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로부터 창포는 민간요법, 한약재로 사용되어왔다. 창포의 식품 또는 생활용품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함에 있어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창포의 잎과 뿌리의 일반성분, 무기성분, 유리당, 유기산, 지방산 및 아미노산 등의 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무기질 함량은 K이 잎, 뿌리 모두에서 548.65 mg%, 242.87 mg%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Ca, Mg, P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무기질은 모두 뿌리보다 잎에서 많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다. 유리당은 잎, 뿌리 모두 glucose와 fructose만이 존재하였으며 유기산은 잎과 뿌리에서 malic acid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citric acid로 나타났다. 지방산은 잎에서는 linolenic acid와 palmitic acid, linoleic acid가, 뿌리에서는 linoleic과 palmitic acid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아미노산 함량은 잎이 뿌리에 비하여 3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잎에는 leucine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glutamic acid가 많았다. 뿌리에서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창포의 잎과 뿌리의 영양성분 분석 결과 대체로 뿌리보다 잎에 더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로부터 창포는 민간요법, 한약재로 사용되어왔다. 창포의 식품 또는 생활용품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함에 있어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창포의 잎과 뿌리의 일반성분, 무기성분, 유리당, 유기산, 지방산 및 아미노산 등의 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무기질 함량은 K이 잎, 뿌리 모두에서 548.65 mg%, 242.87 mg%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Ca, Mg, P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무기질은 모두 뿌리보다 잎에서 많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다. 유리당은 잎, 뿌리 모두 glucose와 fructose만이 존재하였으며 유기산은 잎과 뿌리에서 malic acid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citric acid로 나타났다. 지방산은 잎에서는 linolenic acid와 palmitic acid, linoleic acid가, 뿌리에서는 linoleic과 palmitic acid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아미노산 함량은 잎이 뿌리에 비하여 3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잎에는 leucine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glutamic acid가 많았다. 뿌리에서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창포의 잎과 뿌리의 영양성분 분석 결과 대체로 뿌리보다 잎에 더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emical composition of Acorus calamus L., a wild plant (Chang Po) which has long been used as a medicine or a hair rinse in Korea and China. Potassium was found to be the most predominant mineral in leaf and root, followed by calcium, magnesium, an...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emical composition of Acorus calamus L., a wild plant (Chang Po) which has long been used as a medicine or a hair rinse in Korea and China. Potassium was found to be the most predominant mineral in leaf and root, followed by calcium, magnesium, and phosphorus, in a decreasing order. Contents of potassium in leaf and root account for 54a.65 mg% and 242.87 mg%, respectively. Contents of these minerals in leaf were higher value than that in root. Glucose and fructose were found to be the major free sugars in leaf and root. Malic acid was the most abundant organic acid of leaf and root, and followed by citric acid. Fourteen different kinds of fatty acids were identified from the leaf and root. Content of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linolenic, and linoleic acid ware higher than that of saturated fatty acids. Content of total amino acids was 3 times higher in leaf than that in root. Leucine was the major amino acid in leaf and glutamic acid in root.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emical composition of Acorus calamus L., a wild plant (Chang Po) which has long been used as a medicine or a hair rinse in Korea and China. Potassium was found to be the most predominant mineral in leaf and root, followed by calcium, magnesium, and phosphorus, in a decreasing order. Contents of potassium in leaf and root account for 54a.65 mg% and 242.87 mg%, respectively. Contents of these minerals in leaf were higher value than that in root. Glucose and fructose were found to be the major free sugars in leaf and root. Malic acid was the most abundant organic acid of leaf and root, and followed by citric acid. Fourteen different kinds of fatty acids were identified from the leaf and root. Content of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linolenic, and linoleic acid ware higher than that of saturated fatty acids. Content of total amino acids was 3 times higher in leaf than that in root. Leucine was the major amino acid in leaf and glutamic acid in roo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와같이 우리나라 습지에서 혼하게 자생하는 식물로서의 창포가 갖고 있는 민간요법으로서의 효용성, 약리작용 등과 같은 면에서 볼 때 창포의 이용가능성은 높다고 사료되는 바 본 연구는 창포의 화학적 성분을 분석하여 식품 또는 실제생활에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함에 있어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그 결과를 이에 보고하고자 한다.
제안 방법
한약재로 사용되어왔다. 창포의 식품 또는 생활용품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함에 있어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창포의 잎과 뿌리의 일반성분, 무기성분, 유리당, 유기산, 지방산 및 아미노산 등의 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무기질 함량은 K이 잎, 뿌리 모두에서 548.
즉, 시료 약 10g을 취하여 환류.냉각관을 부착한 다음 80℃의 수욕상에서 80% methanol로 3회 추출하여 감압농축한 후 증류수 10 ml에 녹여 0.45 ㎛ membrane filter로 여과한 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Lichrosorb NH2 (5 gm, 25 cm X 0.
45 ㎛ membrane filter로 여과한 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Lichrosorb NH2 (5 gm, 25 cm X 0.4 cm l.D.) column 을 사용하였고, acetonitrile/distilled water (84: 16) 용액으로 유속은 l.0ml/min, dectector는 KI- 410으로 분석하였다.
유기산은 시료를 60驴C에서 건조시킨 후 약 5g을 취하여 Court 등(22)의 방법에 준하여 12% 황산/메탄올 방법으로 methyl ester화 시킨 다음 클로로포름으로 추출 • 분획시켜 N&SQ로 탈수시킨 후 40℃에서 감압 • 농축시켜 GLC(Hewlett packard 589() series, U.S.A)로 분석하였다. 분석조건은 Supelco wax 10(60m ×0.
A)로 분석하였다. 분석조건은 Supelco wax 10(60m ×0.32 mm l.D.) column을 사용하였고, oven 온도와 detector의 FID의 온도는 각각 100℃와 240℃로 하였다. Carrier gas는 N2를 사용하였으며, 유량은 1.
28(X)260)에 넣고 diethyl ether를 가하여 Soxhlet 추출법으로 약 1()시간 정도 연속 추출하여 조지방을얻고 이를 Metcalfe 등(24)의 방법에 준하여 지방산 metyl ester를 조제한 후 GLC(HewIett-Packard 5890 Series II)로 분석하였다. 즉, 0.5 N NaOH-MeOH를 가하여 80℃에서 환류시키면서 가수분해 시킨 후, 14% BF3-methanol 및 n-heptan을 가하여 끓이고 식힌 후 증류수와 NaCl 포화용액을 가한 다음 petroleum ether로추출한 후 Na2SQ4로 탈수, 여과한 용액 I ㎕를 GLC에 주입하였으며, GLC에 의해 분리된 각 지방산의 methyl ester* peak 면적의 비율로 계산하여 각 지방산의 조성비를 구하였다. GLC 분석조건은 Supelco wax 10(60 m×0.
이상 가수분해시킨 후 여과하였다. 여액을 농축한 후 500㎕의 sodium citrate 완충용액에 완전히 용해하고 membrane fliter(0.22 ㎛)로 여과하여 아미노산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총아미노산을 아미노산 자동분석기 (amino acid autoanalyzer, L KB-450, England)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총아미노산을 아미노산 자동분석기 (amino acid autoanalyzer, L KB-450, England)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UltrapaceII cation exchange resin( 11 gm ± 2 gm, 220 mm) column을 사용하였고, 0, 2 N Na-citrate buffer 용액 (pH 3.20, 4.25, 10.0)의 유속은 40 ml/hr, ninhydrin 용액의 유속은 25 ㎖/hr, column 온도는 50℃, 반응 온도는 80℃로 하여 분석하였다.
22 ㎛)로 여과하여 아미노산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총아미노산을 아미노산 자동분석기 (amino acid autoanalyzer, L KB-450, England)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UltrapaceII cation exchange resin( 11 gm ± 2 gm, 220 mm) column을 사용하였고, 0, 2 N Na-citrate buffer 용액 (pH 3.
대상 데이터
본 실험에서 사용한 수창포(Acorns calamus L.)는 충북 청주시 청주교육대학교내 연못에 자생하고 있는 것을 사용하였다. 창포잎은 위에서 10~15cm 정도로 잘라 사용하였으며, 근경은 잔뿌리와 함께 채취하여 생시료를 -73℃의 deep freezer에서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atomic emission spectrophotometer, Jobin Yvon JY38 plus)로 분석하였는데, 이때 사용한 각 무기원소는 Sigma社의 표준품을 사용하였다.
유리당은 Ando 둥의 방법으로 분리하여 정량하였다. 즉, 시료 약 10g을 취하여 환류.
지방산 분석은 시료 10g을 원통여지(Whatman Cat No. 28(X)260)에 넣고 diethyl ether를 가하여 Soxhlet 추출법으로 약 1()시간 정도 연속 추출하여 조지방을얻고 이를 Metcalfe 등(24)의 방법에 준하여 지방산 metyl ester를 조제한 후 GLC(HewIett-Packard 5890 Series II)로 분석하였다. 즉, 0.
성능/효과
창포의 식품 또는 생활용품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함에 있어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창포의 잎과 뿌리의 일반성분, 무기성분, 유리당, 유기산, 지방산 및 아미노산 등의 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무기질 함량은 K이 잎, 뿌리 모두에서 548.65 mg%, 242.87 mg%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Ca, Mg, P의 순으로나타났다. 이들 무기질은 모두 뿌리보다 잎에서 많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다.
이들 무기질은 모두 뿌리보다 잎에서 많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다. 유리당은 잎, 뿌리 모두 glucose 와 fhictose만이 존재하였으며 유기산은 잎과 뿌리에서 malic acid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citric acid로 나타났다. 지방산은 잎에서는 linolenic acid와 palmitic acid, linoleic acid가, 뿌리에서는 linoleic과 palmitic acid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리당은 잎, 뿌리 모두 glucose 와 fhictose만이 존재하였으며 유기산은 잎과 뿌리에서 malic acid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citric acid로 나타났다. 지방산은 잎에서는 linolenic acid와 palmitic acid, linoleic acid가, 뿌리에서는 linoleic과 palmitic acid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아미노산 함량은 잎이 뿌리에 비하여 3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잎에는 leucine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glutamic acid가 많았다.
지방산은 잎에서는 linolenic acid와 palmitic acid, linoleic acid가, 뿌리에서는 linoleic과 palmitic acid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아미노산 함량은 잎이 뿌리에 비하여 3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잎에는 leucine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glutamic acid가 많았다. 뿌리에서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뿌리에서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창포의 잎과 뿌리의 영양성분 분석 결과 대체로 뿌리보다 잎에 더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우리나라 세시풍속으로 단오날에는 창포잎, 창포뿌리를 삶은 물에 목욕하거나 머리를 감아 나쁜 기운을 물리친다는 풍습이 있었으며. 이렇게 하면 머리가 빠지지 않고 윤기가 나며 매끄러운 머리결을 유지하고 창포줄기처럼 머리가 길어진다고 믿었다(11,12) 동의보감에는 창포뿌리를 즙으로 짜서 찹쌀과 섞어 술을 빚어 상복하면 장수한다고 기록되어 있다(13).
회분과 총당의 양은 뿌리가 잎에 비해 2배 정도 많았으며 조단백, 조지방, 환원당은 뿌리에 비해 잎에 더 많았다. 창포잎의 경우 명일엽전초24)와 비교해 볼 때 단백질이나 회분은 적은 편이나 지방함량은 비슷한 수준이었다.
창포의 총 유리당은 잎과 뿌리에 각각 0.99%, 1.94% 로 나타났으며 잎과 뿌리 모두 fructose와 glucose 로만 구성되어 있었으며, 잎에 비하여 뿌리에 약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커리 뿌리의 유리당과(28) 비교할 때 약간 적은 수준이었다.
85%, palmitic acid 가 2246%, 그 다음은 palmitoleic acid, oleic acid 순이었다. 생약으로서 창포뿌리에 palmitic acid가 함유되어 있다고적고 있으나 본 실험 결과 창포의 잎에는 필수 지방산인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가 48%이상 함유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뿌리에도 linoleic acid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잎과 뿌리 모두 생체 내에서 PGI* TXA, 를 합성하는 불포화지방산이 포화지방산보다 높은 함량을 보여 특기할 만하다.
Table 6에서 보는 바와 같다. 잎에서 15종, 뿌리에서 14종의 아미노산이 동정되었으며 총아미노산 함량은 잎이 732.23 mg%, 뿌리가 221.28 mg%로 잎이 뿌리에 비하여 3배 이상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잎에는 leucine이 129.
28 mg%로 잎이 뿌리에 비하여 3배 이상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잎에는 leucine이 129.49 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그 다음은 glutamic acid, methionine, aspartic acid 순으로 나타났으며, 총아미노산 중 필수아미노산이 50% 를 넘는 것으로 나타나 필수아미노산 비율이 높은 편이었다. 뿌리의 아미노산 함량은 잎에 많은 leucine은 상대적으로 낮았고 잉utamic acid가 50.
49 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그 다음은 glutamic acid, methionine, aspartic acid 순으로 나타났으며, 총아미노산 중 필수아미노산이 50% 를 넘는 것으로 나타나 필수아미노산 비율이 높은 편이었다. 뿌리의 아미노산 함량은 잎에 많은 leucine은 상대적으로 낮았고 잉utamic acid가 50.05 mg%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aspartic acid, serine 순으로 나타났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