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형기후학적 공간내삽에 의한 북한지역 강수기후도 작성
Estimation of Climatological Precipitation of North Korea by Using a Spatial Interpolation Scheme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2 no.1, 2000년, pp.16 - 23  

윤진일 (경희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료가 불충분한 북한지방의 강수기후정보를 얻기 위해 상대적으로 자료가 풍부한 남한의 지형강수 관계를 도출하여 이를 북한지방에 적용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남한 전역을 대략적인 경사방향에 따라 8개지대로 구분하고 10년간(1986년-1995년) 강수자료를 수집 할 수 있는 277개 관측소를 지대에 따라 8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관측소가 위치한 지점의 지형특성을 정량화 하여 월별 강수량의 공간변이를 가장 잘 설명하는 지형변수로 구성된 회귀모형을 각 그룹별로 작성하였다. 이 때 회귀식의 y축 절편값 대신 24개 기상청 표준관측소의 월별 강수량값을 사용하였다. 1 km 해상도수치고도모형을 토대로 북한 전역을 역시 경사방향에 따라 8개지대로 구분하고, 27개 북한 표준관측소 월별 강수량자료로부터 등우량선도를 작성하였다. 이를 근거로 모든 격자점의 기준강수량을 파악하였다. 각 지대별로 남한자료로부터 작성된 회귀모형을 적용하여 월별 및 연간 강수량을 계산하고 이들을 통합하여 북한전역의 강수량 분포를 1 km$\times$1km 해상도로 표출하였다. 이 계산에 따르면 북한지방의 연간 총 강수량은 지역평균이 938mm이며 표준편차는 246mm 인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topography-precipitation relationship derived from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was applied to North Korea where climate stations are few and widely separated. Two hundred and seventy seven rain gauge stations of South Korea were classified into 8 different groups depending on the slope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추정결과의 검증을 위해서는 반드시 북한 지방의 여러 지점에서 장기간에 걸쳐 실측자료를 수집해야 하겠지만 현재로서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번 보고에서는 관측밀도가 조밀한 지역의 지형 기후학적 관계식을 관측밀도가 조방적인 다른 지역에 적용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을 소개하고 그 결과를 참고자료로서 제시한다.
  • 본 연구에서는 남한에서 관찰되는 지형 - 계절강수량 간 정량적 관계를 이미 알고 있는 북한지방의 지형 특성에 적용하여 북한전역의 월별 강수량 분포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추정결과의 검증을 위해서는 반드시 북한 지방의 여러 지점에서 장기간에 걸쳐 실측자료를 수집해야 하겠지만 현재로서는 불가능하다.
  • 이용한 점이 다르다. 이는 예측목적 통계모형의 일반적인 적용규칙을 벗어난 것으로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북한지방 표준관측소로부터 얻은 실즉자료를 토대로 ''추세강수량"을 계산하고 이를 모든 회귀모형의 기본변수로 활용함으로써 모형 계산결과를 북한 지방의 실제 강수량 절대값에 접근시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