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뇌로부터 phospholipase D 활성 억제 단백질의 정제 및 특성 규명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teins Inhibiting Phospholipase D Activity from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rain 원문보기

한국수산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34 no.4, 2001년, pp.370 - 377  

서정수 (부경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김은희 (부경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황은영 (부경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김남득 (부산대학교 약학과) ,  김동선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이형호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정준기 (부경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넙치, Pafalichthys olivaceus 뇌 조직에서 인지질가수분해효소 D (phospholipase D, PLD) 활성의 특성 규명 및 이 활성을 억제하는 단백질을 분리 정제하여 그 특성을 규명하였다. 넙치 뇌 조직에서 PLD 활성이 관찰되었으며, 이 활성은 포스파티딜 이노시톨 비스인산염 (phosphatidyl-inositol 4,5-bisphos-phate, $PIP_2$)에 대해서 의존성을 나타내었으나, ADP-rebosylation factor (ARF)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PLD 억제물은 넙치 뇌 조직의 세포질 분획물을 사용하여 여러 종류의 칼럼을 통하여 분리 정제하였고, 그 억제물의 분자크기 및 기작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마지막 chromatography을 통하여 여섯 개의 억제를 나타내는 분획물을 얻었으며, 이 중 두 개의 분획물인 IIA IIB는 $PIP_2$-phosphatase activities를 나타내었다. 이 중 IIA 분획물은 면역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inositolpolyphosphate 5-phosphatase family로 알려져 있는 신경말단 단백질인 synaptojanin으로 동정되었다. 그리고 IIB fraction은 Superose 12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을 통하여 158-kDa의 크기로 확인되었으며, 이것은 면역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synaptojanin과는 별개의 단백질로 판명되었다. 또한, IIB 분획물은 $PIP_2$ phosphatase activity 확인 실험에서 대사산물로서 phosphatidylinositol phosphate (PIP)만을 생성하였다. 이 결과는 IIB 분획물이 $PIP_2$의 4혹은 5 위치의 인산 (phosphate)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가수분해시킨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넙치 뇌 조직에는 다양한 형태의 $PIP_2$-phosphatases가 존재하며, 이들은 $PIP_2$-의존적인 PLD 활성의 억제조절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lounder brain cytosol contains protein inhibitors that markedly inhibit the activity of partially purified brain membrane phospholipase D (PLD) which is dependent on phosphatidylinositol 4,5-bisphosphate ($PIP_2$) but insensitive to ADP-ribosylation factor (ARF), The PLD inhibitors hav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넙치의 각종 장기 (뇌, 신장, 간, 근육 등)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가지고 PLD 활성을 조사한 예비실험 결과 신장, 간, 뇌 등의 조직에서 PLD 활성이 관찰되었흐며, 그 중에서도 뇌 조직에서 가장 현저한 PLD 활성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향후 실험에서 PLD 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넙치의 뇌 조직으로부터 PLD를 부분 정제하였다. 넙치 뇌 조직으로부터 얻은 막 분획물과 세포질 분획물을 Heparin-Sepharose CL-4B conventional 칼럼에 적용한 결과, 세포질 분획물에서는 포스파티딜콜린 (PC) 가수분해작용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고 막 분획물에서는 NaCl 500 mM 근처에서 한 개의 활성이 있는 부위가 관찰되었다 (data not shown).
  • 그러나 연구의 대부분이 포유류에 대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수계생물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넙치 뇌 조직에서 PLD 활성의 특성 규명 및 이 활성을 억제하는 단백질을 분리 정제하여 그 특성을 규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뇌 조직에서 인지질가수분해효소 D (phospholipase D, PLD)활성의 특성 규명 및 이 활성을 억제하는 단백질을 분리 정제하여 그 특성을 규명하였다. 넙치 뇌 조직에서 PLD 활성이 관찰되었으며, 이 활성은 포스파티딜 이노시톨 비스인산염 (phosphatidyl-inositol 4,5-bisphosphate, PIP2)에 대해서 의존성을 나타내었으나, ADP-rebosylation factor (ARF)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