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특정 도시내 주거녹지의 미기후개선 및 $CO_2$ 농도저감 효과를 계량화하였다. 또한, 도시수목에 의한 화재방지의 효과를 검토하고, 그들 효과를 함께 증진하기 위한 녹지계획 및 관리 전략을 제시하였다. 수목 생장기간 중 평균 온도는 수목피도 12% 및 22%인 지구에서 녹지부재의 지구보다 각각 0.5$^{\circ}C$, 1.2$^{\circ}C$ 더 낮았다. 수목의 호당 연간 $CO_2$, 흡수량과 $O_2$, 생산량은 수목피도가 2배 더 높은 지구에서 3배 더 많았다. 수목피도 22% 지구의 수목은 광합성과 에너지 절약을 통해 지구 총 $CO_2$배출량의 약 3%를 해마다 상쇄시켰고, 지구내 거주민 모두가 연간 필요로 하는 산소량의 약 10%를 생산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흉고직경 15cm인 느티나무 한 그루의 8월 하루 증산량은 7,100kca1/h(사무실 24평용) 냉방능력을 가진 냉방기를 12시간 동안 약 3대 가동하는 효과와 같았다. 또한, 그 수목은 해마다 32리터의 휘발유 소비에 따른 $CO_2$, 배출량을 상쇄시켰고, 한 사람이 68일간 호흡하는데 필요한 산소량을 생산하였다. 화재 방지를 비롯한 미기후개선 및 $CO_2$ 농도저감의 효과를 증진하기 위해, 수종선정 , 건물주변 식재기법, 녹지확충, 식생관리 등과 관련된 도시 주거녹지의 적정한 계획 및 관리전략을 제시하였다. 제안한 전략은 현존 단독주거지에서는 물론 새로운 주거단지를 조성하는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특정 도시내 주거녹지의 미기후개선 및 $CO_2$ 농도저감 효과를 계량화하였다. 또한, 도시수목에 의한 화재방지의 효과를 검토하고, 그들 효과를 함께 증진하기 위한 녹지계획 및 관리 전략을 제시하였다. 수목 생장기간 중 평균 온도는 수목피도 12% 및 22%인 지구에서 녹지부재의 지구보다 각각 0.5$^{\circ}C$, 1.2$^{\circ}C$ 더 낮았다. 수목의 호당 연간 $CO_2$, 흡수량과 $O_2$, 생산량은 수목피도가 2배 더 높은 지구에서 3배 더 많았다. 수목피도 22% 지구의 수목은 광합성과 에너지 절약을 통해 지구 총 $CO_2$배출량의 약 3%를 해마다 상쇄시켰고, 지구내 거주민 모두가 연간 필요로 하는 산소량의 약 10%를 생산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흉고직경 15cm인 느티나무 한 그루의 8월 하루 증산량은 7,100kca1/h(사무실 24평용) 냉방능력을 가진 냉방기를 12시간 동안 약 3대 가동하는 효과와 같았다. 또한, 그 수목은 해마다 32리터의 휘발유 소비에 따른 $CO_2$, 배출량을 상쇄시켰고, 한 사람이 68일간 호흡하는데 필요한 산소량을 생산하였다. 화재 방지를 비롯한 미기후개선 및 $CO_2$ 농도저감의 효과를 증진하기 위해, 수종선정 , 건물주변 식재기법, 녹지확충, 식생관리 등과 관련된 도시 주거녹지의 적정한 계획 및 관리전략을 제시하였다. 제안한 전략은 현존 단독주거지에서는 물론 새로운 주거단지를 조성하는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quantified the effects of urban greenspace on microclimate amelioration and atmospheric $CO_2$ reduction for several residential districts selected in Korea and Japan. The study also explored fire obstruction by urban trees to develop systematic planting guidelines. Transpirati...
This study quantified the effects of urban greenspace on microclimate amelioration and atmospheric $CO_2$ reduction for several residential districts selected in Korea and Japan. The study also explored fire obstruction by urban trees to develop systematic planting guidelines. Transpiration by a Zelkova serrata tree (diameter at breast height: 15 cm) in a day of August equaled cooling effect of about 3 air conditioners running for 12 hours. Average air temperature for the growing season was 0.5$^{\circ}C$ and 1.2$^{\circ}C$ cooler, respectively, in districts with 12% and 22% cover of woody plants than in a district with no vegetation. Annual $CO_2$ uptake and $O_2$ production by woody plants were 3 times greater in a district which was 2 times higher in their cover. Woody plants played, in a district with their 22% cover, an important role through offsetting total $CO_2$ emission from the district by about 3% annually, and through producing 10% of annual $O_2$ requirement by all residents within the district. Appropriate planning strategies of residential greenspace, including species selection, planting layout, greenspace enlargement, and maintenance were suggested to improve microclimate amelioration, air purification, and fire obstruction.
This study quantified the effects of urban greenspace on microclimate amelioration and atmospheric $CO_2$ reduction for several residential districts selected in Korea and Japan. The study also explored fire obstruction by urban trees to develop systematic planting guidelines. Transpiration by a Zelkova serrata tree (diameter at breast height: 15 cm) in a day of August equaled cooling effect of about 3 air conditioners running for 12 hours. Average air temperature for the growing season was 0.5$^{\circ}C$ and 1.2$^{\circ}C$ cooler, respectively, in districts with 12% and 22% cover of woody plants than in a district with no vegetation. Annual $CO_2$ uptake and $O_2$ production by woody plants were 3 times greater in a district which was 2 times higher in their cover. Woody plants played, in a district with their 22% cover, an important role through offsetting total $CO_2$ emission from the district by about 3% annually, and through producing 10% of annual $O_2$ requirement by all residents within the district. Appropriate planning strategies of residential greenspace, including species selection, planting layout, greenspace enlargement, and maintenance were suggested to improve microclimate amelioration, air purification, and fire obstructi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인구증가와 도시팽창은 도시 주변에 분포하는 식물자원을 훼손하여 온 반면, 개발된 도심내에는 빈약한 식재로 도시녹지의 역할이 제한되는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특정 도시내 주거녹지의 미기후개선 및 C02 흡수 효과를 계 량화하는 것이 다. 또한, 도시 수목에 의 한 화재방지의 효과를 검토하고, 그들 효과를 함께 증진하기 위 한 녹지계획 및 관리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특정 도시내 주거녹지의 미기후개선 및 C02 흡수 효과를 계 량화하는 것이 다. 또한, 도시 수목에 의 한 화재방지의 효과를 검토하고, 그들 효과를 함께 증진하기 위 한 녹지계획 및 관리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제안 방법
또한, 도시 수목에 의 한 화재 방지 의 효과를 검 토하고, 그들 효과를 함께 증진하기 위 한 녹지 계획 및 관리전략을 제시하였다. 수목 생장기간 중 평균 온도는 수목피도 12% 및 22%인 지구에서 녹지 부재 의지 구보다 각각 0.
수종별 단위시 간 및 단위 엽 면적 당증산량을 운반형 적외선가스분석기(ADC의 LCA-4) 를 이용하여, 조와 안(1999c)의 방법으로 자연 상태 하에서 현지 측정하였다. 이 측정은 수목의 생장기인 5월부터 10월까지(1997년) 6개월간 매월 중순에, 해 당일 오전 8시 경 부터 오후 11시 경 까지 3시 간 간격으로 6회 에 걸쳐 실시 되 었다. 증산량 측정시 그에 영향하는 환경 인자들을 적 외선가스분석 기로 자동측정하여, 계절별 환경인자들의 변화와 관련된 각 수종의 단위 시 간 및 단위 엽 면적 당 증산을 계 량화하는회귀식을 산출하였다.
이 측정은 수목의 생장기인 5월부터 10월까지(1997년) 6개월간 매월 중순에, 해 당일 오전 8시 경 부터 오후 11시 경 까지 3시 간 간격으로 6회 에 걸쳐 실시 되 었다. 증산량 측정시 그에 영향하는 환경 인자들을 적 외선가스분석 기로 자동측정하여, 계절별 환경인자들의 변화와 관련된 각 수종의 단위 시 간 및 단위 엽 면적 당 증산을 계 량화하는회귀식을 산출하였다. 즉, 광량, 온도 및 습도를 독립변수로 하고 증산량을 종속변수로 하되, 반복적인 선형 및 비선형 접근을 시도하여 가장 적합한 회귀식 과 독립 변수를 최 종 산출하였다.
산출된 회귀식을 적용하여 단목(單木)의 수관 전체 증산량을 추정하기 위해, 상기한 생장기간 동안 매 월 초순, 중순 및 하순의 3회, 해 당일 오전 8시 경 부 터 오후 11시경까지 3시간 간격으로 환경 인자들을 측정하였다. 광량은 광량계(LI-C0R의 LI-189)를 이용하여 대상수목의 수관 중간부위 에서 측정되었다.
광량은 광량계(LI-C0R의 LI-189)를 이용하여 대상수목의 수관 중간부위 에서 측정되었다. 수관을 중심 으로 한 방향별 광량차이를 고려하여 수관 외 부와 내 부 각각 8개 방향(동, 동남, 남, 서 남, 서 , 서북, 북 및 동북에 걸쳐 수목별 총 16개 지점의 광량을 측정 하였 다.
광량은 광량계(LI-C0R의 LI-189)를 이용하여 대상수목의 수관 중간부위 에서 측정되었다. 수관을 중심 으로 한 방향별 광량차이를 고려하여 수관 외 부와 내 부 각각 8개 방향(동, 동남, 남, 서 남, 서 , 서북, 북 및 동북에 걸쳐 수목별 총 16개 지점의 광량을 측정 하였 다. 대 기 온도와 습도는 휴대 용 온습도계 (Teston의 TH-100)를 이용하여 대상수목의 수간 및 수관을 중심으로 한 주변부에서 측정되었다.
수관을 중심 으로 한 방향별 광량차이를 고려하여 수관 외 부와 내 부 각각 8개 방향(동, 동남, 남, 서 남, 서 , 서북, 북 및 동북에 걸쳐 수목별 총 16개 지점의 광량을 측정 하였 다. 대 기 온도와 습도는 휴대 용 온습도계 (Teston의 TH-100)를 이용하여 대상수목의 수간 및 수관을 중심으로 한 주변부에서 측정되었다. 매월 초, 중 및 하순의 시간별 수관내외부 16개 지점의 광량과 온도 및 습도의 독립 변수 측정 치 들을 증산량 산정 회귀 식에 대입하여, 단목의 해당월 단위시간 및단위엽면적당 평균 증산량을 산정하였다.
대 기 온도와 습도는 휴대 용 온습도계 (Teston의 TH-100)를 이용하여 대상수목의 수간 및 수관을 중심으로 한 주변부에서 측정되었다. 매월 초, 중 및 하순의 시간별 수관내외부 16개 지점의 광량과 온도 및 습도의 독립 변수 측정 치 들을 증산량 산정 회귀 식에 대입하여, 단목의 해당월 단위시간 및단위엽면적당 평균 증산량을 산정하였다. 이 단위 시간당 증산량에 월별 평균 일장시간을 곱하여 주간의 단위 엽 면적 당 증산량을 산출하고, 비가 내 린 날을 제외한 해당월의 일수를 곱하여 각 수종의 월별 단위 엽 면적 당 증산을 계 량화하였 다.
주거 지 구를 선정 하였다. 지 구별 전체 의 녹지 면적을 대변하는 중앙의 특정 지점을 선정하여 직경 30m 의 원을 그린 후, 현지 답사를 통해 원내 에 접 한 모든 주택의 수목피도 및 토지피복 유형을 실측하였다. 각 지점의 지상 3m에 소형 백엽상을 설치하고 자기 온습도계 (HOBO의 H08-032-02)를 이용하여, 1998 및 1999년의 2년 동안 수목의 생장기 인 5월에서 10 월까지 6개월간 매월 초순, 중순 및 하순의 하루 24 시간 대기온도와 습도를 측정하였다.
지 구별 전체 의 녹지 면적을 대변하는 중앙의 특정 지점을 선정하여 직경 30m 의 원을 그린 후, 현지 답사를 통해 원내 에 접 한 모든 주택의 수목피도 및 토지피복 유형을 실측하였다. 각 지점의 지상 3m에 소형 백엽상을 설치하고 자기 온습도계 (HOBO의 H08-032-02)를 이용하여, 1998 및 1999년의 2년 동안 수목의 생장기 인 5월에서 10 월까지 6개월간 매월 초순, 중순 및 하순의 하루 24 시간 대기온도와 습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직경 30m의 원경내에 수목이 부재하는 도심의 한 지구를 추가 선정하여 온습도를 측정하고, 수목피도의 차이가 미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각 지점의 지상 3m에 소형 백엽상을 설치하고 자기 온습도계 (HOBO의 H08-032-02)를 이용하여, 1998 및 1999년의 2년 동안 수목의 생장기 인 5월에서 10 월까지 6개월간 매월 초순, 중순 및 하순의 하루 24 시간 대기온도와 습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직경 30m의 원경내에 수목이 부재하는 도심의 한 지구를 추가 선정하여 온습도를 측정하고, 수목피도의 차이가 미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한편, 일본 동경시를 대상으로 식생이 거의 없는 도심과 교외의 느티나무림내에서 온도를 측정 비교하였다.
또한, 직경 30m의 원경내에 수목이 부재하는 도심의 한 지구를 추가 선정하여 온습도를 측정하고, 수목피도의 차이가 미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한편, 일본 동경시를 대상으로 식생이 거의 없는 도심과 교외의 느티나무림내에서 온도를 측정 비교하였다. 이 측정 은 9월 초순(1997년)에 자기 온도계로 지 상 1.
축척 1/2, 500의 지형도상에서 선정한 격 자의 X 및 Y축을 각각 2.5m 등간격 으로 구분하여 좌표를 설정 하고, 좌표점 의 토지 이 용상 주거 지 에속하는 총 24개의 지 점을 표본추출하였다. 현지 답사를 통해 해당 지점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주택을 대상으로, 대지내 식재수목의 수종, 흉고직경(흉고직 경 2cm 이 하의 관목은 근원직 경 ), 수고, 피 도 등을 조사하였다.
5m 등간격 으로 구분하여 좌표를 설정 하고, 좌표점 의 토지 이 용상 주거 지 에속하는 총 24개의 지 점을 표본추출하였다. 현지 답사를 통해 해당 지점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주택을 대상으로, 대지내 식재수목의 수종, 흉고직경(흉고직 경 2cm 이 하의 관목은 근원직 경 ), 수고, 피 도 등을 조사하였다.
수종 및 개 체 별 다수의 생 체 량방정 식 (建設省土木 硏究所, 1992; 조와 안, 1999a)을 적 용하여 평 균 생 체량을 구하고, 이 를 광합성 수식 에 따라 CO2량으로전환하여(lg 생체량 = 1.63g CO2) 식재수목의 CO2 저 장량을 산정 하였다. 여 기 에서 , CCh 저 장량이 란 광합성 에 의 해 다년간 흡수 축적 한 CCh량을 의 미 하는 것으로서, 한해 동안 흡수한 연간 CO2 흡수량과는 구별된다.
수목의 연간 CO2 흡수는 조와 안(1999a)의 방법으로 수종별 생체량방정식과 연간 직경생장률 (建設省土木硏究所, 1992; 조와 안, 1999a)을 적 용하여 계 량화되 었다. 즉, 수목의 연간 직 경 생장률로부터 조사 전년도의 흉고직경 또는 근원직경(관목)을 파악하고, 이 직경 변수를 생체 량방정식 에 대입하여 전년도의 생체량을 산출하였다. 조사년도의 생체 량에 서 전년도의 생 체 량을 제 감하여 연간 증가된 생 체량을 구하고 이 를 CCh 흡수 량으로 전환하였다.
즉, 수목의 연간 직 경 생장률로부터 조사 전년도의 흉고직경 또는 근원직경(관목)을 파악하고, 이 직경 변수를 생체 량방정식 에 대입하여 전년도의 생체량을 산출하였다. 조사년도의 생체 량에 서 전년도의 생 체 량을 제 감하여 연간 증가된 생 체량을 구하고 이 를 CCh 흡수 량으로 전환하였다.
7273을 곱하여 산정되었다. 한편, 본 연구 과정의 일부인 조와 안(1999a)의 탄소흡수량 산출결과에 기초하여, 전기한 춘천시 2개 주거지구내 수목의 연간 CO2 흡수 및 02 방출을 계 량화하고 松戶 市 주거지 수목의 효과와 비교하였다.
2000). 그러나, 건물 가까이 무분별하게 식재된 수목은 화재발생시 오히려 화염원이 될 수 있으므로, 본 연구과정의 일부인 野島(2000)의 연구 결과와 관련 문헌에 근거하여 주거녹지의 적정한 계획 및 관리 전략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일부 수종의 CO2 흡수 및 저장은 식재수종별 충분한 표본수의 확보와 벌목을 통한 생 체량 측정 이 불가하여, 삼림수목의 생체 량방정식 및 직경 생장률을 대용하여 계 량화되 었다. 도시 수목의 생체량 축적은 미기후, 경쟁 등 생장환경 조건의 차이로 삼림수목과는 다를 수 있다.
흉고직경 15cm인 느티나무 한 그루의 8월 하루 증산량은 7, 100kcal/h(사무실 24평 용) 냉방능력 을 가진 냉방기를 12시 간 동안 약 3대 가동하는 효과와 같았다. 또한, 그 수목은 해 마다 32리 터 의 휘 발유 소비 에 따른 CO2 배출량을 상쇄시켰고, 한 사람이 68일간 호흡하는데 필요한 산소량을 생산하였다. 화재방지를 비롯한 미기후개선 및 CO2 농도저감의 효과를 증진하기위흐수종선정, 건물주변 식재기법, 녹지확충, 식생 관리 등과 관련된 도시 주거녹지의 적정한 계획 및 관리 전 략을 제 시 하였 다.
또한, 그 수목은 해 마다 32리 터 의 휘 발유 소비 에 따른 CO2 배출량을 상쇄시켰고, 한 사람이 68일간 호흡하는데 필요한 산소량을 생산하였다. 화재방지를 비롯한 미기후개선 및 CO2 농도저감의 효과를 증진하기위흐수종선정, 건물주변 식재기법, 녹지확충, 식생 관리 등과 관련된 도시 주거녹지의 적정한 계획 및 관리 전 략을 제 시 하였 다. 제 안한 전 략은 현존 단독주거지 에서는 물론 새로운 주거단지를 조성하는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한다.
매월 초, 중 및 하순의 시간별 수관내외부 16개 지점의 광량과 온도 및 습도의 독립 변수 측정 치 들을 증산량 산정 회귀 식에 대입하여, 단목의 해당월 단위시간 및단위엽면적당 평균 증산량을 산정하였다. 이 단위 시간당 증산량에 월별 평균 일장시간을 곱하여 주간의 단위 엽 면적 당 증산량을 산출하고, 비가 내 린 날을 제외한 해당월의 일수를 곱하여 각 수종의 월별 단위 엽 면적 당 증산을 계 량화하였 다.
대상 데이터
국내 도시에 흔히 식재되는 조경수종들인(이 등, 1979; 조 등, 1998), 은행나무(Ginkgo bilobd), 플라타너 스(PZalaes occidentalism, 느티 나무(ZeZkova serrata) 및 단풍나무(Acer palmatum)를 춘천시 도심에서 선정하여 월별 증산량을 측정하였다. 은행나무와 플라타너 스는 가로상에, 그리 고 느티나무와 단풍나무는 공공건물 주변에 식 재된 정상적 생장을 보이는 수목이 었다.
춘천시를 대상으로 흑백 항공사진상(축척 1/15, 000)에서 행정 동별 토지 피복 유형 을 판독하고, 수목피 도를 포함하는 녹지 면적 의 대 소에 따라 2개의 주거 지 구를 선정 하였다. 지 구별 전체 의 녹지 면적을 대변하는 중앙의 특정 지점을 선정하여 직경 30m 의 원을 그린 후, 현지 답사를 통해 원내 에 접 한 모든 주택의 수목피도 및 토지피복 유형을 실측하였다.
일본 松戶市(동경시에 인접)를 대상으로, 축척 1/15, 000의 지 형 도상에 500 X 500m 등간격 의 격 자들을 그린 후 임의로(random number 이용) 한 격자를 표본 추출하였다. 축척 1/2, 500의 지형도상에서 선정한 격 자의 X 및 Y축을 각각 2.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특정 도시내 주거녹지의 미 기 후개선 및 C02 농도저 감 효과를 계 량화하였다. 또한, 도시 수목에 의 한 화재 방지 의 효과를 검 토하고, 그들 효과를 함께 증진하기 위 한 녹지 계획 및 관리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론/모형
은행나무와 플라타너 스는 가로상에, 그리 고 느티나무와 단풍나무는 공공건물 주변에 식 재된 정상적 생장을 보이는 수목이 었다. 수종별 단위시 간 및 단위 엽 면적 당증산량을 운반형 적외선가스분석기(ADC의 LCA-4) 를 이용하여, 조와 안(1999c)의 방법으로 자연 상태 하에서 현지 측정하였다. 이 측정은 수목의 생장기인 5월부터 10월까지(1997년) 6개월간 매월 중순에, 해 당일 오전 8시 경 부터 오후 11시 경 까지 3시 간 간격으로 6회 에 걸쳐 실시 되 었다.
성능/효과
은행나무와 플라타너 스는 가로상에, 그리 고 느티나무와 단풍나무는 공공건물 주변에 식 재된 정상적 생장을 보이는 수목이 었다. 수종별 단위시 간 및 단위 엽 면적 당증산량을 운반형 적외선가스분석기(ADC의 LCA-4) 를 이용하여, 조와 안(1999c)의 방법으로 자연 상태 하에서 현지 측정하였다.
증산량 측정시 그에 영향하는 환경 인자들을 적 외선가스분석 기로 자동측정하여, 계절별 환경인자들의 변화와 관련된 각 수종의 단위 시 간 및 단위 엽 면적 당 증산을 계 량화하는회귀식을 산출하였다. 즉, 광량, 온도 및 습도를 독립변수로 하고 증산량을 종속변수로 하되, 반복적인 선형 및 비선형 접근을 시도하여 가장 적합한 회귀식 과 독립 변수를 최 종 산출하였다.
온습도는 풍속 2m/s 이하의 대체로 맑은 날에, 풍향에 관계없이 지구별 녹지의 영향을 반영하도록 총면적이 1〜3km2인 지구의 중앙부위 에서 측정된 것이다. 수목피도가 12% 이고 투수성 면적 이 13%인 지 구의 생장기간 평균온도는 녹지 가 부재 하는 지 구보다 0.5° C 더 낮았다. 수목피도가 22%이고 투수성 면적 이 44%인 지 구는 녹지 부재 지 구보다 온도는 평 균 1.
5° C 더 낮았다. 수목피도가 22%이고 투수성 면적 이 44%인 지 구는 녹지 부재 지 구보다 온도는 평 균 1.2° C 더 낮았고 습도는 6% 더 높았다. 기 존 연구들(Huang et al.
5〜 1°C 감소시 킴 을 보고한바 있다. 수목의 증산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광도가낮아지 는 가을의 경 우, 지 구간 온습도 차이는 타 계절에 비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 차이의 하루 중 시 간별 변화를 분석 하면(Fig.
수목의 증산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광도가낮아지 는 가을의 경 우, 지 구간 온습도 차이는 타 계절에 비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 차이의 하루 중 시 간별 변화를 분석 하면(Fig. 2), 수목피 도가 높고 투수성 면적 이 클수록 온도가 하루 종일 상대적 으로더 낮았다. 주간 중 그 온도차는 부분적 으로 증발산의 효과에 의해 오전보다는 오후 시간대에 더 컸다.
대지내 평균 수목피도는 19%이었고, 수목의 C02 저장량은 호당 평균 1, 424.1 ±816.6(95% 신뢰구간) kg인 것으로 나타났다. 춘천시 단독주택 의경 우, 수목의 CCh 저 장량은 수목피 도 12%인 주거 지구(평균 대지면적: 199m2)에서 호당 평균 264.
즉, 수목피 도가 약 2배 더 높은 지 구에서 CO2 저장량은 3배 더 많았다. 수목피도 19%인 일본 주거지 구의 CO2 저 장량은 피도 22%인 춘천시 주거지 구보다 평균적으로는 더 많았으나, 95% 수준의 신뢰구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Nowak(1994)은 미국 Oakland 및 Chicago 주거지에서(교목피도 각각 21% 및 23%), 수목의 CCh 저 장량이 각각 3.
9kg/yr이 었다. 상기 한CO2 저장량의 경우처럼, 연간 CO2 흡수량과 02 생산량은 수목피도가 2배 더 높은 지구에서 3배 더 많았고, 일본 주거지구와 피도 22%인 춘천시 주거지 구간 C6 흡수량 및 6 생산량은 95% 수준의 신뢰 구간에서 유의 한 차이 가 없었다.
2kg/yr 이었다(조와 조, 1998). 연간 02 방출량은 느티나무 50.7kg/yr, 단풍나무 9.3kg/yr, 은행 나무 2.9kg/yr 등이었고, 동화기 간의 CO2 흡수량에 비 해 비 동화기 관의 호흡에 의한 CCh방출량이 더 많았던 플라타너스는 오히려 대기의 산소를 1.6kg/yr 소비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전정된 가지는 정원에 매립하여 유기물로서 토양내 탄소축적에 기여토록 한다. 수목직경은 춘천시 연구지 구 모두 유목 및 성 장과정 의 수목들이 우점하는(흉고직 경 20cm 이하의 교목이 95-100% 차지) 단령구조를 보였다. 중장기적 식재 및 관리 계획 을 통해 다령 구조로 전환하고 성 목의 지 속적 미 기후 개 선 및 CCh 흡수 효과를 도모해 야 할 것 이 다.
또한, 도시 수목에 의 한 화재 방지 의 효과를 검 토하고, 그들 효과를 함께 증진하기 위 한 녹지 계획 및 관리전략을 제시하였다. 수목 생장기간 중 평균 온도는 수목피도 12% 및 22%인 지구에서 녹지 부재 의지 구보다 각각 0.5° C, 1.2° C 더 낮았다. 수목의 호당 연간 C6흡수량과 02 생산량은 수목피도가 2배 더 높은 지 구에서 3배 더 많았다.
후속연구
화재방지를 비롯한 미기후개선 및 CO2 농도저감의 효과를 증진하기위흐수종선정, 건물주변 식재기법, 녹지확충, 식생 관리 등과 관련된 도시 주거녹지의 적정한 계획 및 관리 전 략을 제 시 하였 다. 제 안한 전 략은 현존 단독주거지 에서는 물론 새로운 주거단지를 조성하는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한다.
도시 수목의 생체량 축적은 미기후, 경쟁 등 생장환경 조건의 차이로 삼림수목과는 다를 수 있다. 향후, 도시 수목의 수종별 생 체 량 및 COz 흡수량에 관한 보강연구를 통해 비교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