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慶尙北道) 지역(地域)을 중심(中心)으로 송이버섯 발생지(發生地)의 추이(推移)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수립(樹立)하기 위하여 송이버섯 생산지(生産地)의 분포도(分布圖)(Fig 1)과 그 위도적(緯度的) 분포(分布)(Table 1)를 작성(作成)하였다. 경상북도(慶尙北道) 동북(東北)쪽에 위치(位置)하고 있는 울진군(蔚珍郡), 영덕군(盈德郡), 영양군(英陽郡), 봉화군(奉化郡)에 비교적 균일한 분포(分布)를 나타내었고, 문경군(聞慶郡), 상주군(尙州郡), 예천군(醴泉郡), 영풍군, 의성군(義城郡), 달성군(達城郡), 경산군(慶山郡), 청도군(淸道郡)에는 일부지역에서 발생(發生)하고 있었으며, 금릉군(金陵郡), 성주군(星州郡), 칠곡군(漆谷郡), 월성군(月城郡), 선산군(善山郡), 경산군(慶山郡) 지역(地域)에서는 거의 발생(發生)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全體的)인 송이버섯 발생(發生)의 경향은 소나무 임지(林地)의 분포(分布)나 임분(林分)의 건전도(健全度)에 밀접한 영향을 띠고 있었으며, 송이버섯 발생지(發生地)의 면적(面積)을 각군별(各郡別)로 그 수를 헤아려 보면(Table 1) 울진군(蔚珍郡) 117개소(個所), 영덕군(盈德郡) 70개소(個所), 영양군(英陽郡) 54개소(個所), 문경군(聞慶郡) 38개소(個所), 청송군(淸松郡) 37개소(個所), 안동군(安東郡) 35개소(個所), 상주군(尙州郡) 32개소(個所), 봉화군(奉化郡) 26개소(個所), 영풍군 22개소(個所), 영일군(迎日郡) 17개소(個所), 영천군(永川郡) 15개소(個所), 의성군(義城郡) 15개소(個所), 경산군(慶山郡) 10개소(個所), 군위군(軍威郡) 9개소(個所), 청도군(淸道郡) 6개소(個所), 예천군(醴泉郡) 5개소(個所), 선산군(善山郡) 4개소(個所), 달성군(達成郡) 3개소(個所), 칠곡군(漆谷郡) 2개소(個所) 월성군(月城郡)의 경우 1개 개소에서 송이버섯 발생(發生)하고 있었으며 전혀 발생(發生)하지 않는 지역(地域)도 있었다.
경상북도(慶尙北道) 지역(地域)을 중심(中心)으로 송이버섯 발생지(發生地)의 추이(推移)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수립(樹立)하기 위하여 송이버섯 생산지(生産地)의 분포도(分布圖)(Fig 1)과 그 위도적(緯度的) 분포(分布)(Table 1)를 작성(作成)하였다. 경상북도(慶尙北道) 동북(東北)쪽에 위치(位置)하고 있는 울진군(蔚珍郡), 영덕군(盈德郡), 영양군(英陽郡), 봉화군(奉化郡)에 비교적 균일한 분포(分布)를 나타내었고, 문경군(聞慶郡), 상주군(尙州郡), 예천군(醴泉郡), 영풍군, 의성군(義城郡), 달성군(達城郡), 경산군(慶山郡), 청도군(淸道郡)에는 일부지역에서 발생(發生)하고 있었으며, 금릉군(金陵郡), 성주군(星州郡), 칠곡군(漆谷郡), 월성군(月城郡), 선산군(善山郡), 경산군(慶山郡) 지역(地域)에서는 거의 발생(發生)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全體的)인 송이버섯 발생(發生)의 경향은 소나무 임지(林地)의 분포(分布)나 임분(林分)의 건전도(健全度)에 밀접한 영향을 띠고 있었으며, 송이버섯 발생지(發生地)의 면적(面積)을 각군별(各郡別)로 그 수를 헤아려 보면(Table 1) 울진군(蔚珍郡) 117개소(個所), 영덕군(盈德郡) 70개소(個所), 영양군(英陽郡) 54개소(個所), 문경군(聞慶郡) 38개소(個所), 청송군(淸松郡) 37개소(個所), 안동군(安東郡) 35개소(個所), 상주군(尙州郡) 32개소(個所), 봉화군(奉化郡) 26개소(個所), 영풍군 22개소(個所), 영일군(迎日郡) 17개소(個所), 영천군(永川郡) 15개소(個所), 의성군(義城郡) 15개소(個所), 경산군(慶山郡) 10개소(個所), 군위군(軍威郡) 9개소(個所), 청도군(淸道郡) 6개소(個所), 예천군(醴泉郡) 5개소(個所), 선산군(善山郡) 4개소(個所), 달성군(達成郡) 3개소(個所), 칠곡군(漆谷郡) 2개소(個所) 월성군(月城郡)의 경우 1개 개소에서 송이버섯 발생(發生)하고 있었으며 전혀 발생(發生)하지 않는 지역(地域)도 있었다.
This research is mainly focused on the distributions of pine mushroom(Tricholomo matsutake S.) in Kyungpook province, south eastern part of Korea. The study contributes to graps the trends of producing place and their distributions. The general trends of pine mushroom producing area are scattered ov...
This research is mainly focused on the distributions of pine mushroom(Tricholomo matsutake S.) in Kyungpook province, south eastern part of Korea. The study contributes to graps the trends of producing place and their distributions. The general trends of pine mushroom producing area are scattered over northern part of the province : such as Ulchin Kun, Youngyang Kun, and Bonghwa Kun. The term 'Kun' is equivalent to a country level district of administration. Less concentrated areas are listed : Munkyong Kun, Sangju Kun, Yecheon Kun, Euiseong Kun, Dalseong Kun, Kyungsan Kun, and Cheongdo Kun, which have shown growing spots in pine forest area Pine mushroom do not grow in south eastern part of province, which are Kumreung Kun, Sangju Kun, Chilgog Kun, Wolsong Kun, Koryong Kun. Producing spots classified by Kun area : 117 spots in Ulchin Kun, 70spots in Yongdeog Kun, 54 spots in Youngyang Kun, 38 spots in Munkyong Kun, 37 spots in Cheongsong Kun, 32 spots in Andong Kun, 32 spots in Sangju Kun, 26 spots in Bonghwa, 17 spots in Youngil Kun 15 spots in Yeongcheon Kun, 15 spots in Euiseong Kun, 10 spots in Gyeongsan Kun, 9 spots in Gunwi Kun, 6 spots in Cheongdo Kun, 5 spots in Yecheon Kun, 4 spots in Seonsan Kun, 2 spots in Chilgog Kun, and one spot in Weolseoog Kun.
This research is mainly focused on the distributions of pine mushroom(Tricholomo matsutake S.) in Kyungpook province, south eastern part of Korea. The study contributes to graps the trends of producing place and their distributions. The general trends of pine mushroom producing area are scattered over northern part of the province : such as Ulchin Kun, Youngyang Kun, and Bonghwa Kun. The term 'Kun' is equivalent to a country level district of administration. Less concentrated areas are listed : Munkyong Kun, Sangju Kun, Yecheon Kun, Euiseong Kun, Dalseong Kun, Kyungsan Kun, and Cheongdo Kun, which have shown growing spots in pine forest area Pine mushroom do not grow in south eastern part of province, which are Kumreung Kun, Sangju Kun, Chilgog Kun, Wolsong Kun, Koryong Kun. Producing spots classified by Kun area : 117 spots in Ulchin Kun, 70spots in Yongdeog Kun, 54 spots in Youngyang Kun, 38 spots in Munkyong Kun, 37 spots in Cheongsong Kun, 32 spots in Andong Kun, 32 spots in Sangju Kun, 26 spots in Bonghwa, 17 spots in Youngil Kun 15 spots in Yeongcheon Kun, 15 spots in Euiseong Kun, 10 spots in Gyeongsan Kun, 9 spots in Gunwi Kun, 6 spots in Cheongdo Kun, 5 spots in Yecheon Kun, 4 spots in Seonsan Kun, 2 spots in Chilgog Kun, and one spot in Weolseoog Kun.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