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탄광은 1980년대 정부의 석탄산업합리화 정책 이후, 점차 사양화의 길을 걷기 시작하였다. 국가적인 에너지 공급 구조의 변화와 환경 문제 등으로 석탄의 수요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는 폐광의 현실화에 대비하기 위해 석 탄산업법을 개정하여 폐광 지원에 대한 근거 규정을 마련하고, 폐광지원사업을 시행하게 된다. 화순탄광은 2023년 6월 폐광되었으며, 화순탄광 부지의 지역 대 체산업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기 때문에 시설물의 보존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화순탄광이 보유한 시설물의 산업유산적 가치를 연구하고, 보존의 방안에 대해 살핌으로써 보존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첫째, 2장에서는 화순탄광의 최초부터 폐광까지 역사적 흐름과 ...
화순탄광은 1980년대 정부의 석탄산업합리화 정책 이후, 점차 사양화의 길을 걷기 시작하였다. 국가적인 에너지 공급 구조의 변화와 환경 문제 등으로 석탄의 수요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는 폐광의 현실화에 대비하기 위해 석 탄산업법을 개정하여 폐광 지원에 대한 근거 규정을 마련하고, 폐광지원사업을 시행하게 된다. 화순탄광은 2023년 6월 폐광되었으며, 화순탄광 부지의 지역 대 체산업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기 때문에 시설물의 보존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화순탄광이 보유한 시설물의 산업유산적 가치를 연구하고, 보존의 방안에 대해 살핌으로써 보존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첫째, 2장에서는 화순탄광의 최초부터 폐광까지 역사적 흐름과 지역사회에 미 친 영향을 검토하였다. 화순탄광은 1905년 최초로 석탄이 매장된 것이 발견된 이후로 2023년 폐광까지 118년간 지역 에너지 산업의 중축으로서 지역의 경제 와 산업 발전을 이끌어왔다. 광복 후 미군정 운영을 거쳐, 대한석탄공사 창립 후 에는 화순광업소로 통합 인수되어 운영되어왔다. 또한 미군정기 및 1980년대에 화순탄광 노동자들은 자주관리운동을 펼치는 등 역사적 의의를 갖는 산업 현장 이다. 둘째, 3장에서는 화순탄광이 보유한 갱 및 시설물의 공간 구조를 파악하고, 산 업사적으로 지니는 특징을 도출하였다. 화순탄광의 전체 면적은 3,073㏊(30.73 ㎢)이며, 보유하고 있는 건물은 57개이다. 본고에서는 해당 영역을 선탄시설·선 탄장 길·욕장·복암갱·기타 영역으로 구분하여 구조를 파악하였으며, 화순탄광이 보유한 중액선탄기와 선탄장 길, 욕장 건물을 중심으로 산업사적 특징을 파악하 였다. 화순탄광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광물의 비중을 이용하여 선별하는 중액선탄 법의 방식을 따르고 있으며, 보유한 선탄시설 중 중액선탄기는 해당 특징을 잘 드러내고 있다. 또한 축전차 레일이 깔려 사갱의 탄광 공정이 드러나는 선탄장 길이 있으며, 장화세척실과 욕탕 등을 보유한 욕장 건물은 광부의 작업안전문화 를 드러낸다. 셋째, 4장에서는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된 폐탄광의 사례를 검토하고, 화순탄 광의 보존 대상과 보존 방안을 제안하였다.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된 문화재는 태백 철암역두 선탄시설, 태백 장성이중교, 영양 구 용화광산 선광장, 문경 구 가 은역 등 총 4건이 있으며, 각 문화재의 보존 시설물과 활용 현황을 살펴보았다. 화순탄광의 보존 대상은 ‘화순탄광의 공간’과 ‘화순탄광의 기억’으로 범주화하 였다. 화순탄광의 공간은 화순탄광이 보유하고 있는 건물과 구축물 중 중액선탄 기를 포함한 선탄시설, 각종 자재창고가 이어져 있으며 축전차 레일이 깔려있는 선탄장 길, 그리고 욕장 건물이다. 화순탄광의 기억은 화순탄광의 근로자나 관련 인물들의 구술자료나 행정 기록물 등이다. 보존 방안으로는 국내외에서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폐탄광 관련 산업유산 의 사례 검토를 통해, 기념관 건립과 복합문화공간 조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화순탄광의 산업유산으로서의 가치를 발굴하고, 화순탄 광의 보존 필요성에 대하여 제언을 하는 기초적 연구에 목적을 두었다.
화순탄광은 1980년대 정부의 석탄산업합리화 정책 이후, 점차 사양화의 길을 걷기 시작하였다. 국가적인 에너지 공급 구조의 변화와 환경 문제 등으로 석탄의 수요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는 폐광의 현실화에 대비하기 위해 석 탄산업법을 개정하여 폐광 지원에 대한 근거 규정을 마련하고, 폐광지원사업을 시행하게 된다. 화순탄광은 2023년 6월 폐광되었으며, 화순탄광 부지의 지역 대 체산업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기 때문에 시설물의 보존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화순탄광이 보유한 시설물의 산업유산적 가치를 연구하고, 보존의 방안에 대해 살핌으로써 보존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첫째, 2장에서는 화순탄광의 최초부터 폐광까지 역사적 흐름과 지역사회에 미 친 영향을 검토하였다. 화순탄광은 1905년 최초로 석탄이 매장된 것이 발견된 이후로 2023년 폐광까지 118년간 지역 에너지 산업의 중축으로서 지역의 경제 와 산업 발전을 이끌어왔다. 광복 후 미군정 운영을 거쳐, 대한석탄공사 창립 후 에는 화순광업소로 통합 인수되어 운영되어왔다. 또한 미군정기 및 1980년대에 화순탄광 노동자들은 자주관리운동을 펼치는 등 역사적 의의를 갖는 산업 현장 이다. 둘째, 3장에서는 화순탄광이 보유한 갱 및 시설물의 공간 구조를 파악하고, 산 업사적으로 지니는 특징을 도출하였다. 화순탄광의 전체 면적은 3,073㏊(30.73 ㎢)이며, 보유하고 있는 건물은 57개이다. 본고에서는 해당 영역을 선탄시설·선 탄장 길·욕장·복암갱·기타 영역으로 구분하여 구조를 파악하였으며, 화순탄광이 보유한 중액선탄기와 선탄장 길, 욕장 건물을 중심으로 산업사적 특징을 파악하 였다. 화순탄광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광물의 비중을 이용하여 선별하는 중액선탄 법의 방식을 따르고 있으며, 보유한 선탄시설 중 중액선탄기는 해당 특징을 잘 드러내고 있다. 또한 축전차 레일이 깔려 사갱의 탄광 공정이 드러나는 선탄장 길이 있으며, 장화세척실과 욕탕 등을 보유한 욕장 건물은 광부의 작업안전문화 를 드러낸다. 셋째, 4장에서는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된 폐탄광의 사례를 검토하고, 화순탄 광의 보존 대상과 보존 방안을 제안하였다.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된 문화재는 태백 철암역두 선탄시설, 태백 장성이중교, 영양 구 용화광산 선광장, 문경 구 가 은역 등 총 4건이 있으며, 각 문화재의 보존 시설물과 활용 현황을 살펴보았다. 화순탄광의 보존 대상은 ‘화순탄광의 공간’과 ‘화순탄광의 기억’으로 범주화하 였다. 화순탄광의 공간은 화순탄광이 보유하고 있는 건물과 구축물 중 중액선탄 기를 포함한 선탄시설, 각종 자재창고가 이어져 있으며 축전차 레일이 깔려있는 선탄장 길, 그리고 욕장 건물이다. 화순탄광의 기억은 화순탄광의 근로자나 관련 인물들의 구술자료나 행정 기록물 등이다. 보존 방안으로는 국내외에서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폐탄광 관련 산업유산 의 사례 검토를 통해, 기념관 건립과 복합문화공간 조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화순탄광의 산업유산으로서의 가치를 발굴하고, 화순탄 광의 보존 필요성에 대하여 제언을 하는 기초적 연구에 목적을 두었다.
The Hwasun coal mine gradually began to decline after the government's coal industry rationalization policy in the 1980s. This is because the demand for coal has decreased due to changes in the national energy supply structure and environmental issues. Accordingly, in order to prepare for the realiz...
The Hwasun coal mine gradually began to decline after the government's coal industry rationalization policy in the 1980s. This is because the demand for coal has decreased due to changes in the national energy supply structure and environmental issues. Accordingly, in order to prepare for the realization of abandoned mines, the government revised the Coal Industry Act to prepare basic regulations for supporting abandoned mines, and implement projects for supporting abandoned mines. The Hwasun coal mine was closed in June 2023, but since the focus was on local alternative industries at the Hwasun coal mine site, it was necessary to discuss the preservation of facilities. This paper attempte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preservation by studying the industrial heritage value of the facilities owned by Hwasun coal mine and examining the preservation plan. First, Chapter 2 examines the historical flow of the Hwasun coal mine from its beginning to its closure and its impact on the local community. The Hwasun coal mine has led the region’s economic and industrial development as a central axis of the local energy industry for 118 years since the first coal deposit was discovered in 1905 until its closure in 2023. After liberation, it was operated by the U.S. millitary government,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 Coal Corporation, it was acquired and operated as Hwasun Mining Complex. In addition, it is an industrial site with historical significance due to the self-management movement of workers at the Hwasun coal mine during the U.S. military administration and the 1980s. Second, in Chapter 3, the spatial structure of pits and facilities owned by Hwasun Coal Mine was identifi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history were derived. The total area of the Hwasun coal mine is 3,073㏊ (30.73㎢), and it has 57 buildings. In this paper, the structure was identified by dividing the area into coal facilities, coal paths, bathhouse, bokamgangs, and other area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history were identified centering on the heavy-liquid coal tankers, coal paths, and bath buildings owned by Hwasun Coal Mine. Hwasun Coal Mine is the only coal mine in Korea that follows the heavy-liquid coal method of sorting using the proportion of minerals, and among the coal facilities owned, the heavy-liquid coal tank clearly reveals its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re is a coal field length where the coal mining process of the sand shaft is revealed by laying a power storage car rail, and the bath building with boot washing rooms and baths reveals the work safety culture of miners. Third, in Chapter 4, the cases of abandoned coal mines designated as national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were reviewed, and the preservation targets and preservation measures of Hwasun coal mines were proposed. There are a total of four cultural properties designated as national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Taebaek Cheolam Station Du Suntan Facility, Taebaek Jangseong Bridge, Yeongyang-gu Yonghwa Mine Sun Plaza, and Mungyeong-gu Gaeun Station, and the preservation facilities and utilization status of each cultural property were examined. The preservation targets of the Hwasun coal mine were categorized into 'space of Hwasun coal mine' and 'memory of Hwasun coal mine'. The space of the Hwasun coal mine is a building owned by the Hwasun coal mine, a tanning facility including heavy liquid coal, various material warehouses, and a tanning field road and a bath building with a capacitor rail. The memory of the Hwasun coal mine is oral data and records of workers and related people in the Hwasun coal mine. As a preservation plan, the construction of a memorial hall and the creation of a complex cultural space were proposed through a review of the case of industrial heritage related to abandoned coal mines that were successfully operated at home and abroa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ltimately discover the value of the Hwasun coal mines as an industrial heritage and to make suggestions on the necessity of preserving them.
The Hwasun coal mine gradually began to decline after the government's coal industry rationalization policy in the 1980s. This is because the demand for coal has decreased due to changes in the national energy supply structure and environmental issues. Accordingly, in order to prepare for the realization of abandoned mines, the government revised the Coal Industry Act to prepare basic regulations for supporting abandoned mines, and implement projects for supporting abandoned mines. The Hwasun coal mine was closed in June 2023, but since the focus was on local alternative industries at the Hwasun coal mine site, it was necessary to discuss the preservation of facilities. This paper attempte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preservation by studying the industrial heritage value of the facilities owned by Hwasun coal mine and examining the preservation plan. First, Chapter 2 examines the historical flow of the Hwasun coal mine from its beginning to its closure and its impact on the local community. The Hwasun coal mine has led the region’s economic and industrial development as a central axis of the local energy industry for 118 years since the first coal deposit was discovered in 1905 until its closure in 2023. After liberation, it was operated by the U.S. millitary government,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 Coal Corporation, it was acquired and operated as Hwasun Mining Complex. In addition, it is an industrial site with historical significance due to the self-management movement of workers at the Hwasun coal mine during the U.S. military administration and the 1980s. Second, in Chapter 3, the spatial structure of pits and facilities owned by Hwasun Coal Mine was identifi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history were derived. The total area of the Hwasun coal mine is 3,073㏊ (30.73㎢), and it has 57 buildings. In this paper, the structure was identified by dividing the area into coal facilities, coal paths, bathhouse, bokamgangs, and other area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history were identified centering on the heavy-liquid coal tankers, coal paths, and bath buildings owned by Hwasun Coal Mine. Hwasun Coal Mine is the only coal mine in Korea that follows the heavy-liquid coal method of sorting using the proportion of minerals, and among the coal facilities owned, the heavy-liquid coal tank clearly reveals its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re is a coal field length where the coal mining process of the sand shaft is revealed by laying a power storage car rail, and the bath building with boot washing rooms and baths reveals the work safety culture of miners. Third, in Chapter 4, the cases of abandoned coal mines designated as national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were reviewed, and the preservation targets and preservation measures of Hwasun coal mines were proposed. There are a total of four cultural properties designated as national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Taebaek Cheolam Station Du Suntan Facility, Taebaek Jangseong Bridge, Yeongyang-gu Yonghwa Mine Sun Plaza, and Mungyeong-gu Gaeun Station, and the preservation facilities and utilization status of each cultural property were examined. The preservation targets of the Hwasun coal mine were categorized into 'space of Hwasun coal mine' and 'memory of Hwasun coal mine'. The space of the Hwasun coal mine is a building owned by the Hwasun coal mine, a tanning facility including heavy liquid coal, various material warehouses, and a tanning field road and a bath building with a capacitor rail. The memory of the Hwasun coal mine is oral data and records of workers and related people in the Hwasun coal mine. As a preservation plan, the construction of a memorial hall and the creation of a complex cultural space were proposed through a review of the case of industrial heritage related to abandoned coal mines that were successfully operated at home and abroa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ltimately discover the value of the Hwasun coal mines as an industrial heritage and to make suggestions on the necessity of preserving them.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