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지리학은 '인간과 자연환경간의 관계'를 다루는 학문으로서, 조직화된 단일체(unity)로서 연구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분지를 자연지리의 기술 틀로 인식하고, 유역분지 내 자연환경의 차이에 따른 주민생활의 차이를 기술하여, 생활단위(지역단위)로서의 유역의 의미를 검토하였다. 문경시는 지세에 따라 산간분지와 중산지 및 대분지 주변 구릉지 등 3지역으로 나뉜다. 이들 지역내외 세분은 특히 산간분지의 경우 하계망 분포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어, $3{\sim}4$차수 하천들이 합류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따라서 동일한 유역에 속하지 않는 일부 행정구역은 생활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과감히 조정할 필요가 있다. 산간분지는 북동-남서 방향의 문경단층을 따라 북쪽에 노출된 석회암 지대에 신북천-소야천-가은천-농암천의 곡지를 이룬다. 소하천들은 북북동-남남서 및 서북서-동남동 방향을 띠는 지질구조선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따라서 이 지역에 뚫린 계림령로 새재길 이화령로 등은 지질구조선을 따라 통한다. 산간분지로 유입하는 지류들의 하곡에는 범람원이 넓게 발달한다. 신북천과 조령천, 양산천의 경우에는 논과 과수원으로 많이 이용되나, 농암천 주변에서는 주로 논이나 채소밭으로 이용된다. 분지의 가장자리에는 구릉지가 널리 분포한다. 마성과 가온의 석회암 구릉지는 저평한 현 범람원과 불연속이어서 대부분 산림지나 밭으로 이용되고, 고요리의 화강암 구릉지는 현 범람원과 연속되어 취락지와 밭으로 이용된다. 중산지는 북쪽의 고생대 평안계누층군과 남쪽의 조선계 석회암, 그리고 소백산편마암복합체 가운데 호상편마암 및 편암으로 구성된 구릉성 산지이다. 평안계누층군 지대는 비교적 험준하며 지질구조선을 따라 발달한 생육사행이 나타난다. 조선계 석회암 지대는 하나의 지형면을 이루며, 여러 가지 용식지형이 잘 발달해 있다. 산지에서는 밭농사가 이루어지나, 특히 호계에서는 하곡이 깊숙하고 산지와 불연속이어서 논농사가 우세하다. 그리고 선캠브리아기의 영남지괴에 속하는 편암류 지대는 험준한 산지를 이룬다. 대분지 주변 구릉지는 봉화-영주-예천-함창-상주로 이어지는 침식분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구릉지대이다. 이 지역은 고도 $50{\sim}100m$의 구릉지들로 구성된 저위평탄면에 속한다. 구릉지는 과수원과 밭으로 이용되고, 구릉지들 사이의 완만한 개석곡지는 논으로 이용되고 있다.
자연지리학은 '인간과 자연환경간의 관계'를 다루는 학문으로서, 조직화된 단일체(unity)로서 연구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분지를 자연지리의 기술 틀로 인식하고, 유역분지 내 자연환경의 차이에 따른 주민생활의 차이를 기술하여, 생활단위(지역단위)로서의 유역의 의미를 검토하였다. 문경시는 지세에 따라 산간분지와 중산지 및 대분지 주변 구릉지 등 3지역으로 나뉜다. 이들 지역내외 세분은 특히 산간분지의 경우 하계망 분포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어, $3{\sim}4$차수 하천들이 합류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따라서 동일한 유역에 속하지 않는 일부 행정구역은 생활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과감히 조정할 필요가 있다. 산간분지는 북동-남서 방향의 문경단층을 따라 북쪽에 노출된 석회암 지대에 신북천-소야천-가은천-농암천의 곡지를 이룬다. 소하천들은 북북동-남남서 및 서북서-동남동 방향을 띠는 지질구조선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따라서 이 지역에 뚫린 계림령로 새재길 이화령로 등은 지질구조선을 따라 통한다. 산간분지로 유입하는 지류들의 하곡에는 범람원이 넓게 발달한다. 신북천과 조령천, 양산천의 경우에는 논과 과수원으로 많이 이용되나, 농암천 주변에서는 주로 논이나 채소밭으로 이용된다. 분지의 가장자리에는 구릉지가 널리 분포한다. 마성과 가온의 석회암 구릉지는 저평한 현 범람원과 불연속이어서 대부분 산림지나 밭으로 이용되고, 고요리의 화강암 구릉지는 현 범람원과 연속되어 취락지와 밭으로 이용된다. 중산지는 북쪽의 고생대 평안계누층군과 남쪽의 조선계 석회암, 그리고 소백산편마암복합체 가운데 호상편마암 및 편암으로 구성된 구릉성 산지이다. 평안계누층군 지대는 비교적 험준하며 지질구조선을 따라 발달한 생육사행이 나타난다. 조선계 석회암 지대는 하나의 지형면을 이루며, 여러 가지 용식지형이 잘 발달해 있다. 산지에서는 밭농사가 이루어지나, 특히 호계에서는 하곡이 깊숙하고 산지와 불연속이어서 논농사가 우세하다. 그리고 선캠브리아기의 영남지괴에 속하는 편암류 지대는 험준한 산지를 이룬다. 대분지 주변 구릉지는 봉화-영주-예천-함창-상주로 이어지는 침식분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구릉지대이다. 이 지역은 고도 $50{\sim}100m$의 구릉지들로 구성된 저위평탄면에 속한다. 구릉지는 과수원과 밭으로 이용되고, 구릉지들 사이의 완만한 개석곡지는 논으로 이용되고 있다.
Physical geography is the discipline which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al environment. Therefore, it should be studied as the organized unity. In this paper I recognize the drainage basin as a framework outlining physical geography, describe the difference of inhabitant's life s...
Physical geography is the discipline which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al environment. Therefore, it should be studied as the organized unity. In this paper I recognize the drainage basin as a framework outlining physical geography, describe the difference of inhabitant's life style due to the difference of natural environment in the drainage basin, and consider the meaning of drainage basin as a unit of life(and unit of regional geography). Munkyung is divided into three regions(intermontane basin region, middle mountainous region, marginal hilly region of the great basin) owing to the topographic characteristics. Subdivision in these regions is related closely to drainage network distribution, specially in intermontane basin region. And small regions have developed with the confluence point of $3{\sim}4$ order streams as the central figure. Intermontane basin region is the valley floor of Sinbuk-Soya-Kauun-Nongam stream located in the limestone region which is exposed according to Munkyung fault at its northern part. Small streams are affected strongly by the influence of the NNE-SSE or WNW-ESE tectolineament. Thus Kaeripryungro(鷄立嶺路), Saejaegil(새재길), Ewharyungro(伊火嶺路) and so on are constructed through the tectolineament. In the valley floors of small streams which flow into the intermontane basin, there are large floodplains. Floodplain in Sinbuk, Joryung, and Yangsan stream is used to paddy field or orchard, and in Nongam stream is used to paddy field or vegetable field. Hills are distributed largely in the periphery of intermontane basin. Limestone hills in Kauun and Masung basin are not continuous to the present low and flat floodplain, and most of those are used to forest land and field. On the other side. granite hills in Koyori are continuous to be used to the present floodplain, and they are used to residential area and field. In the middle mountainous region are there hilly mountains constructed in the geology of Palaeozoic Pyeongan System in northern area and Chosun System's Limestone Series in southern area, and banded gneiss and schist among Sobaeksan Gneiss Complex. In Palaeozoic Pyeongan System region are there relatively rugged mountains and ingrown meanders developed along tectolineaments. Chosun System's Limestone Series region builds up a geomorphic surface, develops various karst landforms. Mountainous area is used to field. On the other hand, especially in case of Hogye, valley bottom is wide, long, and discontinuous to slope, is used to paddy field dominantly. And schist region in Youngnam Block of Pre-Cambrian is rugged mountainous. Marginal hilly region of the great basin is hilly zone located in the margin of erosional basin(Bonghwa-Youngju-Yechon-Hamchang-Sangju). This region is lower geomorphic surface which is consisted of hills of $50{\sim}100$m height. Hills are used to field or orchard, and dissected gentle depression is used to paddy field.
Physical geography is the discipline which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al environment. Therefore, it should be studied as the organized unity. In this paper I recognize the drainage basin as a framework outlining physical geography, describe the difference of inhabitant's life style due to the difference of natural environment in the drainage basin, and consider the meaning of drainage basin as a unit of life(and unit of regional geography). Munkyung is divided into three regions(intermontane basin region, middle mountainous region, marginal hilly region of the great basin) owing to the topographic characteristics. Subdivision in these regions is related closely to drainage network distribution, specially in intermontane basin region. And small regions have developed with the confluence point of $3{\sim}4$ order streams as the central figure. Intermontane basin region is the valley floor of Sinbuk-Soya-Kauun-Nongam stream located in the limestone region which is exposed according to Munkyung fault at its northern part. Small streams are affected strongly by the influence of the NNE-SSE or WNW-ESE tectolineament. Thus Kaeripryungro(鷄立嶺路), Saejaegil(새재길), Ewharyungro(伊火嶺路) and so on are constructed through the tectolineament. In the valley floors of small streams which flow into the intermontane basin, there are large floodplains. Floodplain in Sinbuk, Joryung, and Yangsan stream is used to paddy field or orchard, and in Nongam stream is used to paddy field or vegetable field. Hills are distributed largely in the periphery of intermontane basin. Limestone hills in Kauun and Masung basin are not continuous to the present low and flat floodplain, and most of those are used to forest land and field. On the other side. granite hills in Koyori are continuous to be used to the present floodplain, and they are used to residential area and field. In the middle mountainous region are there hilly mountains constructed in the geology of Palaeozoic Pyeongan System in northern area and Chosun System's Limestone Series in southern area, and banded gneiss and schist among Sobaeksan Gneiss Complex. In Palaeozoic Pyeongan System region are there relatively rugged mountains and ingrown meanders developed along tectolineaments. Chosun System's Limestone Series region builds up a geomorphic surface, develops various karst landforms. Mountainous area is used to field. On the other hand, especially in case of Hogye, valley bottom is wide, long, and discontinuous to slope, is used to paddy field dominantly. And schist region in Youngnam Block of Pre-Cambrian is rugged mountainous. Marginal hilly region of the great basin is hilly zone located in the margin of erosional basin(Bonghwa-Youngju-Yechon-Hamchang-Sangju). This region is lower geomorphic surface which is consisted of hills of $50{\sim}100$m height. Hills are used to field or orchard, and dissected gentle depression is used to paddy fiel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