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잎과 녹차의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을 액체배지에 0~2%(w/v)첨가하여 5종류의 식중독세균(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196E, Aeromonas hydrophila,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을 $10^{5}$~$10^{6}$ cells/ml 되게 접종하여 35$^{\circ}C$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솔잎과 녹차의 추출물 종류와 농도에 따른 각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배양액의 생균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이 결과로부터 각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와 최소사멸농도를 구하였다. 아울러 솔잎과 녹차의 추출물과 보존료인 sodium benzoate로서 각 세균에 대한 생육저해환의크기를 비교하였다. 솔잎추출물은 Gram 양성균(L. monocytogenes, S. aureus)과 Gram 음성균중 A. hydrophila에 대하여 0.4~l.6% 범위내에서 증식을 억제시켰으며 E. coli와 S. typhimurium은 솔잎추출물에 대하여 강한 내성을 나타내었다. 솔잎 추출물은 시험한 5균주에 대하여 사멸작용은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에 녹차추출물은 시험한 5균주 모두에 대하여 0.2~l.0% 범위내에서 증식을 억제시켰으며 L. monocytogenes를 제외한 모든 균주를 0.5~2.0% 범위내에서 사멸시키는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솔잎과 녹차추출물은 특히 S. aureus와 A. hydrophila에 대하여 보존료(sodium benzoate)보다도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인 항균력의 크기는 녹차 에탄올추출물 > 녹차 물추출물 > 솔잎 에탄올추출물 > 솔잎 물추출물의 순이었다. 이 결과로 미루어 녹차추출물은 다양한 종류의 세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작용을 나타내는 천연 보존료로서의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다.
솔잎과 녹차의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을 액체배지에 0~2%(w/v)첨가하여 5종류의 식중독세균(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196E, Aeromonas hydrophila,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을 $10^{5}$~$10^{6}$ cells/ml 되게 접종하여 35$^{\circ}C$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솔잎과 녹차의 추출물 종류와 농도에 따른 각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배양액의 생균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이 결과로부터 각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와 최소사멸농도를 구하였다. 아울러 솔잎과 녹차의 추출물과 보존료인 sodium benzoate로서 각 세균에 대한 생육저해환의크기를 비교하였다. 솔잎추출물은 Gram 양성균(L. monocytogenes, S. aureus)과 Gram 음성균중 A. hydrophila에 대하여 0.4~l.6% 범위내에서 증식을 억제시켰으며 E. coli와 S. typhimurium은 솔잎추출물에 대하여 강한 내성을 나타내었다. 솔잎 추출물은 시험한 5균주에 대하여 사멸작용은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에 녹차추출물은 시험한 5균주 모두에 대하여 0.2~l.0% 범위내에서 증식을 억제시켰으며 L. monocytogenes를 제외한 모든 균주를 0.5~2.0% 범위내에서 사멸시키는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솔잎과 녹차추출물은 특히 S. aureus와 A. hydrophila에 대하여 보존료(sodium benzoate)보다도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인 항균력의 크기는 녹차 에탄올추출물 > 녹차 물추출물 > 솔잎 에탄올추출물 > 솔잎 물추출물의 순이었다. 이 결과로 미루어 녹차추출물은 다양한 종류의 세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작용을 나타내는 천연 보존료로서의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다.
The sensitivity of various pathogenic bacteria(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Aeromonas hydrophila,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typhimurium) to the pine needle and green tea extracts was tested. Water extract of pine needle(PNW), 70% ethanol extract of pine needle(PNE), w...
The sensitivity of various pathogenic bacteria(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Aeromonas hydrophila,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typhimurium) to the pine needle and green tea extracts was tested. Water extract of pine needle(PNW), 70% ethanol extract of pine needle(PNE), water extract of green tea(GTW) and 70% ethanol extract of green tea(GTE) were prepared for the test of antibacterial activty. Tryptic soy broth(TSB) containing 0∼2%(w/v) of pine needle and green tea extracts were inoculated with 10$^<$TEX>5/∼10$^<$TEX>6/ cells/ml of each bacterium and incubated at 35$\^{C}$ for 24 hours. The standard plate count method was used to measure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extracts.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and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MBC) were derived from the survival curves of pathogenic bacteria.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pine needle and green tea extracts were compared with that of sodium benzoate, a preservative, by clear zone test. L. monocytogenes, S. aureus and A. hydrophila were completely inhibited at 0.4∼1.6% level while E. coli and S. typhimurium were very resistant to the pine needle extracts. Green tea extracts completely inhibited all strains tested at 0.2∼1.0% level and bactercidal to all strains except L. monocytogenes at 0.5∼2.0% level. Antibacterial activities of pine needle and green tea extracts were stronger than that of sodium benzoate. The order of antibacterial activities of pine needle and green tea extracts to the pathogenic bacteria was GTE > GTW > PNE > PNW. This result suggests that green tea extract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natural antibacterial agent in food.
The sensitivity of various pathogenic bacteria(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Aeromonas hydrophila,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typhimurium) to the pine needle and green tea extracts was tested. Water extract of pine needle(PNW), 70% ethanol extract of pine needle(PNE), water extract of green tea(GTW) and 70% ethanol extract of green tea(GTE) were prepared for the test of antibacterial activty. Tryptic soy broth(TSB) containing 0∼2%(w/v) of pine needle and green tea extracts were inoculated with 10$^<$TEX>5/∼10$^<$TEX>6/ cells/ml of each bacterium and incubated at 35$\^{C}$ for 24 hours. The standard plate count method was used to measure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extracts.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and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MBC) were derived from the survival curves of pathogenic bacteria.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pine needle and green tea extracts were compared with that of sodium benzoate, a preservative, by clear zone test. L. monocytogenes, S. aureus and A. hydrophila were completely inhibited at 0.4∼1.6% level while E. coli and S. typhimurium were very resistant to the pine needle extracts. Green tea extracts completely inhibited all strains tested at 0.2∼1.0% level and bactercidal to all strains except L. monocytogenes at 0.5∼2.0% level. Antibacterial activities of pine needle and green tea extracts were stronger than that of sodium benzoate. The order of antibacterial activities of pine needle and green tea extracts to the pathogenic bacteria was GTE > GTW > PNE > PNW. This result suggests that green tea extract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natural antibacterial agent in foo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을 이용하여 식중독세균의 증식을 억제시킬수 있는 천연 보존료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위하여 솔잎과 녹차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로 서식중독세균에 대한 각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제안 방법
105~ 105cells/ml되게 접종하여 35℃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솔잎과 녹차의 추출물 종류와 농도에 따른 각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배양액의 생균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이 결과로부터 각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와 최소사멸농도를 구하였다. 아울러 솔잎과 녹차의 추출물과 보존료인 sodium benzoate로서 각 세균에 대한 생육저해환의크기를 비교하였다.
솔잎과 녹차의 추출물 종류와 농도에 따른 각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배양액의 생균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이 결과로부터 각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와 최소사멸농도를 구하였다. 아울러 솔잎과 녹차의 추출물과 보존료인 sodium benzoate로서 각 세균에 대한 생육저해환의크기를 비교하였다.
솔잎 및 녹차 추출물은 물과 70% 에탄올 처리구로 나누어 제조하였다. 솔잎 추출물은 솔잎 중량의 10배의 물 혹은 70% 에탄올을 가한 후 70℃에서 3시간씪, 3회 환류추출하였다.
전배양 및 본배양을 위한 액체배지는 tryptic soy broth(TSB, Difco)를 121℃에서 15분간 멸균한후 솔잎과 녹차의 물 혹은 에탄올 추출물을 여과멸균하여 배지의 0~2%(w/v) 되게 첨가하였다. 생균수의 측정을 위한 고체 배지는 tryptic soy agar(TSA)를, 균액의 희석액으로는 0.
1 ml를 다시 TSB 10mZ에 접종하여 35℃에서 18~24시간 전배양하였다. 증식과 증식억제실험을 위하여 세균의 전배양액을 실험초기의 세균수가 10’~106 cells/mZ 되도록 각각의 추출물을 0~2%(w/v) 함유한 TSB에 접종하였다. 솔잎과 녹차의 물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각 세균에 대한 증식억제작용은 35℃의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한 배양액 mZ당의 colony forming unit(CFU/mZ)로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각 세균에 대한 최소저해 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 MIC)와 최저사멸농도(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 MBC)는 35℃에서 24시간 배양한 배양액에 함유된 추출물의 농도와 생균수변화 그래프로부터 최초의 접종균수보다 증식이 인정되지 않는 최저농도를 MIC, 세균이 사멸한 최저 농도를 MBC로 하였다.
멸균하여 미리 건조시킨 한천 평판 배지에 각 세균의 24시간 배양액을 1/1,000 희석하여 0.1 ml를 평판도 말한 후, 솔잎 추출물, 녹차추출물, sodium benzoate의 1%와 2% 용액을 직경 6 mm의 paper disc에 30μl씩 주입하여 확산시킨 후 35℃에서 48시간 배양했을 때, 생육 저해 환의 크기를 비교하였다.
솔잎과 녹차의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을 액체배지에 0~2%(w/v) 첨가하여 5종류의 식중독세균(Z&f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196E, Aeromonas hydrophila,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imi)을 105~ 105cells/ml되게 접종하여 35℃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솔잎과 녹차의 추출물 종류와 농도에 따른 각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배양액의 생균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이 결과로부터 각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와 최소사멸농도를 구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실험에 사용한 솔잎은 경산시 점촌동의 야산에서 1998년 7월에 채취하여 물로 수세후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여 사용하였으며, 녹차는 태평양화학의 덖음차를 1998년 3월에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시험균주는 식중독세균으로서 Gram양성균 2종류 (Listeria monocytogenes ATCC 7644, Staphylococcus aureus ATCC 13565)와 Gram 음성균 3종류(Aemmonas hydrophila ATCC 7965, Escherichia coli O157:H7 ATCC 43895, Salmonella typhimurium ATCC 13311)를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솔잎과 녹차의 물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각 세균에 대한 증식억제작용은 35℃의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한 배양액 mZ당의 colony forming unit(CFU/mZ)로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종류별 첨가농도에 따른 증식억제실험은 2회 반복하여 실험한 값을 평균하였다.
성능/효과
0% 범위내에서 사멸시키는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솔잎과 녹차추출물은 특히 S. aureus와 A. hydrophila에 대하여 보존료(sodium benzoate)보다도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인 항균력의 크기는 녹차 에탄올추출물 > 녹차 물추출물 > 솔잎 에탄올추출물>솔잎 물추출물의 순이었다.
hydrophila에 대하여 보존료(sodium benzoate)보다도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인 항균력의 크기는 녹차 에탄올추출물 > 녹차 물추출물 > 솔잎 에탄올추출물>솔잎 물추출물의 순이었다. 이 결과로 미루어 녹차추출물은 다양한 종류의 세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작용을 나타내는 천연 보존료로서의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105 cells/m/ 되게 접종한 후 35℃에서 24시간 배양하였을 때 배양^의 생균수변화를 나타내었다. 대조구의 생균수는 2.5 ~ 3.2X10' cells/m/로서 4.4 log cycle 증가하였으며 솔잎 물추출물의 경우에는 0.5% 범위내에서는 생균수의 감소가 뚜렷하지 않았으나 0.5~ 1.0%에서 생균수 .가 급격히 감소하여 1%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8 log cycle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었고 1% 이상의 농도에서는 더 이상 생균수 감소를 나타내지 아니하였다.
가 급격히 감소하여 1%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8 log cycle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었고 1% 이상의 농도에서는 더 이상 생균수 감소를 나타내지 아니하였다. 솔잎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에는 0.3~1.0%에서 생균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솔잎 물추출물의 생균수에 비하여 월등히 낮은 생균수로서 0.5%에서 다조구보다 5.2 log cycle의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1% 이상의 농도에서는 솔잎 물 추출물의 경우와 비슷한 경향으로 더 이상 생균수 감소를 나타내지 아니하였다.
녹차 물추출물의 경우, 0.3~ 1.0%에서 생균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1%에서는 대조구보다 5.8 log cycle 낮았으며 1% 이상의 농도에서는 생균수 감소가 완만하여 1%와 2% 간의 생균수 차이는 0.4 log cycle에 불과하였다. 녹차 에탄올추출물에서는 0~0.
4 log cycle에 불과하였다. 녹차 에탄올추출물에서는 0~0.5% 범위내에서 생균수 감소가 가장 급격하여 솔잎 물추출물의 생균수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0.5%이상의 농도에서는 생균수 감소가 뚜렷하지 읺아서 0.5%와 2%간에는 생균수의 차이가 0.9 log cycle에 불과하였으며 잔존하는 생균수가 3 log cycle 이상이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솔잎과 녹차 추출물의 L. monocytogenese 대한 증식억제 효과는 0.5% 이내의 저농도에서는 녹차 추출물이 솔잎 추출물보다 효과적이었다. 추출물 1% 이상의 농도에서는 솔잎 추출물이 녹차 추출물보다 억제효과가 컸으나 솔잎과 녹차 추출물 모두에서 L.
5% 이내의 저농도에서는 녹차 추출물이 솔잎 추출물보다 효과적이었다. 추출물 1% 이상의 농도에서는 솔잎 추출물이 녹차 추출물보다 억제효과가 컸으나 솔잎과 녹차 추출물 모두에서 L. monocytogenese 대한 증식억제 효과는 거의 일정 수준이 유지되었으며 세균의 사멸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녹차추출물의 경우에는 솔잎 추출물에 비하여 저농도부터 생균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물추출물의 경우에는 1.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에는 0.5%에서 사멸하여 S. 에 대하여 항균활성은 대단히 우수하였다. 특히 S.
솔잎 물추출물의 경우에는 0~ 1%에서 생균수 감소가 완만하였고 1~2%에서 생균수의 감소가 빨랐던 반면에 솔잎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0~ 1%에서 생균수 감소가 빠르고 1~2%에서 생균수의 감소가 완만해지는 상반된 결과로서 1%에서 솔잎 에탄올추출물과 물추출물간에는 5.3 log cycle의 가장 큰 생균수 차이를 나타내었다.
녹차 추출물에서는 0~0.3%에서 생균수는 급격히 감소하여 대조구에 비하셔 물추출물에서는 5.75,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7.05 log cycle의 차이를 나타내었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도 생균수는 계속 감소하여 물추출물은 0.7%, 에탄올추출물은 0.5%에서 세균은 사멸하였다. 녹차 추출물의 A.
한편, 녹차추출물의 경우에는 물추출물에서 0.5% 이상의 농도에서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생균수가 감소하여 2%에서 사멸하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0.5%까지는 생균수가 급격히 감소하였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도 계속 생균수가 감소하여 1.5%에서 사멸하였다.
48 log cycle의 감소에 불과하였다. 녹차추출물에서는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 0.3~0.7%에서 생균수의 감소가 컸으며 0.7% 이상의 농도에서도 생균수는 계속 감소하여 각각 2%와 L5%에서 사멸하였다.
솔잎 물추출물의 MIC는 Gram양성균에서 0.72~ 0.84%에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나 Gram음성균에서는 A. hydmphila는 1.58%에서 억제되었으나 E. coli와 S. typhimuriume 억제되지 않았다. 솔잎 에탄올추출물의 MIC는 솔잎 물추출물의 MIC보다 17~62% 낮았으며 E.
typhimuriume- 억제되지 않았다. 녹차 주출물에서는 물 추출물에서 0.20-1.04%, 에탄올 추출물에서 0.18-0.46% 범위에서 시험한 5종류의 식중독세균 모두 억제되었다.
식중독세균의 사멸현상이 나타나지 아니하였다. 녹차 추출물에서는 L. monocytogenee: 제외한 모든 세균이 사멸되었으며, 녹차 물추출물에서 0.7~2.0%, 녹차 에탄올 추출물에서 0.5~1.5%에서 사멸효과를 나타내어 녹차의 우수한 항균활성이 확인되었다.
aureue\ 대하여 1%와 2%의 sodium benzoate는 생육저해환을 형성하지 않았으나 솔잎 추출물에서는 1% 농도에서 생육 저해환을 형성하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의 생육저해환이 물추출물에 비하여 큰 편이었다. 녹차 추출물에서는 1% 농도에서도 물추출물은 직경 약 15 mm, 에탄올추출물에서는 약 17 mm의 생육저해환이 형성되어 솔잎 추출물에 비하여 월등히 큰 항균활성이 확인되었다.
Fig. 6과 Fig. 7의 S. aureuse- A. hydrophila0^ 대한 솔잎과 녹차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성은 보존료인 sodium benzoate에 비하여 월등히 컸으며, 특히 녹차의 에탄올 추출물은 두 시험균주에 대하여 가장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어 보존료로서의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hydrophila0^ 대하여 1%와 2%의 솔잎추출물, 녹차 물추출물과 보존료에 의해 형성된 생육저해환의 크기를 비교한 사진이다. A. hydrophilae 대한 생육저해환은 sodium benzoate에 의해서는 형성되지 않았으며 솔잎의 경우에는 물추출물 1%에서 생육 저해환을 볼 수 없었으나 2%에서는 생육저해환이 형성되었다. 솔잎에탄올 추출물에서는 1%와 2% 모두 뚜렷한 생육저해환이 형성되었다.
솔잎추출물은 Gram 양성균(L. monocytogenes, S. grens)과 Gram 음성균중 A. hydrophilae 대하여 0.4 ~1.6% 범위내에서 증식을 억제시켰으며 E. coli와 S. typhimuriume: 솔잎주출물에 대하여 강한 내성을 나타내었다. 솔잎 추출물은 시험한 5균주에 대하여 사멸작용은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솔잎 추출물은 시험한 5균주에 대하여 사멸작용은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에 녹차추출물은 시험한 5균주 모두에 대하여 0.2~ 1.0% 범위내에서 증식을억제시켰으며 L. monocytogenese: 제외한 모든 균주를 0.5-2.0% 범위내에서 사멸시키는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솔잎과 녹차추출물은 특히 S.
후속연구
전체적인 항균력의 크기는 녹차 에탄올추출물 > 녹차 물추출물 > 솔잎 에탄올추출물>솔잎 물추출물의 순이었다. 이 결과로 미루어 녹차추출물은 다양한 종류의 세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작용을 나타내는 천연 보존료로서의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hydrophila는 다양한 식품에서 분리되고 있는 저온세균으로서 장염을 일으키는 원인 세균인데, .쩌본 실험의 결과에서 저농도의 녹차추출물로서 이 세균의 증식을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는 A. hydrophila 에 의한 식중독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typhirmrium에 대한 솔잎과 녹차 추출둘의 항균활성은 아주 비슷한 결과로서 솔잎추출물은 이 두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이 미미하였으나 녹차추출물은 대단히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이 두 균주가 각국에서 대형 식중독 사고의 대표적 원인세균인데 typhinuirium과 E. coli O157:H7의 증식억제를 위하여 녹차를 이용한 식품의 개발22,23)을 통하여 식품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0%에서 이 두 균주가 사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우리가 식품으로 사용하는 천연물은 여러 가지 항균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각 식중독세균을 억제할 수 있는 식품의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서는 식품중의 항균성 물질들을 밝혀 내고 이들 성분의 병용효과 등의 실험을 통하여 안전한 천연보존료의 개발이 빨라질 것으로 생각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