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알테미아 부화율 개선 효능을 위한 마이크로바이옴 비교분석 연구 Comparative Microbiome Analysis of Artemia spp. Revealed Species-Specific Microbiota Promoting Cyst Hatching원문보기
다양한 해양 생물 유생의 생먹이로 활용되고 있는 알테미아의 마이크로바이옴은 숙주에게 전달되며, 장내 서식을 통해 유생의 건강에 영향을 준다. 이는 양식 생산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이에 대한 이해와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먹이 마이크로바이옴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생먹이 양식 환경에 대한 사전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생먹이 마이크로바이옴은 생물 간에 차이를 보이며, 특정 생물의 배양수와 개체에서도 차이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알테미아의 경우, ...
다양한 해양 생물 유생의 생먹이로 활용되고 있는 알테미아의 마이크로바이옴은 숙주에게 전달되며, 장내 서식을 통해 유생의 건강에 영향을 준다. 이는 양식 생산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이에 대한 이해와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먹이 마이크로바이옴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생먹이 양식 환경에 대한 사전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생먹이 마이크로바이옴은 생물 간에 차이를 보이며, 특정 생물의 배양수와 개체에서도 차이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알테미아의 경우, 로티퍼 (Rotifers)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순한 마이크로바이옴을 가지며, 비브리오균의 상대적 풍부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알테미아 마이크로바이옴의 비교를 위해 현재 유통되고 있는 알테미아 내구란 (Cysts) 세 가지 제품(P1, P2, P3)에 대한 종 동정을 진행하고, 크기, 부화율을 관찰하였으며, 배양수와 개체의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내구란의 크기가 가장 크고, 가장 낮은 부화율을 보였던 P1은 Artemia tibetiana로 확인되었으며, P1에 비해 내구란의 크기가 작고, 높은 부화율을 보였던 P2와 P3는 Artemia franciscana로 확인되었다. 각 제품별, 배양수와 개체의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 제품 종류와 샘플 유형에 따른 특정 미생물 구성이 확인되었으며, 배양수의 미생물 구성은 제조 환경과 관련이 있는 반면, 개체 전체의 미생물 구성은 종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으며, 특정 미생물의 존재 유무가 부화율과의 연관성이 있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알테미아 유래 물질을 통한 부화율 개선 실험에서 P3 개체의 미생물 함유 추출물이 A. tibetiana의 부화율을 증가시켜 알테미아 배양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해당 추출물에서 분리한 Exiguobacterium acetylicum의 단일 처리 배양에서도 그 효능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진행한 Exiguobacterium spp. 5종에 대한 단일 처리 실험 결과, E. oxidotolerans가 낭종 표면에 군집화 현상을 나타내며, 알테미아 부화율을 유의미하게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알테미아에 존재하는 마이크로바이옴이 제품 및/또는 종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며, 양식 생산에서 미생물의 중요성과 다양한 미생물의 활용을 통한 알테미아 부화율 개선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양한 해양 생물 유생의 생먹이로 활용되고 있는 알테미아의 마이크로바이옴은 숙주에게 전달되며, 장내 서식을 통해 유생의 건강에 영향을 준다. 이는 양식 생산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이에 대한 이해와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먹이 마이크로바이옴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생먹이 양식 환경에 대한 사전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생먹이 마이크로바이옴은 생물 간에 차이를 보이며, 특정 생물의 배양수와 개체에서도 차이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알테미아의 경우, 로티퍼 (Rotifers)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순한 마이크로바이옴을 가지며, 비브리오균의 상대적 풍부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알테미아 마이크로바이옴의 비교를 위해 현재 유통되고 있는 알테미아 내구란 (Cysts) 세 가지 제품(P1, P2, P3)에 대한 종 동정을 진행하고, 크기, 부화율을 관찰하였으며, 배양수와 개체의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내구란의 크기가 가장 크고, 가장 낮은 부화율을 보였던 P1은 Artemia tibetiana로 확인되었으며, P1에 비해 내구란의 크기가 작고, 높은 부화율을 보였던 P2와 P3는 Artemia franciscana로 확인되었다. 각 제품별, 배양수와 개체의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 제품 종류와 샘플 유형에 따른 특정 미생물 구성이 확인되었으며, 배양수의 미생물 구성은 제조 환경과 관련이 있는 반면, 개체 전체의 미생물 구성은 종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으며, 특정 미생물의 존재 유무가 부화율과의 연관성이 있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알테미아 유래 물질을 통한 부화율 개선 실험에서 P3 개체의 미생물 함유 추출물이 A. tibetiana의 부화율을 증가시켜 알테미아 배양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해당 추출물에서 분리한 Exiguobacterium acetylicum의 단일 처리 배양에서도 그 효능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진행한 Exiguobacterium spp. 5종에 대한 단일 처리 실험 결과, E. oxidotolerans가 낭종 표면에 군집화 현상을 나타내며, 알테미아 부화율을 유의미하게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알테미아에 존재하는 마이크로바이옴이 제품 및/또는 종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며, 양식 생산에서 미생물의 중요성과 다양한 미생물의 활용을 통한 알테미아 부화율 개선 가능성을 제시한다.
Brine shrimp (Artemia spp.) is a significant factor in determining aquaculture production. Since the microbiota of Artemia can colonize the gut in larvae, various microorganisms transmitted from Artemia can affect host larval health. Although the microbiota composition of Artemia would be essential ...
Brine shrimp (Artemia spp.) is a significant factor in determining aquaculture production. Since the microbiota of Artemia can colonize the gut in larvae, various microorganisms transmitted from Artemia can affect host larval health. Although the microbiota composition of Artemia would be essential in determining aquaculture productivity, our understanding of the microbiome of Artemia is still insufficient. Before this study, my study investigated the cultural conditions of live food from domestic aquaculture farms. Live foods were cultured in a variety of environments, and their microbiomes showed similarities between sample types, including organisms and rearing water. Among them, the microbiome of Artemia was relatively simpler in species diversity than rotifers, with a high relative abundance of Vibrio spp.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microbiome composition of Artemia species supplied by three different manufacturers (P1, P2, and P3) was conducted on this basis. The species of Artemia from P1 was identified as A. tibetiana, and P2 and P3 was A. franciscana. A. tibetiana hatched from the P1 cysts had the largest body size with the lowest hatching rate. As a result of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microbiome present in the rearing water and whole-body of each product, I observed specific microbiota compositions, both beneficial and harmful, depending on the product types and sample types. In addition, I found that the microbiota composition in the rearing water was associated with the manufacturing environment, while the compositions in the whole-body were species-specific. Notably, I discovered that an extract containing microbiota from the whole- body sample of P3 increased the hatching rate of A. tibetiana, indicating a positive role in Artemia culture. In addition, the positive effect of Exiguobacterium acetylicum isolated from the extract on the hatching rate was demonstrated. Furthermore, single treatment experiments with 5 Exiguobacterium spp. showed that Exiguobacterium oxidotolerans colonized the cyst surface and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hatchability of Artemia culture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microbial communities present in Artemia vary according to the product and/or species, underscoring their significance and availability in aquaculture production.
Brine shrimp (Artemia spp.) is a significant factor in determining aquaculture production. Since the microbiota of Artemia can colonize the gut in larvae, various microorganisms transmitted from Artemia can affect host larval health. Although the microbiota composition of Artemia would be essential in determining aquaculture productivity, our understanding of the microbiome of Artemia is still insufficient. Before this study, my study investigated the cultural conditions of live food from domestic aquaculture farms. Live foods were cultured in a variety of environments, and their microbiomes showed similarities between sample types, including organisms and rearing water. Among them, the microbiome of Artemia was relatively simpler in species diversity than rotifers, with a high relative abundance of Vibrio spp.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microbiome composition of Artemia species supplied by three different manufacturers (P1, P2, and P3) was conducted on this basis. The species of Artemia from P1 was identified as A. tibetiana, and P2 and P3 was A. franciscana. A. tibetiana hatched from the P1 cysts had the largest body size with the lowest hatching rate. As a result of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microbiome present in the rearing water and whole-body of each product, I observed specific microbiota compositions, both beneficial and harmful, depending on the product types and sample types. In addition, I found that the microbiota composition in the rearing water was associated with the manufacturing environment, while the compositions in the whole-body were species-specific. Notably, I discovered that an extract containing microbiota from the whole- body sample of P3 increased the hatching rate of A. tibetiana, indicating a positive role in Artemia culture. In addition, the positive effect of Exiguobacterium acetylicum isolated from the extract on the hatching rate was demonstrated. Furthermore, single treatment experiments with 5 Exiguobacterium spp. showed that Exiguobacterium oxidotolerans colonized the cyst surface and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hatchability of Artemia culture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microbial communities present in Artemia vary according to the product and/or species, underscoring their significance and availability in aquaculture produc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