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장기 여아에서 첫째 및 셋째 수지 지절 변화와 초경시기
The relationship between menarche and the ossification stages of the phalanx of the first and third finger 원문보기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v.32 no.4 = no.93, 2002년, pp.265 - 274  

김경호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두개안면 기형연구소) ,  최광철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두개안면 기형연구소) ,  정길용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성장기 환자의 발육 상태를 나타내는 여러 지표 중 수완부 골성숙도와 초경시기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수완부 골성숙도에서는 첫째와 셋째 수지의 변화가 비교적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수지 및 셋째 수지의 지절 변화와 초경 및 부정교합과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해, 성장기 여아 중 I급 부정교합자 29명, II급 부정교합자 27명, III급 부정교합자 27명을 대상으로 약 6개월 간격으로 모지척측 종자골 출현 전부터 수지 지절의 융합이 거의 이루어지는 시기까지 누년적으로 촬영한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과 초경시기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부정교합에 따른 골성숙도의 차이는 없었다. 2. 부정교합에 따른 초경연령의 차이는 없었으며, 초경의 평균 연령은 $12.30\pm0.98$세였다. 3. 모지척측 종자골 출현은 $10.35\pm1.01$세, 첫째 수지의 원심부 지절에서 Capping단계는 $11.26\pm1.04$세, 융합시기는 $13.12\pm1.06$세이고 셋째 수지의 중간 지절의 capping은 $11.57\pm1.02$세, 융합은 $13.72\pm1.04$세에 일어났다. 4.초경은 첫째 수지 원심부 지절의 융합이 진행되는 시기와(P<0.001, r=0.82),셋째 수지 중간 지절의 융합이 시작되는 시기와(p<0.001, r=0.78) 비슷한 시기에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첫째 또는 셋째 수지 지절 변화만으로 성장기 여아에서의 발육상태를 평가할 때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mong many maturation indicators of growing patients, menarche and skeletal maturity are useful to assess growth and development, and the changes of the first and third finger are relatively important in hand-wrist X-ray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arc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H館g와 Taranger'S는 셋째 수지의 중간 지절 변화를 다섯 단계로 세분하였으며 이를 변형시켜 여섯 단계로 나눈 보고도 있는데知, 본 연구에서도 융합이 시작되기 전과 진행되는 단계를 H와 HU로 세분하여 여섯 단계로 나누어 지절의 변화를 자세히 조사하고자 하였다. H단계에서부터는 성장 속도가 줄어든다고 할 수 있으며 I단계는 완전한 융합이 일어나는 시기로서, H와 H1 단계를 명확히 구분하는 것은 힘들지만 완전한 융합 이전에 지절 변화를 보기 위해 구분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H와 印가 첫째 수지에서는 0.
  • 만약 수완부골 방사선사진에서 첫째 수지 및 셋째 수지의 지절 변화와 초경 시기와의 연관성을 예측할 수 있다면 수완부골사진의 많은 부위를 판독하는 대신 보다 간단하게 첫째 수지나 셋째 수지 부위의 국소적 부위만으로 신체발육 정도를 어느 정도는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수지 및 셋째 수지의 지절 변화와 초경 및 부정교합 분류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발육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여 다소의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 수완 부골 방사선사진에서 많이 평가되는 것은 모지척측 종자골의 출현과 셋째 수지의 지절 변화이며 첫째 수지의 변화에 대한 연구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21也). 연구에서는 임상에서 좀더 간편하게 성장 발육을 평가할 수 있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초경시기와 수완 부의 첫째 수지 및 셋째 수지의 변화를 중점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수지 및 셋째 수지의 지절 변화와 초경 및 부정교합과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해, 성장기 여아 중 I급 부정교합자 29명, II급 부정교합자 27명, HI급 부정교합자 27명을 대상으로 약 6 개월 간격으로 모지척측 종자골 출현 전부터 수지 지절의 융합이 거의 이루어지는 시기까지 누년 적으로 촬영한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과 초경시기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가설 설정

  • 1. 부정교합에 따른 골성숙도의 차이는 없었다.
  • F : 골단과 골간의 폭경이 일치하며 골단의 양 끝이 좁고 둥글다. 첫째 수지의 경우 촬영각도로 인해 판독이 어려워 제외하였다.
  • G : 골단이 골간을 둘러싸는 capping현상이 일어나며 골간은 활모양을 보인다.
  • H : 골단과 골간의 융합이 시작되고, 골단은 좁아지면서 활모양이 없어지지만 울퉁불퉁한 모습은 존재한다. 골단과 골간 사이에 radiolucent gap 이 좁아진다.
  • HI : 골단의 상연은 오목한 모습을 보이며 골간에서는 울퉁불퉁한 모습이 없어진다. 골단과 골간 사이의 radiolucent linee 변연부에만 남는다.
  • 골단과 골간 사이의 radiolucent linee 변연부에만 남는다. I : 골단과 골간의 융합이 완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Moore RN, Moyer BA, DuBois LM. Skeletal maturation and craniofacial growth. Am J Orthod Dentofac Orthop 1990 : 98 : 33-40 

  2. Fishman LS. Chronological versus skeletal age, an evaluation of craoiofacial growth. Angle Orthod 1979 : 49 : 181-9 

  3. Fishman LS. Radiographic evaluation of skeletal maturation: A clinically oriented method based on hand-wrist films. Angle Orthod 1982 : 52 : 88-112 

  4. Fishman LS. Maturational patterns and predictionduring adolescence. Angle Orthod 1987 : 57 : 178-93 

  5. Johnston FE, Hufham HP, Moreschi AF, Terry GP. Skeletal maturation and cephalofacial development. Angle Orthod 1965 : 35 : 1-11 

  6. Bjork A, Helm S. Prediction of the age of maximum puberal growth in body height. Angle Orthod 1967 : 37 : 134-43 

  7. Bambha JK, Van Natta P. A longitudinal study of occlusion and tooth eruption in relation to skeletal maturation. Am J Orthod 1959 : 45 : 847-55 

  8. Bambha JK. Longitudinal cephalometric roentgenographic study of face and craoium in relation to body height. J Am Dent Assoc 1961 : 63: 776-99 

  9. Hunter CJ. The correlationof facial growth with body height and skeletal maturation at adolescence. Angle Orthod 1966 : 36 : 44-54 

  10. Hagg U, Taranger J. Maturation indicators and the pubertal growth spurt. Am J Orthod 1982 : 82 : 299-309 

  11. 박진성, 서정훈, 정상교합자의 사춘기 성장과 수완부골 성숙단계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85 : 15: 197-209 

  12. Gam SM, Rohmann CG. Variability in the order of ossificationof the bony centers of the hand and wrist. Am J Phys Anthrop 1960 : 18 : 219-30 

  13. KondoT. Craoiofacial growth before and after the end of fusion in the distal phalanx of the first digit- A longitudinal study. 日本橋正誌 1991 : 50 : 293-302 

  14. Leite HR, O'Reilly MT, Close JM. Skeletal age assessment us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ngers of the hand. Am J Orthod Dentofac Orthop 1987s: 92 : 492-8 

  15. Greulich WW. Pyle SI. Radiographic atlas of skeletal development of the hand and wrist. 2nd ed. Standford, California: Stanford University Press, 1959 

  16. Tanner JM, Whitehouse RH, Marshall WA, Healy MJR, Goldstein H Assessment of skeletal maturity and prediction of adult height(TW2 method). London: Academic Press, 1975 

  17. Grave KC, Brown T. Skeletal ossification and the adolescent growth spurt. Am J Orthod 1976 : 69 : 611-9 

  18. Goto S. A study of the ossification of the distal phalanx of the first digit. 日本橋正誌 1987 : 46 : 534-46 

  19. Goto S, Kondo T, Iwata R, et. al. A cross-sectional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ssification of the distal phalanx of the first digit and the cranio-facial growth and development. Aichi-Gakuin J Dent Sci 1989 : 27 : 837-44 

  20. Iwata R. The relation of complete fusion time on the distal phalanx of the first digit and mandibular growth, 日本橋正誌 1994 : 53 : 1-9 

  21. Rees M. Menarche when and why? Lancet 1993 : 342 : 1375-6 

  22. Wheeler MD, Physical changes of puberty,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Clinics of North America, 1991 : 20 : 1-14 

  23. 김영준, 손병화. 생장기 소녀에서 하악골 성장변화와 발육연령의 상호관계에 대한 누년적 연구 대치교정지 1992 : 22 : 603-15 

  24. Rajagopal R, Kansal S, A comparison of modified MP3 stages and the cervical vertebrae as growth indicators, J Clin Orthod 2002 : 36 : 398-406 

  25. Nanda RS, Nanda SK Considerations of dentofacial growth in longterm retention and stability : Is active retention needed? Am J Orthod Dentofac Orthop 1992 : 101 : 297-302 

  26. Mitani H, Sato K. Comparison of mandibular growth with other variables during puberty, Angle Orthod 1992 : 62 : 217-22 

  27. Bergersen EO, The male adolescent facial growth spurt: Its prediction and relation to skeletal maturation, Angle Orthod 1972 : 42 : 319-38 

  28. Krogman WM, The meaningful interpretation of growth and growth data by the clinician, Am J Orthod 1958 : 44 : 411-32 

  29. Tofani MI. Mandibular growth at puberty. Am J Orthod 1972 : 62 : 176-95 

  30. 김경호 부정교합자의 수완부 골성숙도에 관한 누년적 연구(1) 대치교정지 1999 : 29 : 183-95 

  31. 김석훈, 정규림, 정상교합자와 부정교합자의 골성숙도 차이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90 : 20 : 111-22 

  32. Pileski RCA, Woodside DG, James GA. Relationship of the ulnar sesamoid bone and maximum mandibular growth velocity, Angle Orthod 1973 : 43 : 162-70 

  33. Zacharias L, Wurtman RJ, Schatzoff M. Sexual maturation in contemporary American girls, Am J Obstet Gynec 1970 : 108 : 833-46 

  34. Demirjian A, Buschang PH, Tanguay R, Patterson DK. Interrelationships among measures of somatic, skeletal, dental and sexual maturity. Am J Orthod 1985 : 88 : 433-8 

  35. 장기영, 이동주. 부정교합자의 사춘기성장과 성적 성숙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누년적 연구 대치교정지 1989 : 19: 99-111 

  36. 장연희, 정규림. 초경시기와 골성숙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95 : 25 : 415-23 

  37. 김정호, 백형선, 손은수.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초경시기와 골성숙도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98 : 28 : 581-9 

  38. Smith RJ, Misuse of hand-wrist radiographs. Am J Orthod 1980 : 77 : 75-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