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식도역류는 영아들에 있어서 흔하게 있다고 알려져 있고 특히 미숙아들에게 더 흔히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아직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목적: 건강하게 자라고 있는 미숙아들에게 위식도역류의 진단에 가장 예민하다고 알려져 있는 24시간 식도 pH 검사를 통하여 그 빈도 및 연관 인자를 찾고자 하였다. 방법: 특이 증상 없이 건강하게 자라고 있는 미숙아 21명(평균 재태기간: $30+{\pm}2+0$주, 출생시의 평균 체중은 $1,468{\pm}329$ g, 검사 당시의 평균 나이는 $29{\pm}8$일, 수태 후 나이(Postconceptional age: 재태기간+출생 후 나이)는 $34+6{\pm}1+4$주, 체중은 $1,750{\pm}329$ g, 남아 : 여아=15:6)을 대상으로 휴대용 레코더가 연결되어 있는 실리콘 재질의 마이크로 소식자를 Stobel의 공식($0.252{\times}$키+5 (cm))에 따라 코로 넣어 그 거리만큼 식도내강에 위치시킨 후 거리를 교정하여 24시간 동안 식도 pH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네 가지 파라미터(number of acid reflux, number of long acid reflux (5 min), longest acid reflux minutes, RI)를 제시하였고 전체 대상환아의 57%에서 유의한 위식도역류가 있음을 보였다. 위식도역류와 number of acid reflux, RI의 두 파라미터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 두 파라미터와 Reflux index of the postprandial 120 min간에도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식도역류가 있는 환아들을 출생체중, 재태기간, 검사 당시의 나이, 수태 후 나이, 체중, 성별 및 테오필린(theophylline) 투약 여부에 따라 각각 구분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고 모두 통계학적으로 큰 차이는 없었다. 소식자의 거리는 Stobel의 공식에 의한 거리와 실제길이 사이에 차이가 있어 우리의 미숙아의 경우에는 $0.252{\times}$키+3.7 (cm)로 적용시킬 수 있었다. 결론: 위와 같은 결과로 미숙아들에게 있어서 무증상적, 유의한 위식도역류가 57%의 높은 빈도로 나타났고, 위식도역류증의 진단에 가장 중요한 파라미터는 number of acid reflux, RI와 Reflux index of the postprandial 120 min로 나타났다. 출생체중, 재태기간, 검사 당시의 나이, 수태 후 나이, 체중 및 성별, 테오필린 투약여부 등과 위식도역류와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또한 1세 이하의 영아에게 소식자의 위치를 정하는데 사용되는 Strobel의 공식을 본 연구대상 미숙아들에게 적용해본 결과 소식자의 위치가 $0.252{\times}$키+3.7(cm)로 나타났다.
위식도역류는 영아들에 있어서 흔하게 있다고 알려져 있고 특히 미숙아들에게 더 흔히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아직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목적: 건강하게 자라고 있는 미숙아들에게 위식도역류의 진단에 가장 예민하다고 알려져 있는 24시간 식도 pH 검사를 통하여 그 빈도 및 연관 인자를 찾고자 하였다. 방법: 특이 증상 없이 건강하게 자라고 있는 미숙아 21명(평균 재태기간: $30+{\pm}2+0$주, 출생시의 평균 체중은 $1,468{\pm}329$ g, 검사 당시의 평균 나이는 $29{\pm}8$일, 수태 후 나이(Postconceptional age: 재태기간+출생 후 나이)는 $34+6{\pm}1+4$주, 체중은 $1,750{\pm}329$ g, 남아 : 여아=15:6)을 대상으로 휴대용 레코더가 연결되어 있는 실리콘 재질의 마이크로 소식자를 Stobel의 공식($0.252{\times}$키+5 (cm))에 따라 코로 넣어 그 거리만큼 식도내강에 위치시킨 후 거리를 교정하여 24시간 동안 식도 pH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네 가지 파라미터(number of acid reflux, number of long acid reflux (5 min), longest acid reflux minutes, RI)를 제시하였고 전체 대상환아의 57%에서 유의한 위식도역류가 있음을 보였다. 위식도역류와 number of acid reflux, RI의 두 파라미터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 두 파라미터와 Reflux index of the postprandial 120 min간에도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식도역류가 있는 환아들을 출생체중, 재태기간, 검사 당시의 나이, 수태 후 나이, 체중, 성별 및 테오필린(theophylline) 투약 여부에 따라 각각 구분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고 모두 통계학적으로 큰 차이는 없었다. 소식자의 거리는 Stobel의 공식에 의한 거리와 실제길이 사이에 차이가 있어 우리의 미숙아의 경우에는 $0.252{\times}$키+3.7 (cm)로 적용시킬 수 있었다. 결론: 위와 같은 결과로 미숙아들에게 있어서 무증상적, 유의한 위식도역류가 57%의 높은 빈도로 나타났고, 위식도역류증의 진단에 가장 중요한 파라미터는 number of acid reflux, RI와 Reflux index of the postprandial 120 min로 나타났다. 출생체중, 재태기간, 검사 당시의 나이, 수태 후 나이, 체중 및 성별, 테오필린 투약여부 등과 위식도역류와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또한 1세 이하의 영아에게 소식자의 위치를 정하는데 사용되는 Strobel의 공식을 본 연구대상 미숙아들에게 적용해본 결과 소식자의 위치가 $0.252{\times}$키+3.7(cm)로 나타났다.
Purpose: Gastroesophageal reflux (GER) has been found to be the causative factors of apnea, stridor, feeding intolerance, poor weight gain, and sudden infants death syndrome (SIDS) in infants. GER is a well-described in infants and children, but only scant mention of the premature infants with GER c...
Purpose: Gastroesophageal reflux (GER) has been found to be the causative factors of apnea, stridor, feeding intolerance, poor weight gain, and sudden infants death syndrome (SIDS) in infants. GER is a well-described in infants and children, but only scant mention of the premature infants with GER can be found in the literature. Methods: Esophageal pH was measured during 24 hour in 21 healthy preterm infants, using a silicone microelectrode with an external reference electrode connected to a portable recorder.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29{\pm}8$ days, mean gestational age was $30^{+5}{\pm}2^{+0}$ weeks, mean birth weight was $1,468{\pm}329$ g, mean postconceptional age was $34^{+6}{\pm}1^{+4}$ weeks and mean weight was $1,750{\pm}329$ g. We evaluated the following reflux parameters; number of acid reflux, number of long acid reflux, longest acid reflux minutes, and reflux index. Results: Pathologic GER was detected in 12 (57%) subjects and most interesting parameters are reflux index and number of episodes with a pH<4 during 24 hour (high correlation with postprandial reflux index). Reflux was not correlated to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age, postconceptional age, weight, sex and medication of the theophylline. Conclusion: Gastroesophageal reflux is common in preterm infants, but it is usually not apparent, even with severe reflux.
Purpose: Gastroesophageal reflux (GER) has been found to be the causative factors of apnea, stridor, feeding intolerance, poor weight gain, and sudden infants death syndrome (SIDS) in infants. GER is a well-described in infants and children, but only scant mention of the premature infants with GER can be found in the literature. Methods: Esophageal pH was measured during 24 hour in 21 healthy preterm infants, using a silicone microelectrode with an external reference electrode connected to a portable recorder.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29{\pm}8$ days, mean gestational age was $30^{+5}{\pm}2^{+0}$ weeks, mean birth weight was $1,468{\pm}329$ g, mean postconceptional age was $34^{+6}{\pm}1^{+4}$ weeks and mean weight was $1,750{\pm}329$ g. We evaluated the following reflux parameters; number of acid reflux, number of long acid reflux, longest acid reflux minutes, and reflux index. Results: Pathologic GER was detected in 12 (57%) subjects and most interesting parameters are reflux index and number of episodes with a pH<4 during 24 hour (high correlation with postprandial reflux index). Reflux was not correlated to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age, postconceptional age, weight, sex and medication of the theophylline. Conclusion: Gastroesophageal reflux is common in preterm infants, but it is usually not apparent, even with severe reflux.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에서는 호흡부전증, 심장질환, 경정맥영양법, 미숙아 무호흡증 등 이전의 문제가 해결되고 잘 자라고 있는 21명의 미숙아들에게 하부식도 24시간 산도 검사를 시행하여 건강한 미숙아들의 위식도역류의 발생빈도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건강하게 자라고 있는 미숙아들에게 위식도역류의 진단에 가장 예민하다고 알려져 있는 24시간 식도 pH 검사를 통하여 그 빈도 및 연관 인자를 찾고자 하였다.
제안 방법
레코더가 연결되어 있는 실리콘 재질의 pH 소식자(Zinetics 24 ME Multi-Use External Reference pH Catheter)를 코로 넣어 식도 내강 내에 위치시켰다. 그 거리는 큰 영아들의 경우에는 식도 X선 투시검사(fluoroscopy)를 시행하여 횡경막 위 3번째 척추의 몸부분에 소식자(probe)의 끝부분이 위치하면 하부식도 괄약근의 상방 5 cm가 되는데, 1세 이내의 영아의 경우에 적용하는 Stobel의 공식에 의하여 (0.252×키+5 (cm))7∼9)로 계산하여 처음에는 그 길이만큼 넣고 그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방사선촬영을 하였으며 횡경막 위 3번째 척추의 몸 부분에 해당되는 곳에 고정하였다. 이 과정이 끝난 후 검사를 시작하였고 총 24시간 동안 정보가 저장되었다.
이 과정이 끝난 후 검사를 시작하였고 총 24시간 동안 정보가 저장되었다. 환자의 간호 및 수유, 처치 등은 모두 이전과 동일하게 시행하였고 수유방법, 수유량, 환아의 체위 및 특별 사항을 기록하였다. 식도의 산도는 Esophogram TM Reflux Analysis module로 기록 분석되었다.
. 24시간 동안 저장된 정보로 number of acid reflux, number of long acid reflux (5 min), longest acid reflux minutes, RI (reflux index of total 24 hours)의 4파라미터를 분석하여, RI가 10 이하인 경우 유의한(pathologic) 위식도역류가 없다고 하였고 10을 초과하는 경우 유의한 위식도역류가 있다고 정의하였다10,11). 이외 Reflux index of the postprandial 120 min를 구하여 다른 파라미터와 비교하여 보았다.
24시간 동안 저장된 정보로 number of acid reflux, number of long acid reflux (5 min), longest acid reflux minutes, RI (reflux index of total 24 hours)의 4파라미터를 분석하여, RI가 10 이하인 경우 유의한(pathologic) 위식도역류가 없다고 하였고 10을 초과하는 경우 유의한 위식도역류가 있다고 정의하였다10,11). 이외 Reflux index of the postprandial 120 min를 구하여 다른 파라미터와 비교하여 보았다. 그리고 대상 환아를 출생체중, 재태기간, 검사 당시의 나이, 수태 후 나이, 체중, 성별 및 테오필린 투약 여부에 따라 각각 구분하여 이에 따른 위식도역류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외 Reflux index of the postprandial 120 min를 구하여 다른 파라미터와 비교하여 보았다. 그리고 대상 환아를 출생체중, 재태기간, 검사 당시의 나이, 수태 후 나이, 체중, 성별 및 테오필린 투약 여부에 따라 각각 구분하여 이에 따른 위식도역류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특이 증상 없이 건강하게 자라고 있는 미숙아 21명(평균 재태기간: 30+±2+0주, 출생시의 평균 체중은 1,468±329 g, 검사 당시의 평균 나이는 29±8일, 수태 후 나이(Postconceptional age: 재태기간+출생 후 나이)는 34+6±1+4주, 체중은 1,750±329 g, 남아:여아=15:6)을 대상으로 휴대용 레코더가 연결되어 있는 실리콘 재질의 마이크로 소식자를 Stobel의 공식(0.252×키+5 (cm))에 따라 코로 넣어 그 거리만큼 식도내강에 위치시킨 후 거리를 교정하여 24시간 동안 식도 pH 검사를 시행하였다.
대상 데이터
2000년 1월부터 2001년 5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하여 치료중인 미숙아 중 건강하게 자라고 있는 2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남아가 15명, 여아가 6명이었다. 평균 재태기간(GA: Gestational age)은 30+5±2+0주, 출생시의 평균 체중은 1,468±329 g, 검사 당시의 평균 나이는 29±8일, 수태 후 나이(Postconceptional age: 재태기간+출생 후 나이)는 34+6±1+4주였으며 체중은 1,750±329 g이었다.
평균 재태기간(GA: Gestational age)은 30+5±2+0주, 출생시의 평균 체중은 1,468±329 g, 검사 당시의 평균 나이는 29±8일, 수태 후 나이(Postconceptional age: 재태기간+출생 후 나이)는 34+6±1+4주였으며 체중은 1,750±329 g이었다. 대상 환아 21명의 미숙아 중 15명에서 테오필린(theophylline)을 투약하고 있었다(Table 1).
데이터처리
측정치는 평균치±표준편차로 표시하였고 통계는 Student, s t-test와 Chi-square analysis, ANOVA, 상관분석을 시행하여 P value <0.05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Correlation coefficient: nonparametric test. A coefficient of 1 indicates that data are identical
성능/효과
2000년 1월부터 2001년 5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하여 치료중인 미숙아 중 건강하게 자라고 있는 2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남아가 15명, 여아가 6명이었다. 평균 재태기간(GA: Gestational age)은 30+5±2+0주, 출생시의 평균 체중은 1,468±329 g, 검사 당시의 평균 나이는 29±8일, 수태 후 나이(Postconceptional age: 재태기간+출생 후 나이)는 34+6±1+4주였으며 체중은 1,750±329 g이었다. 대상 환아 21명의 미숙아 중 15명에서 테오필린(theophylline)을 투약하고 있었다(Table 1).
21명의 환아 중 12명(57%)의 환아에서 유의한 위식도역류증이 있었다. 이 군의 평균재태기간은 31+1±2+0주, 평균출생체중은 1,666±474 g이었으며 검사 당시의 평균 체중, 평균나이 및 수태 후 나이는 각각 1,870±336 g, 27±8일, 35+0±1+3주였고 검사 당시 테오필린을 투약받고 있던 환자는 12명 중 8명(67%)이었다(Table 3).
위 4 파라미터 중에 RI와 number of acid reflux와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게 나타난 반면(0.99), RI와 number of acid reflux, number of long acid reflux (5 min)와의 상관관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Table 7).
대상환아들에 있어서 긴 재태기간, 많은 체중(출생체중, 검사 당시 체중), 적은 검사 당시의 나이, 테오필린 투약하는 군에서 상대적으로 유의한 위식도역류증이 있음을 보였고 수태 후 나이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였지만 이들 모두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05)(Table 4, 5, 8∼12).
Strobel의 공식(0.252×키+5 (cm))에 의한 길이만큼 환아에게 삽입한 후 방사선촬영을 시행하여 정확한 길이를 측정한 결과 평균 +1.3±0.6 (0.2∼3) cm의 차이를 보여 계산식에 의한 길이가 실제 길이보다 더 길었다(Fig. 2). 이 차이와 위식도역류와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p>0.
그 기전을 고려하여 보면 미숙아에서 위산의 역류에 의하여 나타나는 위식도역류는 출생직후보다는 점점 그 빈도가 증가하여 생후 4주 정도 경과한 뒤부터 그 빈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겠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생후 28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고 통계적인 유의성을 얻지는 못했지만 생후 28일 이후에 비해서 이전에 유의한 위식도역류가 많이 나타남을 보였다.
X선 투시검사를 통한 접근은 호흡과 관련되어 소식자의 끝이 움직이기 때문에 호흡에 따라 횡경막 위 3번째 척추의 몸통에 그 끝을 위치시키며, 직접 눈으로 보면서 행하기 때문에 정확한 방법이 된다. 미숙아의 경우에는 정확한 기준이 없어 본 연구에서는 1세 이하의 영아에서 사용되는 방법인 Strobel의 공식을 이용했고 방사선촬영을 통하여 그 정확한 위치를 확인한 결과 Strobel의 공식에 의한 길이가 실제 길이보다 평균 1.3 cm 정도 길었다. 이 차이는 미숙아와 만삭아 또는 동서양간 인종의 해부학적 차이 때문이라고 여겨지며 이로서 이 방정식을 우리의 미숙아에서 0.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대상이 제한적으로 수가 적었지만 미숙아들이 그와 관련된 증상이 없을지라도 위식도역류의 빈도가 매우 높으며 출생체중, 재태기간, 검사 당시의 나이, 수태 후 나이, 체중 및 성별, 테오필린 투약여부 등과 위식도역류와 통계적으로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테오필린은 위식도역류의 빈도를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큰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역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대상이 제한적으로 수가 적었지만 미숙아들이 그와 관련된 증상이 없을지라도 위식도역류의 빈도가 매우 높으며 출생체중, 재태기간, 검사 당시의 나이, 수태 후 나이, 체중 및 성별, 테오필린 투약여부 등과 위식도역류와 통계적으로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테오필린은 위식도역류의 빈도를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큰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역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네 가지 파라미터(number of acid reflux, number of long acid reflux (5 min), longest acid reflux minutes, RI)를 제시하였고 전체 대상환아의 57%에서 유의한 위식도역류가 있음을 보였다. 위식도역류와 number of acid reflux, RI의 두 파라미터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 두 파라미터와 Reflux index of the postprandial 120 min간에도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네 가지 파라미터(number of acid reflux, number of long acid reflux (5 min), longest acid reflux minutes, RI)를 제시하였고 전체 대상환아의 57%에서 유의한 위식도역류가 있음을 보였다. 위식도역류와 number of acid reflux, RI의 두 파라미터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 두 파라미터와 Reflux index of the postprandial 120 min간에도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식도역류가 있는 환아들을 출생체중, 재태기간, 검사 당시의 나이, 수태 후 나이, 체중, 성별 및 테오필린(theophylline) 투약 여부에 따라 각각 구분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고 모두 통계학적으로 큰 차이는 없었다.
위와 같은 결과로 미숙아들에게 있어서 무증상적, 유의한 위식도역류가 57%의 높은 빈도로 나타났고, 위식도역류증의 진단에 가장 중요한 파라미터는 number of acid reflux, RI와 Reflux index of the postprandial 120 min로 나타났다. 출생체중, 재태기간, 검사 당시의 나이, 수태 후 나이, 체중 및 성별, 테오필린 투약여부 등과 위식도역류와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위와 같은 결과로 미숙아들에게 있어서 무증상적, 유의한 위식도역류가 57%의 높은 빈도로 나타났고, 위식도역류증의 진단에 가장 중요한 파라미터는 number of acid reflux, RI와 Reflux index of the postprandial 120 min로 나타났다. 출생체중, 재태기간, 검사 당시의 나이, 수태 후 나이, 체중 및 성별, 테오필린 투약여부 등과 위식도역류와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또한 1세 이하의 영아에게 소식자의 위치를 정하는데 사용되는 Strobel의 공식을 본 연구대상 미숙아들에게 적용해본 결과 소식자의 위치가 0.
출생체중, 재태기간, 검사 당시의 나이, 수태 후 나이, 체중 및 성별, 테오필린 투약여부 등과 위식도역류와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또한 1세 이하의 영아에게 소식자의 위치를 정하는데 사용되는 Strobel의 공식을 본 연구대상 미숙아들에게 적용해본 결과 소식자의 위치가 0.252×키+3.7(cm)로 나타났다.
후속연구
7(cm)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겠다. 하지만 신생아기 이후 1세 미만인 영아에도 이러한 공식이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더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증상이 없는 위식도역류증은 대부분 생리적인 것으로 특별한 치료 없이 고형식을 먹고 직립자세를 취하면서 점점 호전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집중적인 치료를 행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아이가 성장하면서 반복적인 흡인성 폐렴, 성장부진 등이 연관되어 나타날 수 있고 특히 미숙아의 경우 호흡곤란증후군에 따른 기관지폐이형성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추적관찰을 요한다 하겠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