual care group 103.7±54.2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ip strength, body composition, quality of life, and incidence of orthostatic hypotension. In conclusion, Postoperative exercise presents a strategy to enhance physical recovery in patients undergoing gastrectomy, improving physical function, and reducing inflammation.
Keyword
#위암 수술 직후 근거기반 운동프로그램 무작위 대조 연구 gastric cancer post-operative evidence-based exercise program
학위논문 정보
저자
이태호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스포츠응용산업학과
지도교수
전용관
발행연도
2024
총페이지
viii, 92장
키워드
위암 수술 직후 근거기반 운동프로그램 무작위 대조 연구 gastric cancer post-operative evidence-based exercise program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