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기재배 시험에 의한 중금속 오염토양의 식물정화
Phytoremediation of Soils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 by Long-Term Cultivation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21 no.1, 2002년, pp.31 - 37  

정구복 (농업과학기술원 환경생태과) ,  김원일 (농업과학기술원 환경생태과) ,  이종식 (농업과학기술원 환경생태과) ,  김경민 (연세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중금속 오염토양에 대한 식물학적 복원에 적합한 식물종 탐색을 위하여 수목류 5종, 화훼류 2종 및 잔디를 대상으로 제련소 인근 중금속 오염지 포장에서 3년간 재배하여 연차별로 식물중에 흡수된 중금속 함량을 조사하였다. 식물의 건물중은 양황철, 팽나무, 적단풍, 사철나무, 회양목 순이었고, 연차별 건물중의 증가도 팽나무, 양황철, 적단풍이 높게 나타났다. 식물의 중금속은 지하부가 지상부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식물중 회양목은 뿌리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공시식물의 3년차 총 흡수량은 카드뮴이 양황철, 팽나무, 단풍나무, 구리가 팽나무, 양황철, 회양목, 납이 양황철, 팽나무, 단풍나무, 비소가 회양목, 단풍나무, 양황철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식물의 건물중과 중금속 흡수량을 볼 때 양황철, 회양목, 단풍나무 및 팽나무 등이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에 대한 정화 식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select proper plants for phytoremediation at heavy metal contaminated areas, eight species of non-edible plants were cultivated at the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s near a metal smelter. The content of the absorbed heavy metals (Cd, Cu, Pb and As) at different part of the plants were an...

주제어

참고문헌 (20)

  1. Salt, D. E., Blaylock, M., Kumar, PBAN., Dushenkov, S., Ensley, B. D., Chet, I. and Raskin, I. (1995) Phytoremediation. A novel strategy for the removal of toxic metals from the environment using plants, Bio/Tech. 13, 468-474 

  2. Kim, J. G. and Lee, S. H. (1999) Phytoremediation, 'Proceedings of 30th Meeting & Symposium on 'Remediation Technology and Prospect'. Kor. J. Environ. Agric. 57-88 

  3. Salt, D. E., Smith, R. D. and Raskin, I. (1998) Phytoremediation, Ann. Rev. Plant Physiol. Plant Mol. Biol. 49, 643-668 

  4. Baker, A. J. M. and Brooks, R. R. (1989) Terrestrial higher plants which hyperaccumulate metallic elements - A review of their distribution, ecology and phytochemistry, Biorecovery 1, 81-126 

  5. Chaney, R. L., Malik, M., Li, Y. M., Brown, S. L., Angle, J. S. and Baker, A. J. M. (1997) Phytoremediation of soil metals, Current Opinions in Biotechnology 8, 279-284 

  6. Cunningham, S. D, and Ow, D. W. (1996) Promises and prospects of phytoremediation, Plant Physiol. 110, 715-719 

  7. Kang, B. H., Shim, S. I., Lee, S. G., Kim, K. H. and Chung, I. M. (1998) Study on the potential of phytoremediation using wild plants for heavy metal pollution, Kor. J. Environ. Agric. 17(4), 312-318 

  8. Kim, B. Y., Kim, K. S. and Cho, J. K. (1989) Studies on the cadmium removal from soil through crops cultivation, J. Korean Soc. Soil Sci. Fert. 22(2), 111-115 

  9. Kim, J. G., Lim, S. K., Lee, S. H., Yoon, Y. M., Lee, C. H. and Jeong, C. Y. (1999) Evaluation of heavy metal pollution and plant survey around inactive and abandoned mining areas for phytoremedi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s, Kor. J. Environ. Agric. 18(1), 28-34 

  10. Jung, K. C., Kim, B. J. and Han, S. G. (1993) Survey on heavy metals contents in native plant near old zinc mining sites, Kor. J. Environ. Agric. 12(2), 105-111 

  11. Brown, S. L., Chaney, R. L., Angle, J. S. and Baker, A. J. M. (1994) Phytoremediation potential of Thlaspi caerulescens and bladder campion for zinc and cadmium contaminated soil, J. Environ. Qual. 23, 1151-1157 

  12. Brown, S. L., Chaney, R. L., Angle, J. S. and Baker, A. J. M. (1995) Zinc and cadmium uptake by hyperaccumulator Thlaspi caerulenscens grown in nutrient solution, Soil Sci. Am. J. 59, 125-133 

  13. Ebbs, S. D., Lasat, M. M., Brady, D. Cornish, J., Gordon, J. R. and Kochian, L. V. (1997) Phytoextraction of cadmium and zinc from a contaminated soil, J. Environ. Qual. 26, 1424-1430 

  14. Wenzel, W. W. and Jockwer, F. (1999)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in plants grown on mineralised soils of the Austrian Alps, Environmental Pollution 104, 145-155 

  15. Muller, H. W., Oort, F. van., Gelie, B. and Balabane, M. (2000) Strategies of heavy metal uptake by three plant species growing near a metal smelter, Environmental Pollution 109, 231-238 

  16. Wonga, H. K. T., Gauthierb, A. and Nriaguc, J. O. (1999) Dispersion and toxicity of metals from abandoned gold mine tailings at Goldenville, Nova Scotia, Canada,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28(1), 35-47 

  17. NlAS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1999) Survey on the changes of heavy metal contents of agricultural field in Korea. A counter mersuring studies to the changes of agricultural environment. p.3360 

  18.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1999) Soil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 

  19. NlAS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1988) Methods of Soil Chemical Analysis. p.15-230 

  20.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1999) Standard Test Method for Soil Pollu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