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두부 외상 환자에서 자기 공명 영상의 T2 강조 영상 (T2 FFE), FLAIR 영상, 확산 강조 영상간의 병변 발견과 병변 명료성의 비교
A Comparison of Lesion Detection and Conspicuity on T2-weighted Images (T2 FFE), FLAIR and Diffusion-weighted Images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대한방사선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v.44 no.6, 2001년, pp.659 - 664  

권은용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이명섭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김명순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홍인수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김영주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외상성 뇌병변에서 T2 강조영상(T2 Fast Field Echo). FLAIR(Fluid 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영상 확산 강조영상의 병변 발견(lesion detection)과 병변 명료성 (lesion conspicuity)을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뇌의 자기 공명 영상을 시행 받은 두부 외상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수상 후 MRI촬영까지의 기간이 7 에서 58일 이었다. T2 FFE 영상, FLAIR영상과 확산 강조영상을 얻었으며 3가지 자기 공명 영상 기법에서 이상 신호 강도를 보이는 축내 병변과 축외 병변의 발견과 명료성을 비교하였다. 결과: 33명 총 108개(축내 병변 86개, 축외 병변 22개)의 병변이 발견되었고 T2 FFE 영상에서는 88개 (81%) FLAIR 영상에서는 91개 (84%) .화산강조영상에서는 57개 (52%) 의 병변이 관찰되었다. 점상 출혈인 경우는 16개의 병변이 T2 FFE 영상에서 발견되었고 FLAIR영상확산 강조영상에 서는 각각 1개의 병변이 발견되었다 . 축외 병변의 경우에는 T2 FFE 영상에서는 16개 (72%) , FLAIR 영상에서는 21개 (95%) , 확산 강조 영상에서는 11개(50%)를 발견했다. 병변의 명료성은 FLAIR영상이 T2 FFE 영상, 확산 강조영상과 비교시 병변 명료성이 높은 예가 42개 병변(75%)였다. 축외 병변인 경우 FLAIR 영상은 T2 FFE 영상. 확산강조영상과 비교시 각 각 11개 (91%)에서 병변 명료성이 높았다 결론: 두부 외상 환자의 진단에서 FLAIR영상은 축내/축외 병변의 발견과 병변 명료성이 다른 영상 기법에 비해 우월함을 보였다. 점상 출혈의 진단은 T2 FFE 영상이 더 유리하였다. 확산 강조 영상은 일부 병변에서 우월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T2 FFE 영상, FLAIR영상과 화산 강 조 영상의 다양한 영상기법은 외상성 뇌병변의 진단에서 상호 보완적 인 역할을 하는 유용한 진단 방법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compare the lesion detectability and conspicuity in traumatic brain injury on T-2 FFE , FLAIR and diffusion weighted imaging (DWI) sequence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hree patients who underwent MR brain imaging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were reviewed. T-2 FFE, FLAIR and diffusi...

Keyword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