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 우울증 환자의 사회적 인지내용은 우울증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치료목표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료방법을 결정하는 초석이 된다. 또한 환자의 증상이 악화될 것인지 또는 재발할 것인지를 예측할 수 있는 좋은 지표이기도 하다. 그러나 우울증의 증상들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와는 달리 아직 우리나라에서 사회적응성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는 아직 소개된 바 없다. 이에 Bosc 등이 개발하였고, 유용성에 대해 이미 인정되어 있는 Social Adaptation Self-rating Scale(SASS)를 한국어로 번안한 척도에 대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방법 : SASS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총 21문항으로 구성된 한국어판 사회적응 자기평가척도를 작성한 후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정상인 291명과 우울증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1) 한국어판 SASS의 신뢰도 검증결과 대상자 전원에 대한 Cronbach $\alpha$계수는 0.790. Spearman-Brown 반분신뢰도는 0.782(Guttman split-half=0.78) 이었다. 정상인 집단의 경우 Cronbach $\alpha$계수는 0.734. Spearman-Brown 반분 신뢰도는 0.619(Guttman split-ha1f=0.7318)였으며, 우울증 집단의 Cronbach $\alpha$계수는 0.8852. Spearman-Brown 반분신뢰도는 0.8852(Guttman split-half=0.8548) 이었다. 정상인 집단에서 45명을 대상으로 2주 간격으로 시행한 검사 재검사 신뢰도 검증결과는 r=0.653(p<0.01)으로서 비교적 시간적 안정성을 보였다. 2) 집단간 SASS 및 Purpsoe in Life(PIL) 검사 점수 차이의 검증에서 정상인집단의 SASS 총점 평균은 $40.12{\pm}5.27$, PIL 총점 평균은 $98.41{\pm}14.02$였고, 우울증 집단은 각각 $30.12{\pm}10.04$, $75.70{\pm}23.53$이였다. 두 점수 모두 우울증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p<0.0l). SASS의 각 문항별 접수는 문항5, 문항 15, 문항 16, 문항 19를 제외하고 모든 항목에서 정상인 집단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p<0.0l). 3) 정상인 집단에서 SASS와 PIL간의 상관관계는 r=0.510으로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l). 우울증 집단의 경우 유병기간의 평균은 $52.17{\pm}83.86$개월로서 SASS, PIL, Beck's Depression Inventry(BDI) 및 우울증 이병기간과의 상관관계에서 SASS와 PIL는 정상인 집단과 마찬가지로 정적인(positive)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r=.671), SASS와 BDI(r= -.609), PIL과 BDI(r= - .621) 척도간의 상관은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부적인(negative) 상관을 나타내었다(p<0.01). 그러나 우울증의 이병기간과 SASS, PIL, BDI 척도간의 상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p>0.05). 4) SASS의 요인분석결과 정상인 집단의 경우 요인 1은 '사회활동'을 나타냈고, 요인 2는 '대인관계에 대한 적극성', 요인 3은 '자신감'을 나타냈다. 요인 4는 '외모의 중요성', 요인 5는 사회적응의 방법으로서 지적인 탐구'를 나타냈으며, 요인 6은 '사회활동에 대한 참여욕구'를 나타냈다. 우울증 집단에서는 요인 1에 SASS의 거의 모든 문항들이 해당되어 요인 1에 의한 단일 구조를 시사하였다. 요인 2는 '취미나 레저활동 욕구'가 관계되었다. 요인 3은 '가족 지향성', 요인 4, 5, 6은 '직업에 대한 흥미', '대인관계 추구', '의사소통 욕구'를 포함하고 있어 우울증 환자들이 사회적응상 가장 핵심적 문제들과 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들로 보아 한국어판 SASS는 우울증의 사회적응성을 평가하기 위해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척도라고 사료된다.
연구목적 : 우울증 환자의 사회적 인지내용은 우울증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치료목표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료방법을 결정하는 초석이 된다. 또한 환자의 증상이 악화될 것인지 또는 재발할 것인지를 예측할 수 있는 좋은 지표이기도 하다. 그러나 우울증의 증상들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와는 달리 아직 우리나라에서 사회적응성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는 아직 소개된 바 없다. 이에 Bosc 등이 개발하였고, 유용성에 대해 이미 인정되어 있는 Social Adaptation Self-rating Scale(SASS)를 한국어로 번안한 척도에 대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방법 : SASS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총 21문항으로 구성된 한국어판 사회적응 자기평가척도를 작성한 후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정상인 291명과 우울증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1) 한국어판 SASS의 신뢰도 검증결과 대상자 전원에 대한 Cronbach $\alpha$계수는 0.790. Spearman-Brown 반분신뢰도는 0.782(Guttman split-half=0.78) 이었다. 정상인 집단의 경우 Cronbach $\alpha$계수는 0.734. Spearman-Brown 반분 신뢰도는 0.619(Guttman split-ha1f=0.7318)였으며, 우울증 집단의 Cronbach $\alpha$계수는 0.8852. Spearman-Brown 반분신뢰도는 0.8852(Guttman split-half=0.8548) 이었다. 정상인 집단에서 45명을 대상으로 2주 간격으로 시행한 검사 재검사 신뢰도 검증결과는 r=0.653(p<0.01)으로서 비교적 시간적 안정성을 보였다. 2) 집단간 SASS 및 Purpsoe in Life(PIL) 검사 점수 차이의 검증에서 정상인집단의 SASS 총점 평균은 $40.12{\pm}5.27$, PIL 총점 평균은 $98.41{\pm}14.02$였고, 우울증 집단은 각각 $30.12{\pm}10.04$, $75.70{\pm}23.53$이였다. 두 점수 모두 우울증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p<0.0l). SASS의 각 문항별 접수는 문항5, 문항 15, 문항 16, 문항 19를 제외하고 모든 항목에서 정상인 집단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p<0.0l). 3) 정상인 집단에서 SASS와 PIL간의 상관관계는 r=0.510으로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l). 우울증 집단의 경우 유병기간의 평균은 $52.17{\pm}83.86$개월로서 SASS, PIL, Beck's Depression Inventry(BDI) 및 우울증 이병기간과의 상관관계에서 SASS와 PIL는 정상인 집단과 마찬가지로 정적인(positive)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r=.671), SASS와 BDI(r= -.609), PIL과 BDI(r= - .621) 척도간의 상관은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부적인(negative) 상관을 나타내었다(p<0.01). 그러나 우울증의 이병기간과 SASS, PIL, BDI 척도간의 상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p>0.05). 4) SASS의 요인분석결과 정상인 집단의 경우 요인 1은 '사회활동'을 나타냈고, 요인 2는 '대인관계에 대한 적극성', 요인 3은 '자신감'을 나타냈다. 요인 4는 '외모의 중요성', 요인 5는 사회적응의 방법으로서 지적인 탐구'를 나타냈으며, 요인 6은 '사회활동에 대한 참여욕구'를 나타냈다. 우울증 집단에서는 요인 1에 SASS의 거의 모든 문항들이 해당되어 요인 1에 의한 단일 구조를 시사하였다. 요인 2는 '취미나 레저활동 욕구'가 관계되었다. 요인 3은 '가족 지향성', 요인 4, 5, 6은 '직업에 대한 흥미', '대인관계 추구', '의사소통 욕구'를 포함하고 있어 우울증 환자들이 사회적응상 가장 핵심적 문제들과 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들로 보아 한국어판 SASS는 우울증의 사회적응성을 평가하기 위해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척도라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stify the reliability and validation on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Adaptation Self-rating Scale(SASS) which was developed from Bose et al. for the evaluation of social motivation and behavior of depressed patients in 1997. Interests for the social world, those of s...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stify the reliability and validation on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Adaptation Self-rating Scale(SASS) which was developed from Bose et al. for the evaluation of social motivation and behavior of depressed patients in 1997. Interests for the social world, those of social functioning, of patients were involved in the addition of new measure of disturbance. And those were distinct from abnormalities of thought, mood and symptoms of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As the previous reports there were several evidences that treatments may be less likely to be effective if the system they act on is dysfunctional. Thus, a better social situation favoured better outcome. As a matter of fact, however, those reports were developed in the course of the evaluation of interpersonal therapy(IPT) and cognitive therapy. Accordingly the conversed question -whether pharmacological therapy with antidepressants can impact on social functioning in addition to addressing the core features of illness- has been addressed. To date, anyhow, it is accepted that enhancement of social functioning may be a therapeutic principle in its own right and illness rarely divorced from social context. In terms of those concepts the introduction of an assessment of social functioning into pharmacotherapeutic studies of depression has been welcomed and might be a potent instrument for evaluating the relative pharmacoeconomic benefits of different treatments. Despite of many scales which were applied for the evaluation of symptoms in the patients with depression, however, the scale for the evaluation of social functiong has not been introduced in Korea yet. Thu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troduce the concepts of social functioning in the patients with depression and to testify the reliability and validation on Korean version of SASS. This Korean version of SASS was submitted to a reliability and validation procedure based on the data from healthy general population survey in 291 individuals and 40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Cronbach a was 0.790 in total subjects group and the correlation of test-retes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y=0.653, p<0.0l). Thus, the Korean version of SASS might be shown to be valid and reliable. The results of multivariate analyses allowed the identification of 3 principle factors(factor 1 = intersts in social activities, factor 2 = ac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factor 3 = selfesteem) in normal group, however, it could be counted as only one factor in the depression group because nearly total items of SASS were involved in factor 1. In the view of these results, the Korean version of SASS may be useful additional tool for the evaluation of social functioning in depress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stify the reliability and validation on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Adaptation Self-rating Scale(SASS) which was developed from Bose et al. for the evaluation of social motivation and behavior of depressed patients in 1997. Interests for the social world, those of social functioning, of patients were involved in the addition of new measure of disturbance. And those were distinct from abnormalities of thought, mood and symptoms of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As the previous reports there were several evidences that treatments may be less likely to be effective if the system they act on is dysfunctional. Thus, a better social situation favoured better outcome. As a matter of fact, however, those reports were developed in the course of the evaluation of interpersonal therapy(IPT) and cognitive therapy. Accordingly the conversed question -whether pharmacological therapy with antidepressants can impact on social functioning in addition to addressing the core features of illness- has been addressed. To date, anyhow, it is accepted that enhancement of social functioning may be a therapeutic principle in its own right and illness rarely divorced from social context. In terms of those concepts the introduction of an assessment of social functioning into pharmacotherapeutic studies of depression has been welcomed and might be a potent instrument for evaluating the relative pharmacoeconomic benefits of different treatments. Despite of many scales which were applied for the evaluation of symptoms in the patients with depression, however, the scale for the evaluation of social functiong has not been introduced in Korea yet. Thu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troduce the concepts of social functioning in the patients with depression and to testify the reliability and validation on Korean version of SASS. This Korean version of SASS was submitted to a reliability and validation procedure based on the data from healthy general population survey in 291 individuals and 40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Cronbach a was 0.790 in total subjects group and the correlation of test-retes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y=0.653, p<0.0l). Thus, the Korean version of SASS might be shown to be valid and reliable. The results of multivariate analyses allowed the identification of 3 principle factors(factor 1 = intersts in social activities, factor 2 = ac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factor 3 = selfesteem) in normal group, however, it could be counted as only one factor in the depression group because nearly total items of SASS were involved in factor 1. In the view of these results, the Korean version of SASS may be useful additional tool for the evaluation of social functioning in depress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