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추출 방법에 따른 개나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s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orsythia koreana extracts by extraction methods원문보기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신소재로 개나리는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안하기 위해 다양한 추출조건에서 개나리 추출물을 제조한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개나리(Forsythia koreana)를 대상으로 하여 초음파 DW 추출물, 초음파 70% 에탄올 추출물 및 Lactobacillus plantarum(...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신소재로 개나리는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안하기 위해 다양한 추출조건에서 개나리 추출물을 제조한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개나리(Forsythia koreana)를 대상으로 하여 초음파 DW 추출물, 초음파 70% 에탄올 추출물 및 Lactobacillus plantarum(LP), Bacillus subtilis(BS), Aspergillus oryzae(AO) 세 가지 균주를 사용하여 발효된 발효 추출물의 활성기능을 확인하였다.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DPPH radical 소거 활성 실험, ABTS radical 소거 활성 실험을 통해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여 세포독성이 있는지 확인하고 안전성을 확인했다. 항염증 효과는 LPS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NO 생성을 측정하여 확인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초음파 70% EtOH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다른 추출물보다 높아 1위를 차지한다. 평균 함량은 1.869 g GAE/L. 총 플라보노이드 측정 결과는 AO 발효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함량은 1.782 g RE/L. DPPH radical 소거 활성 실험 결과는, 소거 활성은 가장 높은 LP 발효추출물로 80% 농도에서 소거 활성은 95%로 200 ppm Vitamin C의 소거 활성이 보다 높다. ABTS radical 소거 활성실험 결과는, 농도 의존적으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그중에 소거 활성이 가장 높은 것은 AO 발효추출물이다. 농도가 20%일 때 활성은 90%를 나타냈다. 세포 생존율 측정결과는 농도가 1% 미만일 때 세포 생존율이 100% 이상으로 나타나 세포 독성이 없음을 증명한다. 농도가 10%일 때 세포독성이 약간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세포 생존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다. 항염증 활성 결과 분석해보면 초음파 DW와 AO 발효 추출물을 제외하고는 모두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어 LPS 유도를 거의 완전히 제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본 연구는 개나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세포독성, 항염증 활성 및 다양한 추출 방법 및 용매의 영향을 명확히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신소재로 개나리는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안하기 위해 다양한 추출조건에서 개나리 추출물을 제조한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개나리(Forsythia koreana)를 대상으로 하여 초음파 DW 추출물, 초음파 70% 에탄올 추출물 및 Lactobacillus plantarum(LP), Bacillus subtilis(BS), Aspergillus oryzae(AO) 세 가지 균주를 사용하여 발효된 발효 추출물의 활성기능을 확인하였다.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DPPH radical 소거 활성 실험, ABTS radical 소거 활성 실험을 통해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여 세포독성이 있는지 확인하고 안전성을 확인했다. 항염증 효과는 LPS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NO 생성을 측정하여 확인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초음파 70% EtOH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다른 추출물보다 높아 1위를 차지한다. 평균 함량은 1.869 g GAE/L. 총 플라보노이드 측정 결과는 AO 발효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함량은 1.782 g RE/L. DPPH radical 소거 활성 실험 결과는, 소거 활성은 가장 높은 LP 발효추출물로 80% 농도에서 소거 활성은 95%로 200 ppm Vitamin C의 소거 활성이 보다 높다. ABTS radical 소거 활성실험 결과는, 농도 의존적으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그중에 소거 활성이 가장 높은 것은 AO 발효추출물이다. 농도가 20%일 때 활성은 90%를 나타냈다. 세포 생존율 측정결과는 농도가 1% 미만일 때 세포 생존율이 100% 이상으로 나타나 세포 독성이 없음을 증명한다. 농도가 10%일 때 세포독성이 약간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세포 생존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다. 항염증 활성 결과 분석해보면 초음파 DW와 AO 발효 추출물을 제외하고는 모두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어 LPS 유도를 거의 완전히 제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본 연구는 개나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세포독성, 항염증 활성 및 다양한 추출 방법 및 용매의 영향을 명확히 하였다.
In this study, to confirm the potential of Forsythia koreana as a novel cosmetic ingredient, the extracts were prepared under various extraction conditions, and their total poly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measured and comparatively analyzed. This study focus...
In this study, to confirm the potential of Forsythia koreana as a novel cosmetic ingredient, the extracts were prepared under various extraction conditions, and their total poly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measured and comparatively analyzed. This study focused on F. koreana, the active functions of ultrasonic DW extract, ultrasonic 70% ethanol extract and fermented extracts of three strains of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is and Aspergillus oryzae were determined.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validated through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sa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say, and measurements of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Cytotoxicity and safety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cell viability. The anti-inflammatory effect was confirmed by measuring NO production in RAW 264.7 macrophages induced by LPS. Total polyphenol content measurement revealed that the ultrasonic 70% EtOH extract ha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among the extracts, with an average content of 1.869 g GAE/L. Total flavonoid content measurement showed that the AO-fermented extract had the highest flavonoid content, averaging 1.782 g RE /L.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say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est scavenging activity was observed in the LP-fermented extract, with 95% scavenging activity at an 80% concentration, surpassing that of 200 ppm VitaminC.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say results demonstrated strong antioxidant activity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ith the highest scavenging activity observed in the AO-fermented extract, showing 90% activity at a 20% concentration. Cell viability assay results indicated that at concentrations below 1%, cell viability was over 100%, confirming the absence of cytotoxicity. At a 10% concentration, slight cytotoxicity was observed, but it had minimal impact on cell survival. Analysis of anti-inflammatory activity results showed that, except for the ultrasonic DW extract and AO-fermented extracts, all extracts exhibited excellent anti-inflammatory activity, almost completely eliminating LPS induction.
In this study, to confirm the potential of Forsythia koreana as a novel cosmetic ingredient, the extracts were prepared under various extraction conditions, and their total poly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measured and comparatively analyzed. This study focused on F. koreana, the active functions of ultrasonic DW extract, ultrasonic 70% ethanol extract and fermented extracts of three strains of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is and Aspergillus oryzae were determined.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validated through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sa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say, and measurements of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Cytotoxicity and safety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cell viability. The anti-inflammatory effect was confirmed by measuring NO production in RAW 264.7 macrophages induced by LPS. Total polyphenol content measurement revealed that the ultrasonic 70% EtOH extract ha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among the extracts, with an average content of 1.869 g GAE/L. Total flavonoid content measurement showed that the AO-fermented extract had the highest flavonoid content, averaging 1.782 g RE /L.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say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est scavenging activity was observed in the LP-fermented extract, with 95% scavenging activity at an 80% concentration, surpassing that of 200 ppm VitaminC.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say results demonstrated strong antioxidant activity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ith the highest scavenging activity observed in the AO-fermented extract, showing 90% activity at a 20% concentration. Cell viability assay results indicated that at concentrations below 1%, cell viability was over 100%, confirming the absence of cytotoxicity. At a 10% concentration, slight cytotoxicity was observed, but it had minimal impact on cell survival. Analysis of anti-inflammatory activity results showed that, except for the ultrasonic DW extract and AO-fermented extracts, all extracts exhibited excellent anti-inflammatory activity, almost completely eliminating LPS induc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