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딸기탄저병의 시기별 발생과 감염경로
Seasonal Occurrence and Infection Site of Strawberry Anthracnose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8 no.1, 2002년, pp.45 - 49  

김승한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최성용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임양숙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윤재탁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최부술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딸기탄저병의 발병특성은 정식 직후 격발하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발병율이 감소하였으며, 11월 이후에는 발병이 감소하였다. 정식 직후에는 주로 런너로 침입하였으나 엽병 제거 후는 제거한 상처부위로 주로 침입을 하였다. 식물체의 부위별로는 런너에서 가장 강한 병원력을 보였으며 접종방법별로는 생장점 부위로 관주를 할 경우 가장 발병율이 높았다. 딸기탄저병에 의해 고사된 포기를 제거한 자리에 건전한 포기를 심었을 경우 옮겨 심은 포기에서는 발병이 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asonal occurrence of strawberry anthracnose in greenhouses caused by Colletotrichum sp. was examined from 1997 through 1999 at three locations, Kyeongju, Goryeong, and Cheongdo in Kyungbuk province, Korea. Also some factors related to the anthracnose infection such as initial infection sites, ino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 다른 가능성으로 육묘 또는 채묘과정 중 탄저병균에 감염되었다가 본포에 정식된 후 발병할 가능성도 있다. 그러므로 본포 정식시 발생하는 딸기탄저병의 방제를 위해서는 정확한 감염경로를 밝히는 것이 우선이므로 딸기탄저병의 전염경로를 밝히고자 수행한 시험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 본 병은 딸기재배시 가장 중요한 병해로 농가에서는 이를 방제하기 위하여 건전한 육묘포를 선별하고 묘 재식 후 육묘기간 중 수회에 걸쳐 약제방제를 실시한다. 채묘 시는 마지막 런너에서 발생한 묘 중 육안 관찰상 건전한 개체를 선발하여 정식하며 정식 후에도 집중적인 약제방제를 실시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grios, G. N. 1997. Plant pathology. 4th edidon. pp.324-331 Academic press, New York, U.S.A 

  2. Bailey, J. A. and Jeger, M. J. 1992. Colletotrichum : Biology, Pathology and Contro1:1-26pp, C . A . B International, Wallingford, England 

  3. Beraha, L. and Wright, W. R. 1973. A new anthracnose of strawberry caused by Colletotrichum dematium. Plant Dis. Rep. 57: 445-448 

  4. Brooks, A. N. 1931. Anthracnose of strawberry caused by Colletotrichum fragaria n.sp. PhytopathoIogy 21: 739-744 

  5. Howard, C. M. and Albregts, E. E. 1984. Anthracnose of strawberry fruit caused by Colletotrichum gIoeosporioides ( C. fragariae). Plant Dis. 67: 1144-1146 

  6. Howard, C. M., Mass, J. L., Chandler, C. K. and Albregts, E. E. 1992. Anthracnose of strawberry caused by the Colletotrichum complex in Florida. Plant Dis. 76: 976-981 

  7. 김완규, 조원대, 이영희. 1992.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Penz.에 의한 딸기탄저병. 한식병지 8: 213-215 

  8. Leandro, L. F. S., Gleason, M. L., Nutter, F. W., Wegulo, S. N. and Dixon, P. M. 2001. Germination and sporulation of Colletotrichum acutatum on symptomless strawberry leaves. Phytopathotogy 91: 659-664 

  9. 남명현, 정석기, 유성준, 서관석, 김홍기. 1998. 국내딸기 탄저병균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와 Glomerella cingulata의 배양적, 병원학적 특성. 한식병지 14: 654-660 

  10. Ntahimpera, N., Madden, L. V. and Willson, L. L. 1997. Effect of rain distribution alteration on splash dispersal of Colletotrichum acutatum. Phytopathotogy 87: 649-655 

  11. 石川成壽. 1990. 土壤中 にお ける イチゴ病の苗 の生存 に及ぼす溫度の影 響. 關東東山病害硏究會年報. 67集 :85-86 

  12. Smith, B. J. and Black, L. L. 1986. First report of Colletotrichum acutatum on strawberry in the United States. Ptant Dis. 70: 1074 

  13. Urena-Padilla, A. R., Michell, D. J. and Legard, D. E. 2001. Oversummer survival of inoculum for Colletotrichum crown rot in buried strawberry crown tissue. Plnt Dis. 85: 750-7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