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사회와 세계화 그리고 다문화 된 우리의 미래 사회에서 음악 교과는 음악을 통해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다른 사람들의 다양한 표현을 이해하고 소통하며 공동체 속에서 주도적이고 사회 발전을 이끄는 사람으로 성장시키는 데 목적과 방향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이 시작된 제1차 교육과정부터 가장 최근 개정된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오랜 차시에 걸쳐서 공통으로 음악 교과에 제시되고 있는 핵심은 바로 심미적 경험, 음악적 경험 즉 예술적 경험이다. 이는 지속적인 문제점으로 언급되고 있는 이론 중심, 지식 전달 위주의 주입식 ...
4차 산업사회와 세계화 그리고 다문화 된 우리의 미래 사회에서 음악 교과는 음악을 통해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다른 사람들의 다양한 표현을 이해하고 소통하며 공동체 속에서 주도적이고 사회 발전을 이끄는 사람으로 성장시키는 데 목적과 방향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이 시작된 제1차 교육과정부터 가장 최근 개정된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오랜 차시에 걸쳐서 공통으로 음악 교과에 제시되고 있는 핵심은 바로 심미적 경험, 음악적 경험 즉 예술적 경험이다. 이는 지속적인 문제점으로 언급되고 있는 이론 중심, 지식 전달 위주의 주입식 음악교육의 해결점으로도 언급된다. 국가 교육과정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예술적 경험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도록 개정되는 교육과정마다 성격 및 목표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제시하였으나, 현 교육 현장에서는 여전히 지식 위주의 학습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기존의 심미적 경험을 통한 교수 학습 방법이 현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없는 이유를 선행연구 및 문헌을 통해 분석하였고, 음악교육이 실제로 교육 현장에서 적용되지 못하는 이유를 음악에 대한 교사와 학습자의 개념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악 수업에서 필요한 여러 가지 음악 개념을 조사하여 이를 음악교육현장에서 적용 가능하도록 정의 하였으며, 학습자의 관점에서 음악을 통해 인식되는 감정과 느낌에 대해 구체화하여 교수 학습 방법 및 지도안을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 예술적 경험을 효과적으로 일어나기 위해서 인간이 예술을 인지하는 신경회로를 분석하였으며, 이는 표상과 감정적 반응(감정과 느낌)을 통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들이 제시했던 심미적 경험을 위한 교수·학습 이론 모형에서 감정과 느낌의 단계를 추가하여 새로운 예술적 경험을 위한 교수· 학습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지도안을 예시로 제시하였다. 이는 예술적 경험에 대한 중요성은 인지하고 있으나, 현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기에 현실성이 없는 문제점들을 보완한 교수·학습 설계이므로 이것이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었을 때 음악교육의 질이 높아질 것을 기대하고 있다.
4차 산업사회와 세계화 그리고 다문화 된 우리의 미래 사회에서 음악 교과는 음악을 통해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다른 사람들의 다양한 표현을 이해하고 소통하며 공동체 속에서 주도적이고 사회 발전을 이끄는 사람으로 성장시키는 데 목적과 방향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이 시작된 제1차 교육과정부터 가장 최근 개정된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오랜 차시에 걸쳐서 공통으로 음악 교과에 제시되고 있는 핵심은 바로 심미적 경험, 음악적 경험 즉 예술적 경험이다. 이는 지속적인 문제점으로 언급되고 있는 이론 중심, 지식 전달 위주의 주입식 음악교육의 해결점으로도 언급된다. 국가 교육과정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예술적 경험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도록 개정되는 교육과정마다 성격 및 목표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제시하였으나, 현 교육 현장에서는 여전히 지식 위주의 학습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기존의 심미적 경험을 통한 교수 학습 방법이 현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없는 이유를 선행연구 및 문헌을 통해 분석하였고, 음악교육이 실제로 교육 현장에서 적용되지 못하는 이유를 음악에 대한 교사와 학습자의 개념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악 수업에서 필요한 여러 가지 음악 개념을 조사하여 이를 음악교육현장에서 적용 가능하도록 정의 하였으며, 학습자의 관점에서 음악을 통해 인식되는 감정과 느낌에 대해 구체화하여 교수 학습 방법 및 지도안을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 예술적 경험을 효과적으로 일어나기 위해서 인간이 예술을 인지하는 신경회로를 분석하였으며, 이는 표상과 감정적 반응(감정과 느낌)을 통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들이 제시했던 심미적 경험을 위한 교수·학습 이론 모형에서 감정과 느낌의 단계를 추가하여 새로운 예술적 경험을 위한 교수· 학습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지도안을 예시로 제시하였다. 이는 예술적 경험에 대한 중요성은 인지하고 있으나, 현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기에 현실성이 없는 문제점들을 보완한 교수·학습 설계이므로 이것이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었을 때 음악교육의 질이 높아질 것을 기대하고 있다.
In the future society of the 4th industrial society,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ism, music education aims to express individual creativity through the medium of music, empathize with and communicate with the diverse expressions of others, and cultivate talents who lead the community and society...
In the future society of the 4th industrial society,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ism, music education aims to express individual creativity through the medium of music, empathize with and communicate with the diverse expressions of others, and cultivate talents who lead the community and society. It has direc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implement ‘music education method through artistic experience’ in the field of music education, we redefine the etymology and concepts of music and art into modern classifications and pres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necessary for school music education. The aesthetic standards that humans consider music to be beautiful were examined from a neuroaesthetic perspective, and cognitive conditions were conceptualized to specifically present the conditions necessary to achieve artistic experiences through music. In order to provide music education for artistic experience, learning must be done by connecting the musical characteristics that make up music (rhythm, melody, harmony, melody, etc.) with the learner's personal experience, and the uniform method of musical expression prescribed in the textbook must be acquired. Rather, we should cultivate each student’s musical expressivenes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a teaching method that can be used in school settings by subdividing the stages of musical appreciation and human emotion so that artistic experiences can be concretely achieved in school music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middle school students, but it is proposed to be extended to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as well. In addition, in the area of expression, guidelines were presented only for Western music singing, but it is proposed that they be applied to Korean traditional music singing as well as music and expression activities from various countries.
In the future society of the 4th industrial society,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ism, music education aims to express individual creativity through the medium of music, empathize with and communicate with the diverse expressions of others, and cultivate talents who lead the community and society. It has direc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implement ‘music education method through artistic experience’ in the field of music education, we redefine the etymology and concepts of music and art into modern classifications and pres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necessary for school music education. The aesthetic standards that humans consider music to be beautiful were examined from a neuroaesthetic perspective, and cognitive conditions were conceptualized to specifically present the conditions necessary to achieve artistic experiences through music. In order to provide music education for artistic experience, learning must be done by connecting the musical characteristics that make up music (rhythm, melody, harmony, melody, etc.) with the learner's personal experience, and the uniform method of musical expression prescribed in the textbook must be acquired. Rather, we should cultivate each student’s musical expressivenes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a teaching method that can be used in school settings by subdividing the stages of musical appreciation and human emotion so that artistic experiences can be concretely achieved in school music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middle school students, but it is proposed to be extended to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as well. In addition, in the area of expression, guidelines were presented only for Western music singing, but it is proposed that they be applied to Korean traditional music singing as well as music and expression activities from various countri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