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한국산 짱뚱어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의 생태와 분포를 검토하기 위하여 1978년부터 1994년까지 우리나라 서남해 연안 17개 지점에서 표본을 채집하여 소화관 내용물, 초기발생, 체장조성, 그리고 저질, 수온, 염분, 서식공등의 서식환경과 분포지를 검토하였다. 전장 20mm 이상의 저서생활 단계에서 소화관 내용물은 대부분 규조류로서 식물성이었다. 산란기는 5월 하순부터 8원 중순이었고, 산란성기는 6월 중순에서 7월 하순으로 나타났다. 부화 직후 자어의 전장은 3.0-3.4mm로서 이 시기에는 유영생활을 하다가 전장 16mm에 이르면 저서생활을 시작하며, 부화 후 만 2년이 되면 성어로 성장하였다. 본 종은 간조시 평균 4-5시간 노출되는 조간대 연이질
Ecology and life History of the mudskipper, Boieophthaimus pectinirostri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Korean roasts from 1978 to 1994. The spawning of this species takes place during the period from June to August. Prolarva hatched from egg was 3.3mm in total length, and began to bottom life in TL 16.0mm of 40 days after hatching. The stomach contents were principally diatoms. In the foraging behavior, this species were conducted at the wet soft mud on the upper tidal zones. The burrowing observed in the intertidal mud flat was YL type. B. pectinirostris is restricted to western and southwestern coast of Korea, but their habitats and individuals are being reduced by the result of reclimation to tide land.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