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여수연안 낙지주낙 어장의 해황과 어획 변동에 관한 연구 (1) Influence of Sea Condition on Catch Fluctuation of Long Line for Common Octopus, Octopus Variddilis, in the Coastal Waters of Yosu (1)원문보기
낙지 주낙 어장의 환경요인이 어획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7년 1월부터 7월까지 여수연안의 가막만 어장에서 수온, 염분 및 밀도 등과 어획량을 각각 조사하고 이들을 서로 비교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낙지 주낙 어장에서 I~7월에 걸친 수온과 염분 및 현장밀도의 분포범위는 각각 401~23. $6^{\circ}C$, 31.7~34.5$\textperthousand$ 및 $\sigma$$_{t}$ 21.30~27.81였고, 어획량은 이들 세 요인의 값이 각각 17~$20^{\circ}C$, 33.0~33.5$\textperthousand$ 및 $\sigma$$_{t}$ 22.5~24.0 범위일 때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2) 낙지의 조업당 어획량은 10~16마리로서 비교적 낮은 편이며, 월별로는 1~2월에 적고, 3월부터 상승하기 시작하여 5~6월에 가장 높았다.
낙지 주낙 어장의 환경요인이 어획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7년 1월부터 7월까지 여수연안의 가막만 어장에서 수온, 염분 및 밀도 등과 어획량을 각각 조사하고 이들을 서로 비교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낙지 주낙 어장에서 I~7월에 걸친 수온과 염분 및 현장밀도의 분포범위는 각각 401~23. $6^{\circ}C$, 31.7~34.5$\textperthousand$ 및 $\sigma$$_{t}$ 21.30~27.81였고, 어획량은 이들 세 요인의 값이 각각 17~$20^{\circ}C$, 33.0~33.5$\textperthousand$ 및 $\sigma$$_{t}$ 22.5~24.0 범위일 때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2) 낙지의 조업당 어획량은 10~16마리로서 비교적 낮은 편이며, 월별로는 1~2월에 적고, 3월부터 상승하기 시작하여 5~6월에 가장 높았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ea condition on the catch fluctuation of long line for common octopus, octopus variabilis. the oceanographic factors. I .e., the water temperature, the salinity and the density in the coastal waters of Yosu from Jan 11 to Jul. 25 in 1997 and compared with th...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ea condition on the catch fluctuation of long line for common octopus, octopus variabilis. the oceanographic factors. I .e., the water temperature, the salinity and the density in the coastal waters of Yosu from Jan 11 to Jul. 25 in 1997 and compared with the catches of common octopus, octopus variabilis by long line. The results obtained summerized as follows ; 1) The range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density from Jan. to Jul. at the sea area were 4.1∼23.6℃. 31.7∼34.5‰ and 21.30∼27.81. respectively, and the catch of common octopus, octopus variabilis was high respectively at the temperature of 17∼20℃ at the salinity of 33.0∼33.5‰ and at the density of σ/sub t/ 22.5∼24.0. 2) The catch of common octopus. octopus variabilis was lowest from Jan. to Feb. and highest from May to Jun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ea condition on the catch fluctuation of long line for common octopus, octopus variabilis. the oceanographic factors. I .e., the water temperature, the salinity and the density in the coastal waters of Yosu from Jan 11 to Jul. 25 in 1997 and compared with the catches of common octopus, octopus variabilis by long line. The results obtained summerized as follows ; 1) The range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density from Jan. to Jul. at the sea area were 4.1∼23.6℃. 31.7∼34.5‰ and 21.30∼27.81. respectively, and the catch of common octopus, octopus variabilis was high respectively at the temperature of 17∼20℃ at the salinity of 33.0∼33.5‰ and at the density of σ/sub t/ 22.5∼24.0. 2) The catch of common octopus. octopus variabilis was lowest from Jan. to Feb. and highest from May to Jun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지를 주대상으로 하는 어업들 중 어획량이 가장 높고, 여수연안에서 출어 척수가 가장 많은 주낙어업에 대해 어장에서의 해황과 어획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낙지 어획에 영향을 미치리라 생각되어지는 수온, 염분, 밀도 등의 해양물리적 환경요소를 현장에서 직접 조사하였으며, 이들 자료를 어획량과 서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낙지 주낙어장의 어황예측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 저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지를 주대상으로 하는 어업들 중 어획량이 가장 높고, 여수연안에서 출어 척수가 가장 많은 주낙어업에 대해 어장에서의 해황과 어획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낙지 어획에 영향을 미치리라 생각되어지는 수온, 염분, 밀도 등의 해양물리적 환경요소를 현장에서 직접 조사하였으며, 이들 자료를 어획량과 서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낙지 주낙어장의 어황예측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 저 하였다.
제안 방법
낙지 주낙어장의 환경 요인이 어획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7년 1월부터 7월까지 여수연안의 가막만 어장에서 수온, 염분 및 밀도 등과 어획량을 각각 조사하고 이들을 서로 비교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여수연안의 낙지 주낙어업은 대체로 수심이 얕고 바닥이 거의 뻘로 이루어진 가막만과 여자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여수연안의 조업선들은 주로 Fig.l에 표시된 가막만의 A 해역에서 조업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도 이들 해역에 출어하는 조업선에 승선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즉.
즉. 1997년 1월 11일에서 7월 25일까지 조업선에 편승하여 전기했던 환경요소인 수온, 염분, 밀도 등과 어획량을 함께 조사하였다.
먼저, 수온과 염분은 조업 시작 직전에 MC-5 형 수온. 염분계(측정범위 : 수온염 분 5~38%。)를 사용하여, 선체가 정지된 상태에서 측정하였으며, 해수의 밀도는 현장 밀도 (a I) 값으로 환산하여 구하였다.
성능/효과
2) 낙지의 조업당 어획량은 10~16마리로 서 비교적 낮은 편이며, 월별로는 1~2월에 적고, 3월부터 상승하기 시작하여 5~6월에 가장 높았다.
3과 같다. 이것에서 보면, 동계인 1월의 밀도 범위는 26.7이고, 2월에는 1월보다 약간 높아져서 0" 27.11를 보이다가 춘계에 접어들면서 3월에는 at 27.01이었던 것이 날짜가 경과함에 따라서서히 하강하여 4월에 fft 24.83을 보이고, 5월에는 더욱 하강하여 fft 23.55를 나타낸다. 또한, 하계인 6월의 경우에도 하강하는 양상은 계속되어 fft 23.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보면, 수온과 염분의 변화에 의해 밀도가 다소 상승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 동계에는 밀도가 높고, 춘계에 접어들면서 밀도가 차차 하강하는데 이 현상이 하계에도 계속되어 밀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과 같다. 이것에서 보면, 전 조사기간에 걸친 낙지의 단위 노력당 어획량은 10~16마리로서 비교적 적은 편인데, 월별로 보면 1월과 2월 및 7월에는 비교적 낮아 10마리 정도이고, 3월부터 6월까지는 비교적 높아 12~16마리 범위이며, 특히 5월과 6월에 가장 높은 어획을 나타내고 있다.
1) 낙지 주낙어장에서 1~7월에 걸친 수온과 염분 및 현장 밀도의 분포 범위는 각각 4.1-23. 6C, 31.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