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버섯의 안정적 생산을 위한 최적배지의 개발
Development of Optimal Culture Media for the Stable Production of Mushroom 원문보기

한국농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v.45 no.2, 2002년, pp.71 - 76  

갈상완 (진주산업대학교 미생물공학과) ,  이상원 (진주산업대학교 미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세균성 갈색무늬병과 푸른곰팡이 병에 길항력을 갖는 느타리버섯배지를 개발하기 위해서 자연계로부터 항균 미생물을 순수분리하였다. 분리균주가 생산하는 섬유성분해 효소 및 전분분해 효소의 활성을 검토한 결과 SD-1, 10, 11 및 16균주는 carboxy methyl cellulase(CMCase) 활성이 높았고, SD-4, 10, 14 및 15균주는 glucoamylase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분리 균주는 carboxy methyl cellulose(CMC) 및 전분 함유 평판배지에서 뚜렷한 clear zone을 형성하였다.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력을 검토한 결과 SD-10과 SD-11은 Pseudomonas tolaasii ATCC-14340 및 P. tolaasii ATCC-51312의 병원균에 강한 길항작용을 나타내었고, SD-1, SD-10및 SD-ll은 푸른곰팡이 병을 유발하는 Trichoderma virence와 T. harzianum에 강한 길항작용을 나타내었다. 분리균과 버섯 균사체와의 생육관계를 검토한 결과 SD-1은 Pleurotus ostreatus ASI-2042에, SD-15는 Pleurotus ostreatus ASI-2180에 약간의 생육저해를 일으킬 뿐 다른 분리균주들은 전혀 버섯균사체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분리균주의 최적생육온도는 $30{\sim}35^{\circ}C$이었고, 생육가능온도 범위는 $15^{\circ}C{\sim}55^{\circ}C$로 매우 넓었다. 분리균 중에서 SD-1, 10 및 11균주를 느타리버섯 재배현장에 적용시켰을 때 대조구에 비하여 분리균을 접종한 시험구에서는 느타리버섯의 균사 및 자실체의 성장이 매우 균일하고 버섯의 품질이 우수하였다. 그리고 분리균 중에서 SD-10과 11을 균체지방산 조성을 검토한 결과 Bacillus sp.과 아주 유사하였다. 수자원의 절약과 하천수량의 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2.21%), 그리고 열매에서는 ${\alpha}-pinene$ (20.24%) > 1,8-cineole (11.47%) > ${\beta}-pinene$ (9.79%) > u-terpineol (7.08%) > sabinene (3.68%) limonene (2.77%)의 순서로 조성비율이 높았다. 전반적으로 순비기나무의 잎과 열매에서 분리한 정유에서는 monoterpene류의 조성비율이 높았으나 꽃과 줄기에서는 잎이나 열매에 비해 sesquitepene류, diterpene류 이외에도 구조를 동정하지 못하였으나 diterpene류 일 것으로 예상되는 분자량이 비교적 큰 성분들의 조성비율이 높았다./TEX>에서는 TA98 균주에서 $(100{\mu}g/plate)$의 시료농도에서는 부탄올 분획물이 89.92%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TA100 균주에서는 메탄올 추출물이 77.47%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암세포주(A549, Hep3B, MCF-7)에 대한 씀바귀 뿌리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 페암세포주인 A549세포에서는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250{\mu}g/ml)$이 91.67%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간암세포주인 Hep3B에서는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 $(500{\mu}g/ml)$이 75.01%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유방암 세포주인 MCF-7에서도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500{\mu}g/ml)$이 84%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다. 정상 간세포주인 293에 대하여 시료농도에 따른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500{\mu}g/ml)$ 시료 첨가시 암세포에 대하여 대부분 50% 전후(물 분획물 제외)의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veral antagonistic bacteria, SD-1, 4, 10, 11, 14, 15, and 16, which have strong CMCase and amylase activities, were isolated from the fermented mushroom media. Among them, SD-1, 10, 11, and 15 have strong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the mushroom pathogenic bacteria Pseudomonas sp., and SD-1,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2) 이러한 버섯의 질병은 배지의 수분 과다 및 부족, 고온, 배지불량 등 버섯재배환경에 의해서 발생되지만, 본 연구자들은 버섯이 잘 생육할 수 있는 버섯의 항균성 배지가 확립된다면 버섯재배 기술상에 약간의 오류가 발생하여도 튼튼한 버섯을 잘 생육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질병의 퇴치뿐만 아니라 병원성 잡균의 번식이 억제되어 버섯의 생산증가에 크게 기여하게 되어 버섯 농가의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버섯의 푸른곰팡이 병 및 세균성 갈색무늬병을 유발하는 병원성 곰팡이 및 세균의 생육을 억제할 목적으로 자연계로부터 항균성 미생물을 순수분리하여 그 미생물의 생육 특성 등을 검토하여 동정한 다음, 분리된 미생물을 직접 버섯재배 현장에 적용시켜 버섯의 생육상태를 관찰하였다.
  • 섬유성물질 및 전분분해효소의 생산성이 우수한 7종류의 분리균주가 느타리버섯의 갈색무늬병원성 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서 R tolaasii를 대한 항균력을 검토하여 Fig. 2에 나타내었다. P.

가설 설정

  • 1)Growth rate: + slow, ++ medium, +++ fast.
  • 2)Halo zone size by CMCase: + low, ++ medium, +++ high.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Kawade, M., Sumiya, T, Shimura, K. and Ito, H. (1984) Activation of the reticulo-endothelial system by antitumor polysacchande from Agaricus btazei iwade. Medicine and Biotogy 109, 299-302 

  2. Lee, B. W., Im, G. H., Kim, D. W., Park, K. M., Son, S. H. and Shon, T. H. (1993)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pilot scale fermentation for the submerged mycelial culture of Lentinus edodes.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1, 609-614 

  3. Hong, J. S. (1980) Nuthtion value and medicine efficacy of mushroom. Food Industry 53, 79-84 

  4. Kwon, J. H., Byun, M. W., Cho, H. 0., Kim, Y. J. and Kim, J. G. (1987) Effect of chemical fumigant and $\gamma$ -ray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ried oak mushroom. Korean J. Food Sci. Technol. 19, 273-278 

  5. Wells, J. M., Sapers, G. M. Felt, W. R, Butterfield, J. E., Jones, B., Bouzar, H. and Miller, F. C. (1996) Postharvest discoloration of the cultivated mushroom Agaricus bisporus caused by Pseudomonas totaasii, P. reactans and P. gingeri. Phytopathology 86, 1098-1104 

  6. Healey K. W. and Harvey, J. M. (1989) A biological control agent for the mushroom industry, Proceedings Eighth Aust. Biotechnol. Conference 322-324 

  7. Nutkins, C. J., Mortishire-Smith, J. R., Packman, C. L., Brodey, L. C. and Rainey, B. P. (1991) Structure determination of tolaasin, an extracellular lipodepsipeptide produced by the mushroom pathogen Pseudomonas totaasii paine. J. Am. Chem. Soc. 113, 2621-2627 

  8. Paine, S. G. (1919) Studies in bacteriosis II. A brown blotch disease of cultivated mushroom. Ann. Appl Biol. 5, 206-219 

  9. Tolaas, A. G. (1915) A bacterial disease of cultivated mushrooms. Phytopathology 5, 51-54 

  10. Kim, J. W., Kim, K. H. and Kang, H. J. (1994) Studies on the pathogenic Pseudomonas causing bacterial disease of cultivated mushrooms in Korea. 1. On the causal organisms of the rots of Agaricus bisporus, Pteurotus ostreatus and Lentinus edodes. Korean J. Ptant Pathol. 10, 197-210 

  11. Kim, J. W., Kwon, S. I. and Kang, H. J. (1995) Studies on the pathogenic Pseudomonas causing bacterial disease of cultivated mushrooms in Korea. 2. Bacte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 tolaasi causing mushroom brown blotch and white line reacting organisms. Korean J. Ptant Pathol. 11, 353-360 

  12. Seo, G. S. (2001) Mushroom pathogen and its protection. Mushroom 5, 17-38 

  13. Mi11er, G. L., Blum, R., Gkennon, M. E. and Burton, A. L. (1960) Measurement of carboxymethyl cellulase activity. Anal. Biochem. 2, 127-132 

  14. Lee, J, S., Shin, Y. K., Yoon, J. H., Takeuchi, M., Pyun, Y. R. and Park Y. H. (2001) Sphingonwnas aquatitis sp. nov., Sphingomonas koreensis sp. nov. and Sphingomonas taejonensis sp. nov. yellow-pigmented bacteria isolated from natural mineral water, International J.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mbiology 51, 1491-1498 

  15. Nari, N. G. and Fahy, D. C. (1972) Bacteria antagonistic to Pseudonwnas tolaasii and control of brown blotch of the cultivated mushroom Agaricus bisporus. J. Appl. Bact. 35, 439-442 

  16. Wong, W. C. and Preece T. F. (1985) Pseudomonas tolaasii in mushroom (Agaricus bispoms) crops: activity of formulation of 2-bromo-2-nitropane-1,3-dio1 (bronopol) against the bacterium and the use of this compound to control blotch disease. J. Appl. Bacteriol. 58, 275-28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