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탄성 불균질 재료의 미시역학거동 (Part II : 탄성계수 및 열팽창계수)
Micromechanical Properties in Elastically Inhomogeneous Materials (Part II : Elastic Moduli and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11 no.5, 2001년, pp.372 - 377  

강창석 (전남대학교 금속공학과) ,  홍성길 (전남대학교 금속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rt I에서 도출된 기초 식을 적용하여 입자 분산 강화형, 섬유 강화형 및 적층형 복합재료의 유효탄성제수 및 열팽창계수를 산정 하였다. 일방향 섬유 강화 복합재료의 경우 섬유의 유효 축비 (aspect ratio)가 고려되었으며, 유효 탄성계수는 다른 연구 결과들과 비교하였다. 입자 분산 강화형 복합재료의 유효 체적탄성률 및 전단 탄성률은 Korner의 표식 및 Hanshin과 Shtrikman의 하한치 (lower bounds)와 일치하고 있다. 일방향 섬유 강화 복합재료에서는 6개, Hanshin과 Rosen의 모델에 나타낸 4개의 독립 탄성계수와 일치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theory developed in Part I has been applied to calculate effective elastic and thermoelastic moduli of particle-strengthened, unidirectionally fiber-reinforced, and layered composites. For the unidirectional fiber composites the effect of fiber aspect ratio is taken into account. The analytical s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탄성 불균질 재료의 미시 역학적 이론적 기초(Part I) 에서 다수의 타원체 개재물이 모상 내에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는 복합재료의 거시적 응력-변형 관계를 해석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art I 의 해석 방법을 이용하여 복합재료의 탄성계수 및 열팽창계수에 관한 결과를 검토하였다.
  • 즉, 탄성적으로 불균질한 요소로 구성된 복합재료의 거시적인 열팽창계수는 각 구성요소의 불균질한 열팽창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각 구성요소의 미시 역학 거동을 고려하여 거시적인 탄성계수와 열팽창계수의 표식을 나타내었다.
  • 우선, 구상 입자를 분산시킨 복합재료, 원형단면의 장섬 유에서 일방향 강화한 복합재 및 두 개의 이상평판을 적충시킨 복합재에 대해서 얻을 수 있는 결과를 나타내고, 더욱이 단 섬유 일 방향 강화재에 대한 섬유의 축비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한편, 이하에 나타낸 표 식에 있어서, E는 영률, μ는 강성률, v는 Poisson비, K는 체적탄성률, k는 평면변형 체적탄성률(k =K+ μ/3), a는 선 팽창계수, f는 강화상의 체적분률이며, 또한 물리량 φ에 대해서 φ,φ', 및 φ"는 각각의 모상, 강화상 및 복합체에 대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가설 설정

  • 2는 일방향 섬유 강화재에 있어서 가장 커다란 강화 효과가 얻어지는 섬유 죽 방향에 주목하고, 그 방향의 영률 #의 섬유 체적률 의존성이 섬유 축비를 바꿈으로 해서 어느 정도 변화하는가를 유리 섬유-에폭시 복합체에 대해서 조사하여 나타낸 것이다. Fig. 2에서의 c/a 및 /는 각각 유리섬유의 축비와 체적률을 나타내고 있으며, 각 구성요소의 탄성률 및 Poisson비는 Eglass=7, 000kg/nim2, Vglass=0.23, Eepoxy =300kg/mm2, eeposy =0.36라 가정하였다. Fig.
  • 종래의 단섬유 강화 복합재료의 영률에 관해서는 Cox7)의 모델이 기초가 되었다. 이 모델에서는 외부 응력에 대해 모상의 웅력 분포는 균일하다고 가정하고 단섬유 축 방향의 응력 분포를 규정하였다. 즉 섬유 축 방향의 탄성계수를 해석할 수 있는 모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Z. Hanshin : Appl, Mech. Rev., 17, 1 (964) 

  2. G. P. Sendeckyj : Composite Materials., (Lawrence J. Broutman & Richard H. Krock, Eds.) Vol. 2, Mechanics of Composite Materials, Academic, New York, 45 (1973) 

  3. Z. Hanshin : Appl. Mechanics of Composite Materials (F. W. Wendt, H. Liebowitz & (1967) 

  4. C. -S. Kang, K. Maeda, K. -J. Wang, K. Wakashima : Acta mater., 46, 1209 (1998) 

  5. C. -S. Kang, B. K. Ahn, K. Wakashima : J. of the Korean Inst. of Met. & Mater., 38, 84 (2000) 

  6. J. D. Eshelby : Proc. Roy. Soc. London, A241, 376 (1957) 

  7. H. L. Cox: Brit. J. Appl. Phys., 3, 72 (1952) 

  8. E. H. Kerner: Proc. Phys, Soc., 69B, 808 (1956) 

  9. Z. Hanshin, S. Shtrikman : J. Mech. Phys. Solids, 11, 127 (1963) 

  10. B. Budiansky : J. Mech. Phys.13, 223(1965) 

  11. R. Hill: J. Mech. Phys. Solids, 13,189(1965) 

  12. Z. Hanshin : J. Appl. Mech., 29E, 143 (1962) 

  13. R. Hill : J. Mech. Phys. Solids, 12, 199 (1964) 

  14. Z. Hanshin : J. Mech. Phys. Solids, 13, 119 (1965) 

  15. Z. Hanshin, B. W. Rosen: J. Appl, Mech., 31, 223, (19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