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벼 근권으로부터 분리한 Azospirillum 균주의 미생물학적 특성
Isolation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Azospirillum from the Rhizosphere of Oryza sativa L. in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32 no.2, 1994년, pp.97 - 101  

김원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 ,  서현창 (신구전문대학 식품영양학과) ,  김종평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 ,  김창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 ,  이계호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과) ,  유익동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기도, 충청남도 일원의 벼 근권에서 400~900nmol $C_2H_4/hr/vial$의 아세틸린 환원 활성을 갖는 질소고정균인 Azospirillum 15균주를 분리하였다. 이 분리균주들은 $1.0{\times}3.0{\mu}m$크기를 갖는 vibrioid 형태이었으며 액체배양시 monopolar single 편모를 가졌다. 이 분리균주들은 생리적, 형태적 특성에 따라 두 그룹으로 분류되었는데, 그룹 I 균주들은 탄소원으로 glucose를 잘 이용하였고 biotin 요구성인 반면, 그룹 II 균주들은 glucose를 전혀 이용하지 못하였고 biotin 비요구성이었다. 또한 semisolid 무질소 배지에서 48시간 배양할 때 그룹 I 균주들은 원래의 vibrioid 형태에서 좀 더 길어지면서 S자 모양으로 변하는 pleomorphic 특성을 보인 반면, 그룹 II 균주들은 원래의 모양과 운동성을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그룹 I 균주들은 Azospirillum lipoferum으로, 그룹 II 균주들은 Azospirillum brasilense으로 동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fteen strains of the nitrogen fixer Axospirillum were isolated from the rhizosphere of rice collected from Kyonggi-do and Chungcheongnam in Korea. They had strong acetylene-reducing activity of 400 of 900 nmol $C_2H_4$ per hour vial had a similar morphology in succinate-malate medium: v...

주제어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