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도시지역의 토지이용 적지분석을 위한 지리정보시스템의 이용 - 구미시를 중심으로 - Utiliz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Analyzing Land Use Suitability in a Urban Area - A Case Study of Kumi City -원문보기
본 연구는 도시계획의 중요한 의사결정 중의 하나로서 토지이용계획을 위한 적지분석에 지리정보시스템의 접목을 시도한 것이다. 도 농 통합 이전의 구미시 지역을 대상지역으로 하여 관련 환경인자들과 가중치 등의 분석기준을 결정하고, G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위성영상처리를 통하여 추출한 토지이용/피복도와 NDVI 식생도를 데이터베이스에 포함시켰다. 중첩법을 이용하여 주거, 상업, 공업, 녹지지역의 토지용도별 적지를 등급별로 도출하였다. 연구지역의 4가지 기능공간에 대한 적지분석 결과는 기존 토지이용 및 도시기본계획상 토지이용구상도와 비교되었다. 더 나은 분석을 위해서는 실제적인 개발계획, 지가자료, 토양자료 등이 포함되어야 하며, 토지 이용별 수요추정 자료를 추가한다면 토지이용별 입지 배분 및 분포면적의 신뢰도를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도시계획의 중요한 의사결정 중의 하나로서 토지이용계획을 위한 적지분석에 지리정보시스템의 접목을 시도한 것이다. 도 농 통합 이전의 구미시 지역을 대상지역으로 하여 관련 환경인자들과 가중치 등의 분석기준을 결정하고, G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위성영상처리를 통하여 추출한 토지이용/피복도와 NDVI 식생도를 데이터베이스에 포함시켰다. 중첩법을 이용하여 주거, 상업, 공업, 녹지지역의 토지용도별 적지를 등급별로 도출하였다. 연구지역의 4가지 기능공간에 대한 적지분석 결과는 기존 토지이용 및 도시기본계획상 토지이용구상도와 비교되었다. 더 나은 분석을 위해서는 실제적인 개발계획, 지가자료, 토양자료 등이 포함되어야 하며, 토지 이용별 수요추정 자료를 추가한다면 토지이용별 입지 배분 및 분포면적의 신뢰도를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ddresses the topic of suitability analysis for helping with land use planning, which is one of important decision-making in urban planning, utiliz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overing the Kumi City before integrating with neighbor county, the site suitabilities for land uses, which...
This study addresses the topic of suitability analysis for helping with land use planning, which is one of important decision-making in urban planning, utiliz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overing the Kumi City before integrating with neighbor county, the site suitabilities for land uses, which are categorized into residential, commercial, industrial and green, were analyzed using the overlay method based upon the database constructed for this study. In the process, assessment criteria which include environmental factors and relative weights were determined and also the land use/cover map and NDVI map which were generated through satellite image processing were included in the database. The suitability maps by four function space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grade and compared with the present land use state and the land use concept map of urban master plan. For more accurate analysis, practical developing plan, land price data, soil data should be included. Also if the demand estimation data by each land use had been added, the reliability of location allocation could have been raised.
This study addresses the topic of suitability analysis for helping with land use planning, which is one of important decision-making in urban planning, utiliz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overing the Kumi City before integrating with neighbor county, the site suitabilities for land uses, which are categorized into residential, commercial, industrial and green, were analyzed using the overlay method based upon the database constructed for this study. In the process, assessment criteria which include environmental factors and relative weights were determined and also the land use/cover map and NDVI map which were generated through satellite image processing were included in the database. The suitability maps by four function space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grade and compared with the present land use state and the land use concept map of urban master plan. For more accurate analysis, practical developing plan, land price data, soil data should be included. Also if the demand estimation data by each land use had been added, the reliability of location allocation could have been raise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토지이용계획을 위한 적지분석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의 접목방법을 고찰하고, 실제 대상지역의 토지용도별 적지분석에적용하여 이의 활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제안 방법
재배열한다. 그 다음에 토지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곱한 후 각 인자별 주제도 파일을 만들고, 각각의 주제도를 중첩하여 합산하고 종합된 결과를 여러 등급으로 분류하여 적합성 분석 도를 작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적지분석을 수행한 선행연구에서 부여한 가중치를 종합하여 그 비중을 백분율로 나타낸 다음, 종합하여 평균값을 적용하였다.(강성원, 1993; 오정학, 1997; 박종화, 1996; 박재홍, 1997)
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에 있어서는 도로로부터의 접근성이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었고, 지질과 토양에서가중치를 낮게 부여하여 자연환경요소보다는인문, 사회환경적 요소가 높게 부각된 반면, 녹지지역에 있어서는 경사도와 표고 등의 자연환경적 요소에 중요도를 높게 부여하여 분석기준을 설정하였다.
대상지역의 환경인자에 관련된 정보자료를 수집하고 입력하여 각각의 자료 레이어(layer) 를 구축하였다. 사례 대상지의 자연물리적 요인조사는 국립지리원에서 발행한 축척 1/5, 000 수치지형도를 조사자료의 기준으로 사용하였고, 분석에 필요한 각각의 레이어를 수치 지도에서 추출하여 이용하였다.
사례 대상지의 자연물리적 요인조사는 국립지리원에서 발행한 축척 1/5, 000 수치지형도를 조사자료의 기준으로 사용하였고, 분석에 필요한 각각의 레이어를 수치 지도에서 추출하여 이용하였다. 그 외의 주제 도로는 한국자원연구소 발행 1/50, 000 지질도, 그리고 위성영상자료로부터 처리한 토지이용 분류 도와 식생활력 분석도를 사용하였다. 사례연구지역으로 도농통합 이전의 구미시 행정구역에 대하여 주거, 상업, 공업, 녹지지역으로 구분하여 지리정보시스템을 도입하여 토지이용별 적지 분석을 행하였다.
그 외의 주제 도로는 한국자원연구소 발행 1/50, 000 지질도, 그리고 위성영상자료로부터 처리한 토지이용 분류 도와 식생활력 분석도를 사용하였다. 사례연구지역으로 도농통합 이전의 구미시 행정구역에 대하여 주거, 상업, 공업, 녹지지역으로 구분하여 지리정보시스템을 도입하여 토지이용별 적지 분석을 행하였다.
GIS 구축을 위한 응용 도구로서 사용된 소프트웨어로는 MicroStation을 기반으로 하는 Intergraph사의 MGE를 기본으로 하였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ORACLE V7.0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위성영상의 자료처리는 PCI EASI/PACE를 사용하였다.
0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위성영상의 자료처리는 PCI EASI/PACE를 사용하였다.
9 월)의 VNIR의 3개 밴드이며, 공간해상력은 18mx18m이다. 위성영상의 기하보정은 영상대 지도(image to map)의 방법을 사용하였고, 분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위성영상의 수역권을 밴드 3과 밴드 1을 이용한 밴드간 연산을 통해 분리 후 제거하였다. 분류항목은 도시지역, 삼림, 초지, 농경지, 나대지로 구분하여 그림 2와 같이 감독분류 방법으로 행하였다(이진덕 등, 2000).
도로접근성 분석은 국도와 시도(광로, 대로, 중로급)로부터 125m 이내 지역을 1등급, 100~ 250m지역을 2등급, 250~375m의 지역을 3등급, 그 이상의 범위는 4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소로의 경우 50m 이내 1등급, 50~100m지역 2등급, 100~150m지역을 3등급, 150m를 벗어나는 지역은 4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수계접근성 분석에서는 낙동강 본류와 1/5, 000 지형도상 실폭하천으로부터 100m 이내 지역은 1등급, 100~200m 2등급, 200~300m의 범위는 3등급, 300m를 벗어나는 지역은 4등급으로 구분하였으며, 실개천과 같은 세류로부터 50m 이내 지역은 2등급, 50~100m지역은 3등급, 그 이상의 지역은 4등급으로 구분하였다.(그림 5(b))
1. 관련 환경자료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종합, 중첩하는 방식으로 주거용도, 상업용도, 공업용도, 녹지용도별 4가지기능공간에 대한 적지를 도출하였으며, 도시기본계획상 토지이용구상도 및 기존의 토지이용과 비교하였다. GIS에 의한적지분석 자료는 향후 도시계획의 기본방향 수립 등 의사결정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상 데이터
구축하였다. 사례 대상지의 자연물리적 요인조사는 국립지리원에서 발행한 축척 1/5, 000 수치지형도를 조사자료의 기준으로 사용하였고, 분석에 필요한 각각의 레이어를 수치 지도에서 추출하여 이용하였다. 그 외의 주제 도로는 한국자원연구소 발행 1/50, 000 지질도, 그리고 위성영상자료로부터 처리한 토지이용 분류 도와 식생활력 분석도를 사용하였다.
토지피복/토지이용 분류도를 작성하기 위해사용된 자료는 JERS-1 OPS 위성영상(1997. 9 월)의 VNIR의 3개 밴드이며, 공간해상력은 18mx18m이다. 위성영상의 기하보정은 영상대 지도(image to map)의 방법을 사용하였고, 분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위성영상의 수역권을 밴드 3과 밴드 1을 이용한 밴드간 연산을 통해 분리 후 제거하였다.
성능/효과
토지이용별 적합성 분석의 결과, 주거지역은주로 도로변과 경사가 낮고 기존의 토지이용이택지인 지역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낙동강수변 및 구미천 등의 수변에 연한 지역에서 또한 높은 등급으로 나타난 반면, 표고가 높고 도로로부터 먼 산지는 부적지로 분석되었다.
상업지역은 주거지역과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었으며, 도로변과 기존 토지이용이 시가지인 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다만 토지이용이 임야이거나 접근성이 떨어지는 지역은 주거지역보다 부적지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업지역의 경우 역시 주거.상업지역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어 도로로부터 접근성이낮거나 표고가 높은 지역은 부적지로 나타났으며, 기존 1, 2, 3 공단 지역과 대부분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서북부의 원호, 봉곡.
후속연구
상업.공업 적지로도 양호하여 토지이용상 혼란이 초래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이 많으므로 장래 도시화할 것인지, 농업 및녹지목적으로 보존할 것인지에 대한 분석을통하여 효율적인 토지이용에 신중을 기해야할 것이다.
최적지의 종합 분석은 각 토지이용별 적지선정 과정에서 생성된 각 용도별 등급을 고려하여 중첩하여 행하되 토지이용이 상충되는부분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토지이용별 소요면적 자료와 개발의 기본방향을 검토하여 용도지역간의 마찰을 최소한으로 유도하여 결정해야할 것이다.
토지이용별 수요추정에 따른 소요 면적자료를 처리과정에 추가, 분석할 수 있다면 더욱 정확하고 유효한 용도별 입지배분이 가능할 것이고, 여기에 장래 도시개발의 기본방향 등을 반영한다면 토지이용 적지가 상충되는부분을 효율적으로 배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관련 환경자료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종합, 중첩하는 방식으로 주거용도, 상업용도, 공업용도, 녹지용도별 4가지기능공간에 대한 적지를 도출하였으며, 도시기본계획상 토지이용구상도 및 기존의 토지이용과 비교하였다. GIS에 의한적지분석 자료는 향후 도시계획의 기본방향 수립 등 의사결정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본 연구의 문제점으로 지가자료, 토양자료 등이 누락되었고 분석모형화 과정에서 평가인자 설정 및 상대적 중요도의 객관화, 그리고 종합화 과정의 합리화를 제고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토지 이용 별수요 추정 데이터가 처리과정에 추가, 분석될 수 있다면 더욱 유효한 입지 배분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의 문제점으로 지가자료, 토양자료 등이 누락되었고 분석모형화 과정에서 평가인자 설정 및 상대적 중요도의 객관화, 그리고 종합화 과정의 합리화를 제고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토지 이용 별수요 추정 데이터가 처리과정에 추가, 분석될 수 있다면 더욱 유효한 입지 배분이 가능할 것이다.
3. 최적지의 종합분석은 각 토지이용별 적지선정 과정에서 생성된 각 용도별 등급을 고려하여 중첩하여 행하여야 할 것이되, 토지이용이 상충되는 부분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토지이용별 소요 면적자료와 개발의 기본방향을 고려하여 용도지역 간의 마찰을 최소한으로 유도하여 결정해야 할 것이다. 里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