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받은 이하선 악성종양에서 국소 종양 제어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부터 1995년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이하선 악성 종양으로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함께 받은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의 연령 분포는 14세부터 72세까지였고 중앙간은 55세였다. 조직학적 유형별 분포는 10명이 점액표피양암종, 7명이 편평상피세포암, 4명이 포상세포암, 4명이 선양성낭종암, 1명이 선암이었다. 수술은 15명이 이하선 전절제술, 7명이 표재성 절제술, 4명이 아전절제술을 받았다. 안면신경이 절제된 경우는 5명 있었다. 수술 후 병리학적으로 잔존 병변이 있었던 경우가 4명, 절제연 양성이 4명이었다. 방사선치료는 선형가속기의 광자선과 전자선속을 사용하였다. 26명 중 11명은 광자선만으로 치료하였고 전자선이 병용된 경우는 15명이었으며 전자선량은 900 cGy부터 3800 cGy (중앙값: 1760 cGy)까지였다. 이하선종양 부위에 조사된 총방사선량은 5000 cGy부터 7560 cGy (중앙값 : 6020 cGy)까지였다. 대상 환자들의 최소추적기간은 2년이었다. 국소종양제어율의 산출은 Kaplan-Meier법을 이용하였고 단변량분석에는 generalized Wilcoxon test, 다변량분석에는 Cox 모델을 이용하였다. 결과 : 방사선 치료 후 국소종양의 재발은 25명 중 5명 (19$\%$)에서 관찰되었으며 국소종양제어율은 5년에 77$\%$였다. 환자의 5년 생존율은 70$\%$였다. 성별, 연령 (>60세), 종양크기 (>4 cm), 수술소견상 경부림프절 침범과 신경 침범, 절제연 침범 여부 및 총방사선량 (>60 Gy)의 요인이 국소 종양 제어율에 미치는 영향을 단변량 분석한 결과 종양 크기 (p=0.002), 절제연 침범 여부(p=0.011)에 따라 국소종양제어율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의의가 있는 차이를 보였다. 같은 요인들에 대한 다변량 분석에서는 종양 크기 (p=0.022)만이 국소 종양 제어율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국소종양 제어율에 영향을 주는 여러가지 예후 인자들의 다변량 분석에서 종양 크기만이 의의가 있었으나 앞으로 더욱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요구된다.
목적 :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받은 이하선 악성종양에서 국소 종양 제어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부터 1995년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이하선 악성 종양으로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함께 받은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의 연령 분포는 14세부터 72세까지였고 중앙간은 55세였다. 조직학적 유형별 분포는 10명이 점액표피양암종, 7명이 편평상피세포암, 4명이 포상세포암, 4명이 선양성낭종암, 1명이 선암이었다. 수술은 15명이 이하선 전절제술, 7명이 표재성 절제술, 4명이 아전절제술을 받았다. 안면신경이 절제된 경우는 5명 있었다. 수술 후 병리학적으로 잔존 병변이 있었던 경우가 4명, 절제연 양성이 4명이었다. 방사선치료는 선형가속기의 광자선과 전자선속을 사용하였다. 26명 중 11명은 광자선만으로 치료하였고 전자선이 병용된 경우는 15명이었으며 전자선량은 900 cGy부터 3800 cGy (중앙값: 1760 cGy)까지였다. 이하선종양 부위에 조사된 총방사선량은 5000 cGy부터 7560 cGy (중앙값 : 6020 cGy)까지였다. 대상 환자들의 최소추적기간은 2년이었다. 국소종양제어율의 산출은 Kaplan-Meier법을 이용하였고 단변량분석에는 generalized Wilcoxon test, 다변량분석에는 Cox 모델을 이용하였다. 결과 : 방사선 치료 후 국소종양의 재발은 25명 중 5명 (19$\%$)에서 관찰되었으며 국소종양제어율은 5년에 77$\%$였다. 환자의 5년 생존율은 70$\%$였다. 성별, 연령 (>60세), 종양크기 (>4 cm), 수술소견상 경부림프절 침범과 신경 침범, 절제연 침범 여부 및 총방사선량 (>60 Gy)의 요인이 국소 종양 제어율에 미치는 영향을 단변량 분석한 결과 종양 크기 (p=0.002), 절제연 침범 여부(p=0.011)에 따라 국소종양제어율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의의가 있는 차이를 보였다. 같은 요인들에 대한 다변량 분석에서는 종양 크기 (p=0.022)만이 국소 종양 제어율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국소종양 제어율에 영향을 주는 여러가지 예후 인자들의 다변량 분석에서 종양 크기만이 의의가 있었으나 앞으로 더욱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요구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local control in malignant tumors of the parotid gland treated with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ation.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six patients were treated for malignant tumors of the parotid gland from 1986 to 1995 at Departm...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local control in malignant tumors of the parotid gland treated with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ation.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six patients were treated for malignant tumors of the parotid gland from 1986 to 1995 at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Chonnam University Hospital. Age of the patients ranged from 14 to 72 years (median : 55 years). Histologically 10 patients of mucoepidermoid carcinoma, 7 of squamous cell carcinoma, 4 of acinic cell carcinoma, 4 of adenoid cystic carcinoma and 1 of adenocarcinoma were treated. Total parotidectomy was performd in 15 of 26 patients, superficial in 7, subtotal in 4. Facial nerve was sacrificed in 5 patients. Postoperatively 4 patients had residual disease, 4 had positive resection margin. Radiation was delivered through an ipsilateral wedged pair of photon in 11 patients. High energy electron beam was mixed with photon in 15 patients. Electron beam dose ranged from 900 cGy to 3800 cGy (median 1700 cGy). Total radiation dose ranged from 5000 cGy to 7560 cGy (median : 6020 cGy). Minimum follow-up period was 2 years. Local control and survival rate were calculated using Kaplan-Meier method. Generalized Wilcoxon test and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ere used to test factors affecting local control. Results : Five (19$\%$) of 26 patients had local recurrence. Five year local control rate was 77$\%$. Overall five year survival rate was 70$\%$. Sex, age, tumor size, surgical involvement of cervical lymph node, involvement of resection margin, surgical invasion of nerve, and total dose were analyzed as suggested factors affecting local control rate. Among them patients with tumor size less than 4 cm (p=0.002) and negative resection margin (p=0.011) were associated with better local control rates in univariate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only tumor size factor is associated with local control rate (p=0.022).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ed that tumor size is important in local control of malignant tumors of parotid gland.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local control in malignant tumors of the parotid gland treated with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ation.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six patients were treated for malignant tumors of the parotid gland from 1986 to 1995 at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Chonnam University Hospital. Age of the patients ranged from 14 to 72 years (median : 55 years). Histologically 10 patients of mucoepidermoid carcinoma, 7 of squamous cell carcinoma, 4 of acinic cell carcinoma, 4 of adenoid cystic carcinoma and 1 of adenocarcinoma were treated. Total parotidectomy was performd in 15 of 26 patients, superficial in 7, subtotal in 4. Facial nerve was sacrificed in 5 patients. Postoperatively 4 patients had residual disease, 4 had positive resection margin. Radiation was delivered through an ipsilateral wedged pair of photon in 11 patients. High energy electron beam was mixed with photon in 15 patients. Electron beam dose ranged from 900 cGy to 3800 cGy (median 1700 cGy). Total radiation dose ranged from 5000 cGy to 7560 cGy (median : 6020 cGy). Minimum follow-up period was 2 years. Local control and survival rate were calculated using Kaplan-Meier method. Generalized Wilcoxon test and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ere used to test factors affecting local control. Results : Five (19$\%$) of 26 patients had local recurrence. Five year local control rate was 77$\%$. Overall five year survival rate was 70$\%$. Sex, age, tumor size, surgical involvement of cervical lymph node, involvement of resection margin, surgical invasion of nerve, and total dose were analyzed as suggested factors affecting local control rate. Among them patients with tumor size less than 4 cm (p=0.002) and negative resection margin (p=0.011) were associated with better local control rates in univariate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only tumor size factor is associated with local control rate (p=0.022).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ed that tumor size is important in local control of malignant tumors of parotid glan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