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콩 재배방법이 미이라병과 자주무늬병의 발생 및 식물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ltural Practices on the Occurrence of Pod and Stem Blight and Purple Blotch, and on Soybean Growth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7 no.2, 2001년, pp.107 - 111  

오정행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  김동윤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숙성 콩품종을 이용하는 풋콩 재배에서는 콩 미이라병과 자주무늬병에 의한 꼬투리 품질 저하와 종자콩의 확보문제가 큰 장애가 되고 있다. 콩 미이라병은 병든 식물의 잔사물이 중요한 제1차 전염원이며, 식물체에 감염하여도 살아 있는 조직에서는 균사의 생육이 극히 제한적이고, 잠재감염 상태로 포자형성이 거의 없으므로 이러한 병원균의 특성을 이용하는 재배적 방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점적관수는 분무관수에 비하여 무피복 재배에서는 종자감염율을 현저히 감소시켰으나 피복재배에서는 큰차이가 없었다. 피복재배는 콩 미이라병 28.0%, 자주무늬병 29.3%의 방제가를 보였으나 베노밀 방제가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식물체 잔사물 줄기의 78%는 7월초에 병포자가 성숙되어 제1차 전염원으로 작용하며, 당년의 식물체에서 탈락한 노화 떡잎과 염병에서도 7월 중순부터 9월에 걸쳐 충분한 제2차 전염원이 형성되었다 결론적으로, 비닐피복과 점적관수는 콩 수량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어느 정도의 콩 미이라병과 자주무늬병 방제효과가 있으며, 제2차 전염원을 제거하는 포장위생관리의 병행은 방제효과를 더욱 제고시킬 것으로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terioration of pod and seed quality by pod and stem blight and purple blotch is a serious problem in the production of vegetable soybean. Major inoculum sources for the causal pathogens, Phomopsis spp. and Cercospora kikuchii, are soybean straw and debris. Phomopsis spp. have been known to be ei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당년의 병든 식물체에서 탈락한 엽병, 노화된 떡잎 등에서 병자각을 형성하여 제2차 전염원이 되므로 콩 미 이라 병과 자주무늬병의 방제에는 포장위생이 중요하다(Sinclair, 1993; Oh, 1998).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콩 종자병의 전염 특성을 고려하여 풋콩의 채종을 위한 시설재 배시 적절한 비닐 피복과 관수 처리가 이들 종자병의 감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재배 방법에 의한 풋콩 종자병의 방제 가능성을 검정하고자 하였다.
  • 조숙성 콩 품종을 이용하는 풋콩 재배에서는 콩미이라 병과 자주 무늬병에 의한 꼬투리 품질 저하와 종자 콩의 확보문제가 큰 장애가 되고 있다. 콩미이라병은 병든 식물의 잔 사물이 중요한 제1차 전염원이며, 식물체에 감염하여도 살아있는 조직에서는 균사의 생육이 극히 제한적이고, 잠재 감염 상태로 포자 형성이 거의 없으므로 이러한 병원균의 특성을 이용하는 재배적 방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점적 관수는 분무관수에 비하여 무피복 재배에서는 종자감염율을 현저히 감소시켰으나 피복 재배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