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달걀의 저장 중 난황의 지방산 함량 변화
Change of Fatty Acid Content in Egg Yolk Oil of Various Chicken Eggs during Storag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1 no.2, 2002년, pp.184 - 188  

구난숙 (대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왕수경 (대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정민 (대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료 달걀의 난황 속에는 올레산팔미트산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저장 1, 2주에 그 함량이 최고점으로 도달 하였으며, 3주 때는 감소하였다. 일반란의 경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팔미트산과 올레산은 증가 후 다시 감소하였고, 리놀레산은 증가하였다. 인삼란의 경우 팔미트산과 스테아르산이 감소 경향을 보였다. DHA란의 팔미트산과 올레산의 변화는 없었으나, 리놀레산이 증가하였다 감골란은 올레산이 급격히 감소의 경향을 보이는 반면, 팔미트산은 증가 후 감소의 경향을 반복하였다.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감소하고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구입 당시 모든 달걀에 나타나지 않았던 DHA가 저장기간 동안에 극미량 검출되었다. 한편, n-6/n-3 비율은 일반란이 저장 1~3주, 감골란은 구입 당시, DHA란은 저장 0~3주의 저장기간 동안 섭취 권장 범위에 해당되었다. 저장기간 동안 다중불포화지방산, 단일불포화지방산과 포화 지방산의 비 (P/M/S)가 DHA란은 변화가 없었고, 인삼란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M/S비는 3주 저장한 일반란, 2주 저장한 인삼란과 0~3주 저장기간의 DHA란에서 적정권장 수준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atty acid contents of egg yolk from various chicken eggs such as general egg, ginseng egg, gamgoal egg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egg were analysed during storage at 4$^{\circ}C$ for 3 weeks. The major fatty acids of all egg yolk oils were oleic acid (18 : 1) and palmitic acid (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일반란과 사료에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첨가한 기능란(인삼란, 감골란, DHA란)에 대해 저장기 간에 따른 난황의 지방산 함량 변화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Nieman DC, Butterworth DE, Nuenab CN. 1992. Nutrition. Wm. C. Brown Publishers, Dubuque. p 133-153. 

  2. Kritchevsky D, Klurfeld DM. 1991. Fat and cancer. In Cancer and nutrition. Alfin-Slater RB, Kritchevsky D, ed. Plenum press, New York and London. p 117-140. 

  3. Sabate J, Hook DG. 1996. Almonds, walnuts and serum lipids. In Handbook of lipids in human nutrition. Spiller G, ed. CRC Press, Boca Raton. p 137-144. 

  4. Grundy SM. 1994. Influence of stearic acid on cholesterol metabolism relative to other long-chain fatty acid. Am J Clin Nutr 60: 986S-990S. 

  5. Chow CK. 1996. Fatty acids in foods and their health implications. Marcel Dekker, Inc, New York. p 53. 

  6. Dyerberg J. 1986. Linolenate-derive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prevention of atherosclerosis. Nutr Rev 44: 114-134. 

  7. Kwon HH, Lee TS, Kim IB, Lee HY, Jang JH, Kim DS, Choi JT, Yun IS. 1997.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Korean foods-Determination of fatty acid contents (I). The Annual Report of KFDA. p 57. 

  8. Kim JS. 1989. Studies on the lipid components in egg yolk oils.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9. Jun EK, Paik HY. 1993. Fatty acid contents in foods of major fat sources in Korean diet. Korean J Nutrition 26: 254-267. 

  10. Leess RS, Karel M. 1990. Omega-3 fatty acids in growth and development. -Omega-3 fatty acids in health and disease. Marcel Dekker, Inc, New York and Basel. p 115-156. 

  11. Simopoulos AP. 1988. w3 fatty acids in growth and development and in health and disease. part II. The role of w3 fatty acids in health and disease: dietary implications. Nutrition Today May/June: 11-18. 

  12. Neuringer M, Conner WE. 1986. w3 fatty acids in the brain and retina-evidence for their essentiality. Nutr Rev 44: 185-193. 

  13. Oh KW, Park KS, Kim TJ, Lee YC. 1991. A study on w6/w3 and P/M/S ratios of fatty acids ingested by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Nutrition 14: 399-407. 

  14. 申佶求. 1973. 申氏本草學(各論). 수문사, 서울. p 151. 

  15. Wang SG, Koo NS. 2001. Comparison of composition and content of fatty acid in egg yolk oil among general and functional egg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4-19. 

  16. Koh MS, Kim JS, Choi OJ, Kim YD. 1997. Studie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in egg yolk oil. Korean J Soc Food Sci 13: 87-91. 

  17. Park GB, Son YD, Kim YH, Lee HG, Kim YJ. 1998.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native goats meat during post-mortem storage. II.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 Korean J Anim Sci 30: 244-250. 

  18. Park GB, Jung CK, Kim YJ, Lee HG. 1989. Studies on fatty acid composition in chicken meat during post-mortem storage. II.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 Korean J Anim Sci 31: 35-41. 

  19. Park GB, Lee HG, Song DJ. 1990.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native goat and chicken meats during postmortem storage. Korean J Anim Sci 32: 89-92. 

  20. Nam HK. 1977. Studie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duck meat. Korean J Nutrition 10: 34-37. 

  21. Kim SL, Choi HS, Byun KE. 1998. Food processing and storage. Suhaksa Publishing Co, Seoul. p 240. 

  22. 이성기. 1999. 계란과 닭고기의 과학. 유한문화사, 서울. p 34. 

  23. 한국영양학회. 2000. 한국인 영양권장량. 제7차 개정. 중앙문화사, 서울. p 46-52. 

  24. Moerck KE, Ball HR. 1974. Lipid autoxidation in mechanically deboned chicken meat. J Food Sci 39: 876-879. 

  25. Choi BK. 1997. Microsomal n-3 fatty acid desaturase affected by various substrates and stimulans.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