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투건조의 여러 가지 가공변수 중 설탕용액의 농도를 달리하고 침지시간, 침지온도를 달리하여 삼투건조를 행하여 물질이동을 나타내는 Solid Gain(SG), Weight Reduction(WR), Moisture Loss(ML) 등을 조사하여 물질이동특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온도와 농도 시간에 따른 수분의 이동과 용질의 이동을 확산식으로 평가하였다. 색차의 변화((equation omitted)E)는 $60^{\circ}C에서만$ 높은 값을 보여 갈변이 심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높은 온도에서는 낮은 농도에서 처리가 더 큰 (equation omitted)E값을 나타내었고, 낮은 온도에서는 농도에 따라서 큰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SG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설탕의 흡수가 많아져 증가하였으며, WR 또한 고농도에서 무게감소가 많이 이루어지고 저농도에서는 낮은 값을 보여 설탕농도가 높아질수록 많은 양의 무게감소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ML는 저농도 보다는 고농도에서 빠른 증가가 일어나 건조가 빠르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으며 수분 함량은 삼투농도가 높을수록 수분 함량이 점차 낮아져 삼투처리로 건조가 이루어짐을 화인할 수 있었다. 수분의 이동에 따른 확산계수는 같은 온도, 같은 농도에서 각각 농도나 온도의 증가시 높은 값을 가져 확산이 빠르게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용질의 이동에 따른 확산계수는 온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농도의 영향에 있어서는 $20^{\circ}C에서는$ 농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함을 보였으나 $40^{\circ}C와$$60^{\circ}C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확산계수에 대한 온도의 영향을 Arrhenius 식에 적합시켜 본 결과, 5% 유의 수준에서 수분의 이동은 60 。Brix, 용질의 경우는 40。Brix의 농도에서만 적합하다고 할 수 있었다. 수분과 용질의 확산에 있어서 낮은 농도인 20。Brix에서는 높은 활성화 에너지를 보였으며 상대적으로 고농도인 40 Brix와 60 。Brix에서는 낮은 활성화 에너지를 보여 확산이 쉽게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삼투건조의 여러 가지 가공변수 중 설탕용액의 농도를 달리하고 침지시간, 침지온도를 달리하여 삼투건조를 행하여 물질이동을 나타내는 Solid Gain(SG), Weight Reduction(WR), Moisture Loss(ML) 등을 조사하여 물질이동특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온도와 농도 시간에 따른 수분의 이동과 용질의 이동을 확산식으로 평가하였다. 색차의 변화((equation omitted)E)는 $60^{\circ}C에서만$ 높은 값을 보여 갈변이 심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높은 온도에서는 낮은 농도에서 처리가 더 큰 (equation omitted)E값을 나타내었고, 낮은 온도에서는 농도에 따라서 큰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SG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설탕의 흡수가 많아져 증가하였으며, WR 또한 고농도에서 무게감소가 많이 이루어지고 저농도에서는 낮은 값을 보여 설탕농도가 높아질수록 많은 양의 무게감소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ML는 저농도 보다는 고농도에서 빠른 증가가 일어나 건조가 빠르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으며 수분 함량은 삼투농도가 높을수록 수분 함량이 점차 낮아져 삼투처리로 건조가 이루어짐을 화인할 수 있었다. 수분의 이동에 따른 확산계수는 같은 온도, 같은 농도에서 각각 농도나 온도의 증가시 높은 값을 가져 확산이 빠르게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용질의 이동에 따른 확산계수는 온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농도의 영향에 있어서는 $20^{\circ}C에서는$ 농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함을 보였으나 $40^{\circ}C와$$60^{\circ}C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확산계수에 대한 온도의 영향을 Arrhenius 식에 적합시켜 본 결과, 5% 유의 수준에서 수분의 이동은 60 。Brix, 용질의 경우는 40。Brix의 농도에서만 적합하다고 할 수 있었다. 수분과 용질의 확산에 있어서 낮은 농도인 20。Brix에서는 높은 활성화 에너지를 보였으며 상대적으로 고농도인 40 Brix와 60 。Brix에서는 낮은 활성화 에너지를 보여 확산이 쉽게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In order to minimize the deterioration of osmotic dried apple quality, the characteristics of mass transfer during osmotic dehydration such as solid gain(SG), weight reduction(WR) and moisture loss(ML) were investigated. Moisture and solid transfer were analyzed by Fick's law. The highest (equation ...
In order to minimize the deterioration of osmotic dried apple quality, the characteristics of mass transfer during osmotic dehydration such as solid gain(SG), weight reduction(WR) and moisture loss(ML) were investigated. Moisture and solid transfer were analyzed by Fick's law. The highest (equation omitted)E value was observed with severe browning at $60^{\circ}C.$ The concentration effect on (equation omitted)E were higher at high temperatures than at low temperatures. SG, WR and ML increased as immersion temperature, sugar concentration and immersion time increased. Higher concentration of sucrose led to more sucrose absorption resulting increase in SG. Diffusion coefficients of moisture increased with immersion temperature and sugar concentration. As concentration increased, diffusion coefficients of solids increased at $20^{\circ}C$ while it decreased at $40^{\circ}C$ and $60^{\circ}C.$ Arrhenius equation was appropriately explain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diffusion coefficients. Moisture and solid diffusion showed high activation energy in 20 。Brix solution, compared with in 40 and 60 。Brix.
In order to minimize the deterioration of osmotic dried apple quality, the characteristics of mass transfer during osmotic dehydration such as solid gain(SG), weight reduction(WR) and moisture loss(ML) were investigated. Moisture and solid transfer were analyzed by Fick's law. The highest (equation omitted)E value was observed with severe browning at $60^{\circ}C.$ The concentration effect on (equation omitted)E were higher at high temperatures than at low temperatures. SG, WR and ML increased as immersion temperature, sugar concentration and immersion time increased. Higher concentration of sucrose led to more sucrose absorption resulting increase in SG. Diffusion coefficients of moisture increased with immersion temperature and sugar concentration. As concentration increased, diffusion coefficients of solids increased at $20^{\circ}C$ while it decreased at $40^{\circ}C$ and $60^{\circ}C.$ Arrhenius equation was appropriately explain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diffusion coefficients. Moisture and solid diffusion showed high activation energy in 20 。Brix solution, compared with in 40 and 60 。Brix.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