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65세 이상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는 전기·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과 활용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확인하고 전기·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 및 활용 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의 직렬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연령집단을 세분화하여 전기·후기 노인의 연령집단별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2022 디지털 정보격차실태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했으며 864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후 전기·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활용 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의 직렬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Coutts와 Hayes(2022) 가 제안한 ...
본 연구는 국내 65세 이상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는 전기·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과 활용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확인하고 전기·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 및 활용 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의 직렬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연령집단을 세분화하여 전기·후기 노인의 연령집단별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2022 디지털 정보격차실태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했으며 864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후 전기·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활용 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의 직렬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Coutts와 Hayes(2022) 가 제안한 Process Macro 6번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 관련 요인 평균을 살펴보면,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 삶의 만족도는 4점 만점에 2.125∼2.655로 나타나 중간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디지털 정보화 활용 수준은 4점 만점에 1.739로 나타나 활용 수준이 다른 요인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 관련 요인 평균을 살펴보면,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 삶의 만족도는 4점 만점에 2.484∼2.503으로 나타나 중간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 활용 수준,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은 4점 만점에 1.511∼1.834로 나타나 다른 요인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과 활용 수준은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과 활용 수준은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과 활용 수준은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과 활용 수준은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과 활용 수준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과 활용 수준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기 노인, 후기 노인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은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 노인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후기 노인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 노인, 후기 노인의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는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는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는 매개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활용 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는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활용 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는 매개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디지털기기 이용효능감과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의 직렬 이중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Hayes (2022)가 제안한 Process Macro 6번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이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를 순차적으로 거쳐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렬 이중 매개 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변인 간의 직접 효과와 간접효과가 함께 있는 것으로 보아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활용 수준이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를 순차적으로 거쳐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렬 이중 매개 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변인 간의 직접 효과와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이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를 순차적으로 거쳐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렬 이중 매개 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변인 간의 간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완전 매개효과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활용 수준이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를 순차적으로 거쳐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렬 이중 매개 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 간의 직접 효과와 간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완전 매개효과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활용 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총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령집단을 전기 노인과 후기 노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과 활용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연령집단별 차이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디지털 정보화 수준과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과 디지털 정보화 활용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의 직렬 이중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고 이를 통해 노인 삶의 만족도 제고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전기 노인과 후기 노인 두 집단 모두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과 활용 수준을 증진하고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적·구체적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국내 65세 이상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는 전기·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과 활용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확인하고 전기·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 및 활용 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의 직렬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연령집단을 세분화하여 전기·후기 노인의 연령집단별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2022 디지털 정보격차실태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했으며 864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후 전기·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활용 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의 직렬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Coutts와 Hayes(2022) 가 제안한 Process Macro 6번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 관련 요인 평균을 살펴보면,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 삶의 만족도는 4점 만점에 2.125∼2.655로 나타나 중간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디지털 정보화 활용 수준은 4점 만점에 1.739로 나타나 활용 수준이 다른 요인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 관련 요인 평균을 살펴보면,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 삶의 만족도는 4점 만점에 2.484∼2.503으로 나타나 중간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 활용 수준,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은 4점 만점에 1.511∼1.834로 나타나 다른 요인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과 활용 수준은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과 활용 수준은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과 활용 수준은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과 활용 수준은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과 활용 수준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과 활용 수준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기 노인, 후기 노인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은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 노인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후기 노인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 노인, 후기 노인의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는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는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는 매개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활용 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는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활용 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는 매개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디지털기기 이용효능감과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의 직렬 이중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Hayes (2022)가 제안한 Process Macro 6번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이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를 순차적으로 거쳐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렬 이중 매개 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변인 간의 직접 효과와 간접효과가 함께 있는 것으로 보아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활용 수준이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를 순차적으로 거쳐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렬 이중 매개 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변인 간의 직접 효과와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이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를 순차적으로 거쳐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렬 이중 매개 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변인 간의 간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완전 매개효과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활용 수준이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를 순차적으로 거쳐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렬 이중 매개 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 간의 직접 효과와 간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완전 매개효과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후기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활용 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총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령집단을 전기 노인과 후기 노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과 활용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연령집단별 차이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디지털 정보화 수준과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과 디지털 정보화 활용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의 직렬 이중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고 이를 통해 노인 삶의 만족도 제고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전기 노인과 후기 노인 두 집단 모두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과 활용 수준을 증진하고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적·구체적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Keyword
#전기 노인, 후기 노인, 스마트폰,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 디지털 정보화 활용 수준,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 삶의 만족도, 직렬 이중 매개효과
학위논문 정보
저자
곽은선
학위수여기관
경희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노인학과 고령서비스-테크융합(노년학)
지도교수
김영선
발행연도
2024
총페이지
viii, 108 p.
키워드
전기 노인, 후기 노인, 스마트폰,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 디지털 정보화 활용 수준,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 삶의 만족도, 직렬 이중 매개효과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