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소 변형에너지 밀도 기준의 모호성과 최대 극소 변형에너지 밀도 기준
Ambiguity of Minimum Strain Energy Density Criterion and Maximum Minimum Strain Energy Density Criterion 원문보기

大韓機械學會論文集.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A, v.25 no.7 = no.190, 2001년, pp.1155 - 1162  

구재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hs minimum strain energy density criterion(SED) often used in the mixed mode problem has the ambiguity of the choice of minimum values. In this paper, as the method to solve the problem of SED, maximum minimum strain energy density criterion is proposed that the crack propagates in the direction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극소값 선택의 문제점 을 해결하는 방안으로Swedlow의 가설에 극소값중 최대값을 갖는 방향으로 균열이 진전한다는 가정 을 덧붙여 새로이 최대 극소 변형에너지 밀도 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최소 변형에너지 밀도 기준의 극소값을 결정하는데, 세 개의 응력장을 모두 사용하여, 최대 극소 변형에너지 밀도 기준을 사례별로 적용하고자 한다.
  • Swedish는 (Tff>0 일 때는 균열이 열려 균열진전이 가능하나, ae<0 일 때에는 균열이 닫혀 균열의 성장이 불가능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의 부호를 고려한, 다음과 같은 최대 극소 변형에너지 밀도기 준(Maximum Smm Criterion; MSED)을 제안코자 한다.
  • 25 인 경우를 적용한 결과, 변형에너지 밀도 계 수의 극소값이 3 개 존재하는데, 그 중에 2 개가 6亳>0 의 조건에 관련되어 있어서 Swedlow⑶의 가 설로는 결정할 수 없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소 변형에너지 밀도 계수(Smm) 선택의 모호성을 해결하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 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조명래, 최용식, 양원호, 1993, '균열의 두께가 변화하는 부재내의 혼합모드(모드 I/II) 응력확대계수,' 대한기계학회논문집, Vol. 17, No. 8, pp. 1875-1882 

  2. 정남용, 장진모, 1997, 'Al/Steel 이종재료의 접착이음에 대한 혼합모드의 파괴기준,' 대한기계학회논문집 A, Vol. 21, No. 8, pp. 1322-1331 

  3. 이억섭, 류황희, 김동준, 1998, '혼합모드하중에서의 피로균열전파 방향과 피로수명 예측,' 대한기계학회논문집 A, Vol. 23, No. 9, pp. 1550-1558 

  4. Sih, G. C., 1974, 'The Strain-Energy-Density Factor Applied to Mixed Mode Crack Problems,' Int. J. of Fracture, vol. 10, No. 3, pp. 305-321 

  5. Sih, G. C., 1973, 'Introductory Chapter : A Special Theory of Crack Propagation,' Mech. of Fracture I( ed. G. C. Sih ), Noordhoof Int. Publishing, Leyden, pp. XXI-XLV 

  6. Swedlow, J. L., 1976, 'Criteria for Growth of the Angled Crack,' Cracks and Fracture, ASTM STP 601, pp. 506-521 

  7. Chang, K. J., 1982, 'A Further Examination on the Application of the Strain Energy Density Theory to the Angled Crack Problem,' J. of Appl. Mech., Vol. 49, pp. 377-382 

  8. Williams, M. L., 1957, ' On the Stress Distribution at the Base of a Stationary Crack,' J. Appl. Mech., Vol. 24, No. 1, pp. 109-114 

  9. Williams, J. G. and Ewing, P. D., 1972, 'Fracture under Complex Stress - The Angled Crack Problems,' Int. J. of Fracture Mech., Vol. 8, No. 4, pp. 441-446 

  10. Muskhelishvili, N. I., 1953, 'Some Basic Problems of the Mathematical Theory of Elasticity,' Noordhoof, Groningen 

  11. Erdogan, F. and Sih, G.C. , 1963, 'On the Crack Extension in Plates under Plane Loading and Transverse Shear,' J. Basic Engng., Trans. ASME Vol. 85, pp. 519-527 

  12. Palaniswamy, K. and Knauss, W. G. ,1976, 'On the Problem of Cack Extension in Brittle Solids under General Loading,' Mech. Today(ed. S. Nemat-Nasser), Pergamon Press, New York, Vol. 4, pp. 87-148 

  13. Tirosh, J. and Elicatz, 1981, 'Mixed-mode Fracture Angle and Fracture Locus of Materials Subjected to Compressive Loading,' Engng. Fracture Mech., Vol. 14, pp. 27-3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