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곤충병원성 선충로부터 분리된 공생박테리아의 종별 특성
Characterization of Symbiotic Bacteria from Entomopathogenic Nematode 원문보기

한국생물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v.17 no.3, 2002년, pp.276 - 282  

박선호 (계명대학교 공학부) ,  김지연 ((주)바이코시스 부설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einernematidae와 Heterorhabditidae속에 속하는 7종의 곤충병원성 선충으로부터 매우 강한 살충성을 갖는 공생박테리아를 분리하여 그 종별 특성을 비교하였다. 분리된 공생박테리아의 종별 배양특성, 살충특성, 단백질 분해 효소의 활성 및 지방산 함량 등이 조사되었다. XR-PC 및 XR-MK의 성장 및 살충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수증식기 초기에 살충성이 가장 높은 반면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살충성도 점차 감소되었다. 이 살충성은 protease 역가와 직접 관련이 없었으나 XR-DR의 경우 다른 종에 비해 배양 3일째 약 4.5배의 최대 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HE-HY의 경우 균체의 성장에 비례하여 protease 역가도 계속 증가하였다. 지방간 함량의 경우 특히 공생박테리아의 종별로 12:0, 14:0, 16:1 cia 5, 17:0 cyclo에서 지방산 함량의 차이를 크게 나타내었으며 hydroxy와 branch 지방산이 전체 지방간의 약 2-15%가지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ymbiotic bacteria with highly effective insecticidal activities were isolated and compared with their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from seven species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belong to Steinernamatidae and Heterorhabditidae sp., and three of them were identified as Xenorhabdus nematophilus.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NBTA배지에서 3-5일 정도 성장한 colony를 취해서 250 mL flask, 100 mL 0.5% NaCl, 0.05% K2HPO4, 0.05% NH4H2PO4, 0.02% MgSO 7H:O, 5% yeast extract 배지에 접종하여 281, 200 rpm incubator에서 7일간 배양하였으며 24시간 간격으로 sampling 하였다. 공생박테리아의 배양액을 1:50 희석하여 5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NBTA에서 3-5 일 동안 배양하여 나타난 colony를 BUGM 배지에 옮겨 2회 계대배양을 실시한 후 순수한 colony를 생 성하였다. 생성된 colony는 0.
  • Ste订lernematidae오+ Heterorhabditidae^6^ 속하는 7종의 곤충병원성 선충으로부터 매우 강한 살충성을 갖는 공생박테리아를 분리하여 그 종별 특성을 비교하였다. 분리된 공생박테리아의 종별 배양특성, 살충특성, 단백질 분해 효소의 활성및 지방산 함량 등이 조사되었다.
  • 살충성 test는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을 사용하여 실행하였다. 각 시료에 대해 4마리의 유충을 사용하였으며, 3 “L의 배양 원심분리 상등액을 유충의 혈강에 microsyringe를 사용하여 주사한 후, 25 ℃ incubator에 보관하면서 시간에 따른 사멸정도를 조사하였다.
  • 4。(、에 보관된 microplate에 현탁액의 적정량을 접 종하고 281: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microplate 를 Biolog 시스템에 입력하고 95개 carbon source 각각에 대해 산화능을 조사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Biolog 시스템에 내 장된 566종/속의 그람 음성균 database software를 이용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16).
  • 본 연구에서는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matidae속 6종과 Heterohabditidae속 1종으로부터 각각 공생하는 박테리아를 분리하여 종별 공생박테리아의 특성, 단백질 분해 효소의 생 성정도,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에 대한 살충성 및 지방산 함량 등을 비교하였다.
  • 분리된 공생박테리아의 지방산 성분 및 함량을 조사하기 위해서 먼저 시험관 (13 X 100 mm)에 reagent l(NaOH 45 g, CH3OH 150 tnL, 초순수 150 mL)을 1 mL 넣은 후 TSA (Trypticase Soy Broth 30 g, Bacto Agar 15 g, 초순수 1 L) 배지에서 배양한 공생박테리아를 한 루프 정도 넣고 vortex하였다. 100T에 5분간 담근 후 다시 vortex하고 10CTC 의 항온 조에 25분간 두었다.
  • 살충성 test는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을 사용하여 실행하였다. 각 시료에 대해 4마리의 유충을 사용하였으며, 3 “L의 배양 원심분리 상등액을 유충의 혈강에 microsyringe를 사용하여 주사한 후, 25 ℃ incubator에 보관하면서 시간에 따른 사멸정도를 조사하였다.
  • 지방산 측정은 HP6890 gas chromatograph를 사용하였으며, Ultra! capillary column을 사용하여 carrier gas로 压를 0.4 mL/min 의 유속으로 흘려주었고 column의 초기온도는 1701로 260’C까 지 5℃/min의 속도를 온도를 상승시켰으며 detector는 FID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지방산 성분 및 함량의 최종분석은 MIS Sherlock softwar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carpocapsae PC, 5. moticola, S. Loagicatidum柜* Heterorhabditidae [종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으로 경상대학교 선충연구실로 부터 분양 받았다. In vivo로 증식된 곤충병원성선충을 꿀벌 부채명나방 유충에 접종하여 사멸시킨 후 95% ethanol에 담 궈 표면 살균한 후 3-4회 무균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한 후 무균적으로 유충을 해부하고 hemolymph 를 NBTA배지에 plate out한 후 28℃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 사용된 곤충병원성 선충은 Steinernematidae 6종(Steiaernema glaseri DR, S. glaseri NC, S. glaseri MK, S. carpocapsae PC, 5. moticola, S.

데이터처리

  • 4 mL/min 의 유속으로 흘려주었고 column의 초기온도는 1701로 260’C까 지 5℃/min의 속도를 온도를 상승시켰으며 detector는 FID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지방산 성분 및 함량의 최종분석은 MIS Sherlock softwar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배양된 microplate 를 Biolog 시스템에 입력하고 95개 carbon source 각각에 대해 산화능을 조사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Biolog 시스템에 내 장된 566종/속의 그람 음성균 database software를 이용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1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Hominick, W. M. (1990), Entomopathogenic Rhabditid nematodes and pest control, Parasitology Today, 6, 148-152 

  2. Hurlber, R. E., Xu, J. and C. L. Small (1994), Colonial and cellular polymorphism in Xenorhabdus luminescens, Appl. Environ. Microbiol., 55, 1136-1143 

  3. Klein, M. G. (1990), Efficacy against Soil Inhabiting Insect Pests, In Entomopathogenic Nematodes in Biological Control, R. Gaugler and H. K. Kaya, Eds., CRC Press, Florida 

  4. Mcinerney, B. V., Gregson, R. O., Lacey, M., Akhurst, R. J., Lyons, G. R., Rhodes, S. H., Smith, D. R., Lutz, J. M. E. and A. H. White (1991), Biologically active metabolites from Xenorhabdus spp., 1. Dithiolopyrrolone derivatives with antibiotic activity, J. Natural Products, 54, 774-784 

  5. Akhurst, R. J. (1980),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dimorphism in Xenorhabdus spp. bacteria symbiotically associated with the insect pathogenic nematodes Neoapletana and Heterorhabditis, J. Gen. Microbiol. 121, 303-309 

  6. Schmidt, T. M., Kopecky, K. and K. H. Nealson (1989), Bioluminescence of the insect pathogen Xenorhabdus luminescens, Appl. Environ. Microbiol. 55, 2607-2612 

  7. Boemare, N. and R. J. Akhurst (1988),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colony form variants in Xenorhabdus spp.(Enterobacteriaceae), J. Gen. Microbiol. 134, 751-761 

  8. Richardson, W. H., Schmidt, T. M. and K. H. Nealson (1988), Identification of an anthraquinone pigment and a hydroxystilbene antibiotic from Xenorhabdus luminescens, Appl. Environ. Microbiol. 54, 1602-1605 

  9. Boemare, N., Laumond, C. and J. Luciani (1982), Occurrence of toxicogenesis by the entomogenous germ free nematode Neoaplectana carpocapsae Weiser in the germ free insect Galleria mellonella L, Comptes Rendus Academy Science Series III: Life Sciences, 295, 543-546 

  10. Bedding, R. A. and A. S. Molyneux (1982), Penetration of insect cuticle by infective juveniles of Heterorhabditis spp.(Heterorhabditidae: Nematoda), Nematologica, 28, 354-359 

  11. Schmidt, T. M., Bleakley, B. and K. H. Nealson (1988), Characterization of an extracellular protease from the insect pathogen Xenorhabdus luminescens, Appl. Environ. Microbiol. 54, 2793-2797 

  12. Ensign, J. C., Bowen, D. J. and S. B. Bintrim (1990), Crystalline inclusion proteins and an insecticidal toxin of Xenorhabdus luminescens strain NC-19, Proceedings and Abstracts, 5th International Colloquium on Invertebrate Pathology and Microbial Control, Adelaidde, 218-221 

  13. Dunphy, G. B. and J. M. Webster (1998), Virulence mechanism of Heterorhabditis heliothidi and its bacterial associate, Xenorhabdus luminescens, in non-immune larvae of the dauer wax moth, Galleria mellonella, Int. J. Parasitol. 18, 729-737 

  14. Hatab, M. A., Gaugler, R. and R. Ehlers (1998), Influence of culture method on Steinernema glaseri lipids, J. Parasitology, 84, 215-221 

  15. Hatab, M. A. and R. Gaugler (1997), Growth-mediated variations in fatty acids of Xenorhabdus spp., J. Appl. Microbiol. 82, 351-358 

  16. Yu, Y. S. (2001),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Bacterial Symbiont from Entomopathogeinc Nematodes, Ph.D. Dissertation, Dept. of Chemical Engineering, Keimyung University 

  17. Akhurst, R. J. and G. Dunphy (1993), Tripartite interactions between symbioticially associated entomopathogenic bacteria nematodes, and their insect hosts, In parasites and pathogens of insects, N. Beckage, S. Thompson, and B. Federich, Eds., Academic Press, New York 

  18. Dunn, P. E. and D. R. Drake (1983), Fate of bacteria injected into nature and immunized larvae of the tobacco hornwood, Manduca sexta, J. Invest. Pathol. 41, 77-85 

  19. Ryu, K. G., Bae, J. S. and S. H. Park (1999), Extracellular protease production from Xenorhabdus nematophilus, a symbiotic bacterium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Biotechnol. Bioproc. Eng. 4, 147-150 

  20. Osterhout, G. J., Shull, V. H. and J. D. Dick (1991), Identification of clinical isolates of gram-negative nonfermentative bacteria by an automated cellular fatty acid identification system, J. Clin. Microbiol. 29, 1822-1830 

  21. Janse, J. D. and P. H. Smits (1990), Whole cell fatty acid patterns of Xenorhabdus species, Lett. Appl. Microbioi. 10, 131-135 (1990) 

  22. Boe, B. and J. Gjerde (1980), Fatty acid patterns in the classification of some representatives of the families Enterobacteriaceae and Vibrionaceae, J. Gen. Microbiol. 116, 41-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