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리오셀직물의 심지접착에 따른 외관적 성능 및 역학적 특성(II) The Effect of Fusible Interlining on the Appearance related Properties &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Lyocell Fabrics(II)원문보기
In this work, the effect of fusible interlining on the appearance related properties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Lyocell fabric after fusing was investigated. Two different types(20's and 10's) of Lyocell face fabric with six different interlining(by thickness and structure) for earth Lyocell ...
In this work, the effect of fusible interlining on the appearance related properties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Lyocell fabric after fusing was investigated. Two different types(20's and 10's) of Lyocell face fabric with six different interlining(by thickness and structure) for earth Lyocell fabric were examined. In order to establish the optimum fusing condition for the different face fabric and interlining, peel strength of each fused fabric was measured, which was dependent on the fusing temperature, pressure, and time. The characteristics related appearance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each fused fabric were determ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eel strength was excellent, when the fabric was fused with the force of 3kgf/$textrm{cm}^2$ at $120^{\circ}C$ for 15seconds. Flex stiffness, G, 2HG, 2HG5(shear), B, 2HB(bending) of 100% Lyocell fabric 10's were higher than those of 100% Lyocell 20's. Flex stiffness, crease recovery, G, 2HG, B, 2HB of thicker woven interlining were higher than those of thinner woven interlining. Crease recovery of twill interlining were higher than those of plain interlining. In case of shear and bending properties, however, plain interlining was higher than twill interlining. Flex stiffness, crease recovery, G, 2HG, 2HG5, B, 2HB of nonwoven interlining were higher than those of woven interlining. In case of drapability, however, woven interlining was higher than nonwoven interlining.
In this work, the effect of fusible interlining on the appearance related properties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Lyocell fabric after fusing was investigated. Two different types(20's and 10's) of Lyocell face fabric with six different interlining(by thickness and structure) for earth Lyocell fabric were examined. In order to establish the optimum fusing condition for the different face fabric and interlining, peel strength of each fused fabric was measured, which was dependent on the fusing temperature, pressure, and time. The characteristics related appearance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each fused fabric were determ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eel strength was excellent, when the fabric was fused with the force of 3kgf/$textrm{cm}^2$ at $120^{\circ}C$ for 15seconds. Flex stiffness, G, 2HG, 2HG5(shear), B, 2HB(bending) of 100% Lyocell fabric 10's were higher than those of 100% Lyocell 20's. Flex stiffness, crease recovery, G, 2HG, B, 2HB of thicker woven interlining were higher than those of thinner woven interlining. Crease recovery of twill interlining were higher than those of plain interlining. In case of shear and bending properties, however, plain interlining was higher than twill interlining. Flex stiffness, crease recovery, G, 2HG, 2HG5, B, 2HB of nonwoven interlining were higher than those of woven interlining. In case of drapability, however, woven interlining was higher than nonwoven interlining.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김인영 등, 2001)에서 리오셀직물의 특성에 적합한 심지 선정에 도움이 되고자 리오셀직물 에 다양한 심지 접착 시 특성 변화를 리오셀직물의 '혼용률'에 따라 살펴본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 보(김인영 등, 2001)에 이어서 리오셀직물에 다양한 심지 접착 시 특성 변화를 리오셀직물의 '두께'에 따라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겉감으로는 숙녀복 수트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시판 리오셀직물 중 두께가 다른 2종류, 100% 텐셀 20수와 10수를 선정하고, 심지로써는 시판 PA계 접착심지 중 기포 중량(34, 51, 63g/m2)과 기포조직(평직, 능직)을 달리한 직물 심지 5종류와 부직포 심지 1종류를 선정하여, 겉감과 심지에 따른 적합한 접착조건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접착포의 외관적 성능, 역학적 특성을 측정한 후, 이 결과를 비교.
본 연구에서는 리오셀직물, 의복제작시 적합한 심 지선택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전보에 이어서 리오셀직물에 다양한 심지접착시 외관적 성능과 역 학적 특성 변화를 리오셀직물의 '두께 에 따라 비교 .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제안 방법
본 연구에서는 전 보(김인영 등, 2001)에 이어서 리오셀직물에 다양한 심지 접착 시 특성 변화를 리오셀직물의 '두께'에 따라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겉감으로는 숙녀복 수트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시판 리오셀직물 중 두께가 다른 2종류, 100% 텐셀 20수와 10수를 선정하고, 심지로써는 시판 PA계 접착심지 중 기포 중량(34, 51, 63g/m2)과 기포조직(평직, 능직)을 달리한 직물 심지 5종류와 부직포 심지 1종류를 선정하여, 겉감과 심지에 따른 적합한 접착조건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접착포의 외관적 성능, 역학적 특성을 측정한 후, 이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겉감과 심지의 접착을 위해 롤러프래스기(한국화 이브론, H-700D) 를 사용하였으며, 겉감의 경사 방향에 심지의 경사 방향을 맞춰 접착하였다.
겉감의 두께 및 심지 종류에 따른 적정접착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접착조건 즉, 접착온도(100, 110, 120, 130, 140, 150, 160℃), 접착압력(2, 3, 4, 5kgf/ cm2), 접착 시간(5, 10, 15, 20, 2, 30, 35, 40sec)을 각각 독립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접착시킨 후,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의복의 외관적 성능 중심지접착에 의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되는 강 연성, 드레이프 성, 구김회복성을 측정하였다.
6가지 역학적 특성 중심지접착에 의해 변화가 클 것으로 생각되는 전단 특성, 굽힘 특성을 Kawabata Evaluation System for Fabrics (Kato, Tech., Co., Ltd, 이하 KES-FB)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는 사용된 접착 심지의 접착제가 PA 계인 것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PA계 접착심지에 의해 접착된 접착포의 박리 강도는 겉감의 혼용률, 두께 그리고 심지를 구성하는 기 포의 구조와 두께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의 모든 겉감과 심지의 접착조건을 온도 120℃, 압력 3kgf/cm2, 시간 15sec로 설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바이오 가공된 숙녀복 수트용 100% 텐셀 직물 20수와 10수를 선택하였으며, 이들 시료의 특성 은과 같다.
이론/모형
강 연성; KS K(彌에 준하여 플렉스강연성을 측정하였다.
드레이프 성; FRL(Fabric Research Laboratory)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구김회복성 ; KS K0550에 준해 측정하였다.
박리 강도는 KS K 0531에 준해서 인 스트롱 (Universal Testing Machkie Model # 1011, 미국)을 사용하고 물림 간격 3cm, 인장 속도 30cm/min로 하여 경사 방향에서 측정하였다.
성능/효과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착압력과 접착 시간은 3kgf/cm2, 15sec에 고정시키고. 접착온도에 따른 박리강도를 측정한 결과, 모든 접착포의 박리 강도가 120℃까지는 접착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점차 증가하지만 120℃가 넘어가면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보(김인영 등, 2001)에서도 언급했던 바와 같이 접착심지에 사용된 PA계 접착제의 영향으로, PA계 접착제는 120℃에서 완전히 녹아서 최대의 접착력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Fig. 5~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착온도와 접착 압력은 120℃, 3kgf/cm2°l] 고정시키고 접착시간에 따른 박리강도를 측정한 결과, 15sec까지는 접착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지만 15sec보다 접착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7~8>은 겉감의 두께 및 다양한 심지에 따른 접착포의 플렉스강연성(이하 강연성이라 함)을 경 . 위사방향으로 측정한 결과로, 모든 접착포의 강 연성은 겉감보다 현저히 증가하였다.
직물심지 의 조직에 따른 강연성의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직물심지와 부직포심지 접착 시 강연성을 비교하면, 부직포심지 접착 시 현저히 뻣뻣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물심지와 부직포심지 접착 시 드레이프 계수를 비교하면 부직포심지 접착 시 큰 값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접착포는 직물심지의 중량이 가벼울수록, 부직포심 지보다는 직 물심 지접 착시 드레이프 성 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직물심지의 조직에 따른 구 김회복성은 평직보다는 능직의 심지 접착 시 우수하였다. 직물심지와 부직포심지 접착 시 구김회복성을 비교하면, 직물심지 접착 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텐셀직물의 심지 접착 시 외관적 성능은 겉감 두께 10수, 20수의 변화보다는 심지의 특성변화에 민감하게 영향받는 것으로 생각되며, 리오셀직물에 의한 의복제작시 심지선정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다.
직물심지와 부직포심지 접착 시 구김회복성을 비교하면, 직물심지 접착 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텐셀직물의 심지 접착 시 외관적 성능은 겉감 두께 10수, 20수의 변화보다는 심지의 특성변화에 민감하게 영향받는 것으로 생각되며, 리오셀직물에 의한 의복제작시 심지선정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다.
12~14>에서 겉감의 두께변화에 따른 접착 포 G, 2HG, 2HG5를 비교분석하면, 모든 전단특성이 20수<10수로, 두꺼운 겉감에서 큰 값을 나타내었다. 직물심지의 두께변화에 따른 접착포의 전단특성 중 G, 2HG 는 Fill < F1I2 < F1I3, F2I1 < F2I2 < F2I3 로, 심지의 두께가 증가할수록(커버펙터가 증가할 수 록) 큰 값을 나타내었고, 완IG5는 거의 차이를 나타 내지 않았다. 직물심지의 조직에 따른 전단특성은 능직보다 평직의 심지접착시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물심지보다는 부직포심지접착시 전단강성이 현저 히 크게 나타났다.
직물심지의 두께변화에 따른 접착포의 전단특성 중 G, 2HG 는 Fill < F1I2 < F1I3, F2I1 < F2I2 < F2I3 로, 심지의 두께가 증가할수록(커버펙터가 증가할 수 록) 큰 값을 나타내었고, 완IG5는 거의 차이를 나타 내지 않았다. 직물심지의 조직에 따른 전단특성은 능직보다 평직의 심지접착시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물심지보다는 부직포심지접착시 전단강성이 현저 히 크게 나타났다.
직물심지의 두께변화에 따른 접착포의 전단특성 중 G, 2HG 는 Fill < F1I2 < F1I3, F2I1 < F2I2 < F2I3 로, 심지의 두께가 증가할수록(커버펙터가 증가할 수 록) 큰 값을 나타내었고, 완IG5는 거의 차이를 나타 내지 않았다. 직물심지의 조직에 따른 전단특성은 능직보다 평직의 심지접착시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물심지보다는 부직포심지접착시 전단강성이 현저 히 크게 나타났다.
직물심지의 두께변화에 따른 접착포 B, 2HB도 Fill < F1I2 < F1I3, F2I1< F2I2< F2I3 즉, 심지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큰 값을 나타내었다. 직물심지의 조직에 따른 전단특성은 능직보다 평직의 심지접착시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물심지보다는 부직포심 지접착시 전단강성이 현저히 크게 나타났다.
1. 박리강도는 접착온도 120℃, 접착압력 3kgf/cm2, 접착시간 15sec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2. 텐셀 100%직물 10수가 20수보다 여러 종류의 심지 접착시 강연성, 전단특성, 굽힘특성에서 큰 값을 나타내었고. 드레이프성, 구김회복성에서는 거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직물심지의 두께변화에 따라 살펴보면 강연성, 구김회복성, G, 2HG, B, 않IB는 심지가 두꺼울수록 큰 값을 나타내었고, 드레이프계수와 와IG5는 거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4. 직물심지의 조직에 따라서 살펴보면 구김회복 성의 경우는 평직보다 능직의 심지 접착시 큰 값을 나타내었고 전단특성, 굽힘특성의 경우 평직심지의 접착시 큰 값을 나타내었다. 강연성, 드레이프계수는 거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5. 직물심지와 부직포심지접착시를 비교하면, 강 연성, 드레이프계수, 구김회복성, 굽힘특성, 전단특성 모두 부직포심지접착시 큰 값을 나타내었다.
참고문헌 (13)
김인영, 오수민, 송화순(1999). 텐셀직물의 바이오-유연가공에 의한 물성변화(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3(1), 14
G. Ortlepp, E. Beckmann, K. P. Mieck (1997). Fibrillated Lyocell Filament A Basis for New Yarn Structures. Fiber Tables, 47, 14
K. P. Mieck, M. Nicolai, A. Nechwatal (1995). Contribution to the judgement of fibrillability of cellulosic fibers. Chemical Fibers International (CFI), 45, 44
K. Kanayama & M. Niwa (1986). Mechanical Behavior of the Composite Fabric Reinforced by Fusible Interlining. Objective specification of fabric qua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and performance, 347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