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자발성 지주막하출혈 후 발생하는 수두증에 대한 단락술의 필요성 및 예후에 관한 분석 - 뇌실외배액술의 기간, 일일배액량 및 총배액량과 예후관계 -
The Analysis of the Need Rate of Shunt and the Outcome in Hydrocephalus Following SAH - Relationship between the Outcome and the Duration, Daily and Total Amount of CSF Drainage at EVD - 원문보기

대한신경외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30 suppl.1, 2001년, pp.99 - 107  

이원창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  최창화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Hydrocephalus and vasospasm are the common complications following subarachnoid hemorrhage (SAH). In spite of development of perioperative management and operative technique, hydrocephalus cause neurological deficit and poor prognosis. Usually CSF drainage procedure(external ventricula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내원시 Evans ratio를 이용한 뇌실계측을 시행하였다. 뇌실내출혈이 있는 경우에 정상(18~30)은 13례(12%), 경도의 뇌실 확대(31~33)는 34례(32%), 중등도의 뇌실 확대(34~40)는 48례(45%), 고도의 뇌실 확대(41이상)는 11례(10%)였다.
  • 뇌동맥류결찰술 시행 여부와 관계없이 뇌실내출혈을 동반한 107례중 수두증이 발생한 69례와 뇌실내출혈을 동반하지 않는 522례중 수두증이 발생한 환자 57례를 연령, 성별, 입원당시 의식수준, 뇌동맥류의 위치, 수두증의 발생기간 및 최종 예후를 후향적 조사방법으로 비교하였다.
  • 배액기간을 1주이내, 1~2주, 2주이상으로 나누고, 총 배액량은 1,000㏄이하, 1,000~2,000cc, 2,000㏄이상, 1일 배액량은 100㏄이하, 100~200㏄, 200㏄이상의 군으로 나누어 단락술의 필요빈도와 최종예후를 비교분석하였다.
  • 수두증이 발생된 례는 총 126례였고 이중 뇌실외배액술을 시행한 총 100례중에 사망한 50례를 제외한 50례에서 뇌척수액 배액기간, 1일 배액량, 총 배액량에 따른 단락술의 필요빈도를 분석하였다. 최종 예후는 퇴원시 GOS(glascow outcome scale)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 뇌실외배액술은 뇌실내출혈이 있는 수두증 53례, 뇌실내출혈이 없는 경우 47례에서 시행하였다. 이들중 뇌실외배액술 도중에 사망환자를 제외하고 뇌실외배액술후 단락술의 필요빈도를 보면 뇌실내출혈이 있는 수두증은 19례중 5례(26%), 뇌실내출혈이 없는 경우는 31례중 10례(32%)에서 단락술을 시행하였다(Table 6).
  • 지주막하출혈후 발생한 수두증 126례중에서 뇌실외배액술을 시행한 환자군에서 단락술의 필요빈도를 조사하였다. 뇌실외배액술은 뇌실내출혈이 있는 수두증 53례, 뇌실내출혈이 없는 경우 47례에서 시행하였다.
  • 지주막하출혈후 발생한 수두증에서 단락술을 시행한 25례(20%)중에서 10례는 수두증의 발생이 늦게 나타나 뇌실외배액술이 없이 단락술을 시행하였다. 이들 10례중 요추 지주막하-복강단락술(lumbar subarachnoid-peritoneal shunt)이 7례, 뇌실-복강단락술(ventricular-peritoneal shunt)이 2례, 뇌실-심방단락술(ventricular-atrial shunt) 이 1례였다.
  • 지주막하출혈후 수두증 발생의 주요인자인 뇌실내출혈의 발생빈도, 내원시 의식상태, 동맥류의 위치, 예후 등을 뇌실내출혈이 없는 경우와 비교분석하고 뇌실내출혈 유무에 따른 수두증의 발생빈도, 내원시 의식상태, 동맥류의 위치, 예후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지주막하출혈후 수두증에 대한 뇌실외배액술을 시행한 환자들에서 뇌척수액 배액기간 및 배액량을 조사하고 최종 단락술의 필요빈도와 예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 지주막하출혈후 수두증 발생의 주요인자인 뇌실내출혈의 발생빈도, 내원시 의식상태, 동맥류의 위치, 예후 등을 뇌실내출혈이 없는 경우와 비교분석하고 뇌실내출혈 유무에 따른 수두증의 발생빈도, 내원시 의식상태, 동맥류의 위치, 예후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지주막하출혈후 수두증에 대한 뇌실외배액술을 시행한 환자들에서 뇌척수액 배액기간 및 배액량을 조사하고 최종 단락술의 필요빈도와 예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 지주막하출혈후 수두증의 발생빈도와 임상양상, 치료에 대한 문헌보고가 많지만, 본 연구에서는 지주막하출혈후 수두증 발생의 주요인자인 뇌실내출혈의 유무에 따른 수두증의 발생빈도, 내원시 의식상태, 동맥류 위치와의 관계 및 예후 등을 비교분석하였고 수두증의 치료의 방법인 뇌실외배액술을 시행한 후 뇌실의 뇌척수액 배액기간, 1일 배액량, 총배액량에 따른 단락술의 필요빈도와 최종 예후를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1988년 1월부터 1998년 6월까지 본원 신경외과에 입원했던 뇌동맥류 파열로 인한 지주막하출혈 629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 지주막하출혈후 발생한 수두증 126례중에서 뇌실외배액술을 시행한 환자군에서 단락술의 필요빈도를 조사하였다. 뇌실외배액술은 뇌실내출혈이 있는 수두증 53례, 뇌실내출혈이 없는 경우 47례에서 시행하였다. 이들중 뇌실외배액술 도중에 사망환자를 제외하고 뇌실외배액술후 단락술의 필요빈도를 보면 뇌실내출혈이 있는 수두증은 19례중 5례(26%), 뇌실내출혈이 없는 경우는 31례중 10례(32%)에서 단락술을 시행하였다(Table 6).
  • . 본 연구에서도 뇌실외배액술을 시행하지 않고 단락술을 시행한 10례의 만성 수두증 환자는 1~6개월사이에 수두증이 발생되었고, 4례는 지주막하출혈후 결찰술을 시행받고 회복퇴원후 외래통원 중 수두증으로 재입원하여 단락술을 시행받았다. 이들 10례중 7례는 요추지주막-복강단락술을 시행받았다.
  • 본 연구에서도 뇌실외배액술을 시행하지 않고 단락술을 시행한 10례의 만성 수두증 환자는 1~6개월사이에 수두증이 발생되었고, 4례는 지주막하출혈후 결찰술을 시행받고 회복퇴원후 외래통원 중 수두증으로 재입원하여 단락술을 시행받았다. 이들 10례중 7례는 요추지주막-복강단락술을 시행받았다.

이론/모형

  • 수두증이 발생된 례는 총 126례였고 이중 뇌실외배액술을 시행한 총 100례중에 사망한 50례를 제외한 50례에서 뇌척수액 배액기간, 1일 배액량, 총 배액량에 따른 단락술의 필요빈도를 분석하였다. 최종 예후는 퇴원시 GOS(glascow outcome scale)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