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에서 영양지원팀 활동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Nutritional Support Team for Preterm Infant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원문보기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v.12 no.1, 2009년, pp.39 - 45  

양혜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최창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김병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서정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최수안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약제부) ,  김소연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영양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영양지원팀(nutritional support team, NST)은 영양부족이 위험성이 있는 환자에게 영양을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운영된다. 미숙아는 소화, 흡수의 미숙, 비축된 영양의 부족, 요구량의 증가, 다양한 질환에의 이환으로 인하여 영양 불균형의 위험성이 높으며 경구영양이 완전히 진행되기까지는 총정맥영양(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에 의존하므로 적극적인 영양지원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NST 활동이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하여 TPN을 투여 받는 미숙아들의 임상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함으로써 NST의 임상적 의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3년 7월에서 2006년 7월까지 분당서울대 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하여 TPN을 시행 받은 미숙아 48명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대상 환아들을 NST 활동 여부에 따라 각각 NST 설립 이전 시기인 2003년 7월에서 2005년 2월까지 입원한 미숙아군과 NST 활동 시기인 2005년 3월에서 2006년 7월 사이에 입원한 미숙아군으로 나누어 각 군에서의 임상 지표들을 비교분석하여 NST 활동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을 위해 Mann-Whitney 검정과 Fisher's exact test를 적용하였고, pvalue 0.05 미만을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결 과: 대상 환아 48명(남아 27명, 여아 21명)의 재태기간은 평균 $28^{+1}$주(범위: 25주~$32^{+6}$주), 출생체중은 평균 1,008.5${\pm}$242.5 g (범위: 520~1,490 g), 재원기간은 평균 74${\pm}$40일(범위: 26~274일)이었다. 영양사, 약사 또는 NST가 환아의 TPN에 개입하기까지의 기간이 NST 활동 전에는 14.8${\pm}$21.0일 소요되었으나 NST 활동 이후 0.5${\pm}$2.0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0). TPN 투여기간은 NST 활동 전의 41.5${\pm}$26.2일에서 NST 활동 후에는 20.5${\pm}$16.6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TPN을 통해 투여된 칼로리는 NST 활동 전후로 각각 88.1${\pm}$19.0 kcal/kg/day와 98.8${\pm}$8.2 kcal/kg/day로서 유의하게 상승하였고(p=0.016), 단백 투여량은 각각 2.74${\pm}$0.50 g/kg/day와 3.36 g/kg${\pm}$0.34 g/kg/day (p=0.000), 지방 투여량은 각각 2.53${\pm}$0.86 g/kg/day와 3.40 g/kg${\pm}$0.52 g/kg/day로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환아들의 금식기간이 NST 활동 전후 각각 10.5${\pm}$11.3일과 5.9${\pm}$7.3일로서 NST 활동 시작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17), 환자들이 완전 경장영양으로 진행하기까지 소요된 기간도 각각 44.7${\pm}$26.1일과 24.0${\pm}$17.6일로 NST 활동 후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p=0.001). 항생제 투여기간도 NST 활동 전의 34.8${\pm}$30.8일에서 NST 활동과 더불어 15.6${\pm}$15.2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7). 결 론: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에게 있어 NST 활동에 의한 적극적인 영양지원은 적절한 영양을 공급하여 영양상태를 개선하는 측면과 더불어 임상적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으므로 미숙아의 영양지원에 있어 NST 활동이 갖는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Preterm infants are very susceptible to malnutrition because of a lack of storage of nutrients, immature digestion and metabolism, and accompanying diseases associated with prematur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nutritional support by the pediatric nutritio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pNST 활동이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하여 TPN을 투여 받는 미숙아들의 임상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함으로써 pNST의 임상적 의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pNST 활동이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하여 TPN을 투여 받는 미숙아들의 임상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함으로써 pNST의 임상적 의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재태 연령 34주 미만, 출생체중 1,500 g 미만의 미숙아 48명을 대상으로 하여, pNST 활동이 미숙아에 대한 영양지원 및 임상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지원팀은 어떤 목적으로 운영되는가? 목 적: 영양지원팀(nutritional support team, NST)은 영양부족이 위험성이 있는 환자에게 영양을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운영된다. 미숙아는 소화, 흡수의 미숙, 비축된 영양의 부족, 요구량의 증가, 다양한 질환에의 이환으로 인하여 영양 불균형의 위험성이 높으며 경구영양이 완전히 진행되기까지는 총정맥영양(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에 의존하므로 적극적인 영양지원을 필요로 한다.
영양부족은 왜 발생하는가? 영양부족이란 영양소의 섭취가 생리적 요구량에 비해 부족하여 대사 및 기능의 변화가 초래되고 체구성 불균형이 초래된 상태로서5), 기저질환이나 연령과 상관없이 낮은 영양 공급량과 높은 영양 요구량의 불균형의 결과로서 발생한다.
실제 임상에서는 영양지원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데 이 장애요인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그런데 실제 임상에서는 영양평가나 영양부족 환자에 대한 영양지원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고되었다8). 이와 같이 병원 내 영양지원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 하는 장애요인으로서 영양지원 업무에 대한 책임소재 부족, 영양지원 관련 교육 프로그램및 정보의 부족, 의료진 간의 상호협력 부족, 병원 경영진의 관심 및 개입 결여 등이 제시된 바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병원 내에 영양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팀의 활동이 요구되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Howard P. Practical nutritional support: working together to make it happen. Proc Nutr Soc 2001;60:415-8. 

  2. Hendricks KM, Duggan C, Gallagher L, Carlin AC, Richardson DS, Collier SB, et al. Malnutrition in hospitalized pediatric patients. Arch Pediatr Adolesc Med 1995;149:1118-22. 

  3. Olsen IE, Richardson DK, Schmid CH, Ausman LM, Dwyer JT. Dietitian involvement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more is better. J Am Diet Asso 2005;105: 1224-30. 

  4. Donovan R, Puppala B, Anqst D, Coyle BW. Outcomes of early nutrition support in extremely low-birth- weight infants. Nutr Clin Pract 2006;21:395-400. 

  5. Agostoni C, Axelson I, Colombo V, Goulet O, Koletzko B, Michaelsen KF, et al. The need for nutrition support teams in pediatric units: a commentary by the ESPGHAN committee on nutritio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5: 41;267-71. 

  6. Mezoff A, Gamm L, Konek S, Beal KG, Hitch D. Validation of a nutritional screen in children with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dmitted to an intensive care complex. Pediatrics 1996;97:543-6. 

  7. 이병섭. 미숙아의 영양 평가. 대한주산회지 2008;19:1-10. 

  8. Beck AM, Balknas UN, Camilo ME, Furst P, Gentile MG, Hasunen K, et al. Practices in relation to nutritional care and support--report from the Council of Europe. Clin Nutr 2002;21:351-4. 

  9. Jones JS, Tidwell B, Travis J, Spencer T, Phillips P, Burford B. Nutritional support of the hospitalized patient: a team approach. J Miss State Med Assoc 1995;36:91-9. 

  10. Gurgueira GL, Leite HP, Taddei JA, de Carvalho WB. Outcomes in a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a nutrition support team. J Parenter Enteral Nutr 2005;29:176-85. 

  11. Kuzma-O'Reilly B, Duenas ML, Greecher C, Kimberlin L, Mujsce D, Miller D, et al. Evaluatio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otentially better practic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nutrition. Pediatrics 2003;111:e461-70. 

  12. Jonkers CF, Prins F, Van Kempen A, Tepaske R, Sauerwein HP. Towards implementation of optimum nutrition and better clinical nutrition support. Clin Nutr 2001;20:361-6. 

  13. van der Kuip M, Oosterveld MJ, van Bokhorst-de van der Schueren MA, de Meer K, Lafeber HN, Gemke RJ. Nutritional support in 111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s:a European survey. Intensive Care Med 2004;30:1807-13. 

  14. Heyland DK, Schroter-Noppe D, Drover JW, Jain M, Keefe L, Dhaliwal R, et al. Nutrition support in the critical care setting: current practice in canadian ICUs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J Parenter Enteral Nutr 2003;27:74-83. 

  15. Shang E, Hasenberg T, Schlegel B, Sterchi AB, Schindler K, Druml W, et al. An European survey of structure and organisation of nutrition support teams in Germany, Austria and Switzerland. Clin Nutr 2005;24:1005-13. 

  16. 강혜진, 스리니바산 샨무감, 용철순, 김정애, 이종달, 유봉규. 우리나라 병원에서의 영양지원팀 운영과 관련된 문제점에 관한 연구: 한 대학병원의 경우. 한국임상약학회지 2008;18:4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