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병원 방사선 작업 종사자들의 개인별 방사선 피폭 정도를 분석하여 방사선 장해의 위험도를 예상해 보고 방사선 작업 종사자들의 점차적인 수적 증가와 장기근무화 되고 있는 것을 고려하여 종사자들의 건강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병원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하며 방사선 피폭의 위험에 대해 경각심을 고취시키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3년 1월 1일부터 1997년 12월 31일까지 부산광역시 소재 4개 대학병원에서 기록 보관중인 방사선 피폭 관리 대장을 가지고 분석하였으며, 1년 미만 기록된 자를 제외한 347명에 대하여 필름뱃지나 열형광 선량계(TLD:Thermolumlnescent dosimeter)로 정기적으로 측정하여 보관한 기록지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진단방사선과, 치료방사선과 및 핵의학과에 근무하는 의사, 방사선사, 간호사, 사무요원들이 있으며 실험실이나 다른 부서도 모두 포함하였고 비교대상군간의 피폭량은 연평균 피폭량으로 하였다. 과다 피폭의 빈도의 비를 보기 위해서는 3개월간의 피폭을 한 건으로 하여 전체에 대한 100분율($\%$)로 비교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먼저 연도별, 기관별, 과별로 분석해보고 다음으로 각과 내에서 각 파트별로 세부분석을 하였다. 피폭정도의 기준은 3개월간의 누적량을 가지고 분석하였으며, 각 개인의 연령, 직종별(의사, 방사선사, 간호사, 기타)로 분석하였다. 연령에 따른 분석에서 개인의 나이는 1993년과 1997년의 중간인 1995년을 기준으로 하였다. 과다 피폭의 대상에 대해서는 과다 피폭의 원인을 분석해 보고 개선방법을 연구해 보았다. 통계처리로는 SPSS 프로그램에서 $\chi$$^{2}$_test와 ANOVA- test를 이용하여 p-Value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결과 : 전체 대상자 347명에 대한 연간 피폭선량 평균은 1.52$\pm$1.35 mSv 였으며 법적 선량한도인 50mSv보다 훨씬 적은 량이지만 그 중 125명(36$\%$)은 방사선과 관련 없는 일반인의 방사선 피폭의 선량한도인 1년간 1 mSv 보다 많은 양의 피폭을 받고 있었다 연령에 따른 방사선 피폭은 30세이하에서 평균 1.87$\pm$1.01 mSV, 31세에서 40세 사이가 평균 1.22$\pm$0.69 mSV, 41세 이상에서 평균 0.97$\pm$0.43 mSV로 연령이 적을수록 많은 양의 피폭을 받고 있었다(p<0.01). 병원 내에서 방사선 피폭을 많이 받는 장소가 한정되어 있었다. 방사선을 취급하는 과별로 받는 년간 평균 피폭 선량은 진단방사선과 1.65$\pm$1.54mSv, 치료방사선과 1.17$\pm$0.82 mSv, 핵의학과 1.79$\pm$1.42 mSv, 기타 0.99$\pm$0.51 mSv였으며 상대적으로 저선량율 에너지를 사용하는 핵의학과에서 다른 과와 비교해서 방사선 피폭이 높게 나타났으며(p<0.05), 핵의학과 내에서는 특히 동위원소 조작실과 주입실의 년간 평균 피폭량이 3.69$\pm$1.81 mSv으로 많은 피폭을 받고 있었다(p<0.01). 진단방사선과 내에서는 대장 촬영실 근무자의 연평균 피폭량이 3.74$\pm$1.74 mSv로 가장 많이받고 있으며(p<0.01) 그외 투시진단법(Fluoroscopy) 등 직접 투시를 요하는 촬영실, 즉 혈관촬영실이 연평균 1.17$\pm$0.35 mSv, 상위장관 촬영실이 연평균 1.75$\pm$1.34 mSv으로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p<0.01). 치료방사선과에서는 가장 많이 고에너지의 방사선을 사용하지만 상대적으로 피폭을 적게 받고 있었다. 직종별 연평균 피폭선량은 의사 1.75$\pm$1.17 mSv, 방사선사 1.60$\pm$1.39 mSV, 간호사 0.93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investigation was peformed in order to improve the health care of radiation workers, to predict a risk, to minimize the radiation exposure hazard to them and for them to realize radiation exposure danger when they work in radiation area in hospital. Methods and Materials : The docu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울러 많은 종사자들이 방사선 구역 내에서 일을 하고 있으며 한국 원자력법을 제정하여 이를 관리하고 있다.4)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소재 4개 대학병원에서 방사선 작업종사자 로 분류되어 관리되고 있는 병원 직원의 기록부를 분석하여 실제 얼마나 피폭을 받고 있으며, 피폭을 많이 받는 장소가 있을 것으로 가정하여 이를 찾아보고 피치 못하게 근무 중 방사선 피폭을 받아야 되는 곳이라면 피폭량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 보았으며, 자칫 습관화된 근무상황에서 소홀해지기 쉬운 방사선 피폭의 위해에 대해 다시 한번 경각심을 일깨우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병원 내 근무하는 방사선 작업종사자들은 비방사선 작업 종사자인 일반인들 보다 많은 양의 피폭을 받고 있었다.
  • 연령에 따른 분석에서 개인의 나이는 1993년과 1997년의 중간인 1995년을 기준으로 하였다. 과 다 피폭의 대상에 대해서는 과다 피폭의 원인을 분석해 보 고 개선방법을 연구해 보았다. 상대적 통계처리로는 SPSS 프 로그램에서와 ANOVA-test를 이용하여 p-value로 유의 성을 검정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내 방사선의 이용도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방사선 작업 종사자의 수도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최근 직업 변경율이 감소하여 장기 근무화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적은 양의 방사선 피폭이라 할지라도 동일 장소에서 계속하여 받게 되면 결국 누적 선량이 증가하여 방사선 작 업종사자의 건강을 해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병원내 방사선 구역에서 방사선과다 피폭의 장소를 찾아 그 원인을 분석해보고, 근무중 피치 못하게 피폭을 받아야 되는 경우는 피폭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 보고자 하였으며 또한 평소 근무중 소홀하기 쉬운 방사선 위험에 대해 경각심을 일깨워 방사선 작업 종사자의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 12 mSv으로 나타났다. 병원 내 방사선 사고가 있을 수 있는지를 직접 확인하여 보았다. 사고가 아니고 필름뱃지를 부착시킨 까운을 촬영실 내 두고 촬영하는 습관이 있는 경우였다.
  • 병원 방사선 작업 종사자들의 개인별 방사선 피폭 및 관리상태를 분석하여 방사선 장해의 위험도를 예상해 보고 점차 수적 증가와 장기근무화되어 가고 있는 것을 고려하여 종사자들의 건강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병원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하며 방사선 피폭의 위험에 대해 다시 한번 경각심을 고취시키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1993년 1월 1일부터 1997년 12월 31일까지 5년 동안 부산광역시 소재 4개 대학병원에서 기록 보관중인 방사선 피폭관리 대장을 가지고 분석하였으며 1년 미만 기록된 자를 제외한 347명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내 방사선의 이용도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방사선 작업 종사자의 수도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최근 직업 변경율이 감소하여 장기 근무화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적은 양의 방사선 피폭이라 할지라도 동일 장소에서 계속하여 받게 되면 결국 누적 선량이 증가하여 방사선 작 업종사자의 건강을 해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병원내 방사선 구역에서 방사선과다 피폭의 장소를 찾아 그 원인을 분석해보고, 근무중 피치 못하게 피폭을 받아야 되는 경우는 피폭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 보고자 하였으며 또한 평소 근무중 소홀하기 쉬운 방사선 위험에 대해 경각심을 일깨워 방사선 작업 종사자의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문제점으로는 현재 방사선 작업 종사자들의 피폭 관리 상태가 얼마나 정확히 실시되고 있는지에 대한 검정이 없다는 것이고 한정된 지역과 한정된 병원에서만 시행했으므로 전체적 파악과는 약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다. 첫째 실제 기록에서 나타나는 경우보다 많은 양의 피폭을 받 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가설 설정

  • 도 된다는 허용범위 이상을 받은 경우는 없었다. 그러나 현재 조사에서 나타난 최고 수치의 피폭을 동일인이 장기근무기간동안 계속 하여 받는다고 가정한다면 그 사람은 상당량의 방사선 피폭을 받게 될 것이다. Fig.
  • 1 mRem보다 높게 나타난다고 한 것과 유사하다 본 연구에서도 연령에 따른 비교보다 근무 경력에 따른 비교가 더 정확할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실제 각 근무자의 근무 경력을 자료상에서 찾을 수가 없었고 다시 경력을 조사할려면 개인별로 모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야 하므로 실제 추적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생각하였다. 그리고 최근에는 직종을 바꾸는 경우가 적으므로 근무자의 연령과 근무 경력과의 상관관계가 비례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직종별 피폭량 조사에서의사와 방사선사들이 간호사와 기타의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문제점으로는 현재 방사선 작업 종사자들의 피폭 관리 상태가 얼마나 정확히 실시되고 있는지에 대한 검정이 없다는 것이고 한정된 지역과 한정된 병원에서만 시행했으므로 전체적 파악과는 약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다. 첫째 실제 기록에서 나타나는 경우보다 많은 양의 피폭을 받 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1) 개인 피폭 선량계를 계속 착용하고 있지 않는 경우(2) 까운에 부착해 두었다가 검사 시 까운을 벗고 실기하는 경우(3) 착용은 했지만 납 앞치마 (lead apron)속에 들어있는 경우(현재 권고사항임) (4) 방사선을 가장 많이 받은 부위보다 실제 가장 먼 곳에 착용한 경우(5) 개인 피폭 선량계 자체가 불량품인 경우(6) 개인 피 폭 선량계를 분석하는 최종 분석 장비의 오차가 심한 경우 등등이 있을 수 있고, 둘째 실제 받는 피폭량보다 기록상 더 많은 경우로는 (1) 개인 피폭 선량계가 부착된 까운을 벗어서 촬영실 내에 두고 작업을 계속하는 경우(2) 까운 보관실이 촬영실 내에 있어서 개인 피폭 선량계를 까운과 같이 계속 보관실내에 넣어두는 경우(3) 실수나 고의로 개인 피폭 선량계를 촬영실 내에 두는 경우(4) 개인 피폭 선량계 자체의 반응도가 과민한 경우(5) 개인 피폭 선량계를 분석하는 최종 분석 장비의 오차가 많은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