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약용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 Thunberg)의 다양한 이용도를 높이고자 일반성분과 영양성분을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영양성분분석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사철쑥의 성분은 조단백질 14.12%, 조지방 4.80%, 조회분 2.30%, 조섬유소 8.10%이었으며, 무기질 함량은 K 3295.02 mg%, P2787.01 mg%, Ca 1436.01 mg%, Mg 172.32 mg%, Fe 21.23 mg%, Mn 18.02 mg%, Na 8.11 mg%, Cu 1.24 mg%, Sn 0.002 mg%이었고, 비타민은 $\beta$-carotene 18602.00 mg%, ascorbic acid 5.82 mg%이 었다. 사철쑥에서 가장 많이함유되 어 있는 지방산은 oleic acid( $C_{18:1}$)로 23.86%였으며, 포화지방산이 46.67%, 단일불포화지방산이 33.40%, 다가불포화지방산이 19.83%, P/S는0.42로 나타났다. 20여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된 사철쑥의 총아미노산 함량은 1345.29 mg%이고, 아미노산 중 proline, tyrosine, asparagine, glutamic acid 및 valine이 각각 438.58 mg%, 310.20 mg%, 120.30 mg%, 118.66 mg%, 88.02 mg%으로 79.95%를 차지하며, 필수아미노산은 176.83 mg%으로 13.11% 함유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사철쑥은 일반성분, 무기질, 비타민 및 지방산, 아미노산 등이 다양하게 함유되어 있다. 이는 사철쑥이 식품으로서 영양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capillaris Thunberg is often used as a medicinal herb. This analysis on A. capillaris Thunberg, showing its natural ingredients and nutritive elements, is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its content and help find more various ways of use. The ingredients of A. capillaris Thunberg are as fo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요약

    약용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 Thunberg)의 다양한 이용도를 높이고자 일반성분과 영양성분을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영양성분 분석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사철쑥의 성분은 조단백질 14.

  • 주로 약용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사철쑥은 전국에 널리 분포되어 있고 쉽게 채취할 수 있기 때문에 사철쑥의 이용도를 넓히는 것은 자원 효율성을 높이는 좋은 방법이기도 하다. 이에 사철쑥의 다양한 이용 시점에서 일반성분, 무기질, 비타민 및 지 방산, 아미노산 등을 분석하여 정확하고 다양한 영 양성 분 분석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Yoo HG. 2000. Allelopathic effects of essential oils of some plant species in Artemisia on selected plants and microbes. PhD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2.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996.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Special education press, Seoul, Korea. p 90-91 

  3. Sim YJ, Han YS, Chun HJ. 1992.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mugwort Artemisia mongolica Fischer.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49-53 

  4. Lee SD, Park HH, Kim DW, Bang HB. 2000. Bioactive constituents and utilities of Artemisia sp. as medicinal herb and foodstuff. Korean J Food & Nutr 13: 490-505 

  5. Ahn JM. 1988. Studies on the herb that make practical application of foods.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6. Sim YJ, Paik JE, Chun HJ. 1991. A study on the texture characteristics of ssooksulgis affected by mugworts. Korean J Soc Food Sci 7: 35-43 

  7. Chung KM. 1993. Effects of mugwort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paste and gel of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626-631 

  8. Kim TJ. 1996. Korean resources plants Ⅳ.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Seoul. p 260-267 

  9. Song YE, Kim JS, Kim CS, Jang K, Oh DH, Han JH. 1999. Studies on methods extraction in Artemisia iwayomogi. Komp 7: 183-188 

  10. Kim SM. 1986. Amino acid analysis and effect of Artemisia sp. in rat blood.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1. Hwang EJ, Kwon HC, Jung CM, Moon HI, Kim SY, Zee OP, Lee KR. 1999. Characterization of polysaccharides from Artemisia capillaris and Artemisia sylvatica. Yakhak Hoeji 43: 423-428 

  12. Kimura Y, Okuda H, Okuda T, Hatano T, Agata I, Arichi S. 1985. Studies on the activities of tannins and related compounds from medicinal plants and drugs. Ⅶ Effects of extracts of leaves of Artemisia species and caffeic acid and chlorogenic acid on lipid metabolic injury in rats fed peroxidized oil. Chem Pharm Butl 33: 2028-2034 

  13. Cho MK, Choe SY, Hong SM, Kim BS. 1998. Effects of scoparone on liver func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344-349 

  14. Kim EJ, Lee CK, Choi JW. 1992. The effect of scoparone on the hepatic bromobenzene metabolizing enzyme system in rats. Kor J Pharmacogn 23: 81-88 

  15. Rim SN. 1995. Studies on the biological activities Artemisia. MS Thesis. Yonsei Uuniversity 

  16.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999. Food Standard Code. p 1-475 

  17. AOAC. 198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Virginia. p 431 

  18. Yu R, Kim JM, Han IS, Kim BS, Lee SH, Kim MH, Cho SH. 1996. Effects of hot taste preference on food intake pattern, serum lipid an antioxidative vitamin levels in Korean college stud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338- 340 

  19. Quin LD, Hobbs ME. 1958. Analysis of the nonvolatile acid in cigarette smoke by gas chromatography of their methyl esters. Analytical Chem 30: 1400-1404 

  20. Park JH. 1996. Studie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leaves in domestic tea plants. J Kor Tea Soc 2: 119-127 

  21. Tarr GE. 1986. Methods of protein microcharacterization. Humana Press, Clifton NJ. p 155-194 

  22. Rho TH, Seo GS. 1993. Growth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mponents in local collections of Artemisia sp..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 171-177 

  23. Rho TH, Seo GS. 1994. Growth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chemical components in early cultured Artemisia sp..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 95-100 

  24. Rho TH, Lee JC, Lee KS, Shim JS. 1994. Component comparision of Artemisia selengensis and Artemisia sp. for Artemisia selengensis utilization.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 174-179 

  25. Chung KM, Lee WJ. 1997. Properties of starch gels mixed with mugwort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693- 699 

  26. Haw IW, Lee SD, Hwang WI. 1985. A study on the nutritional effects in rats by feeding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mugwort powder. J Korean Soc Food Nutr 14: 123- 130 

  27. Lee SD, Park HH. 2000. Effects of feeding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mugwort powder on the serum components in rat. Korean J Food & Nutr 13: 446-452 

  28. Rural development admistration. 1981. Farm village inservice nutrition education institute. Food composition table. p 1-149 

  29. Helen LC, Howard CH. 1978. Environmental geochemistry in health and disease.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Inc 

  30. Lee HS, Kim YN. 1997. Beta-carotene and lutein contents in green leafy vegetables. J East Asian of Diet Life 7: 175- 180 

  31. Bureau JL, Bushway RJ. 1986. HPLC determination of carotenoids in fruits and vegetables in the United States. J Food Sci 51: 128-130 

  32. Kim DW, Choi KJ. 1985. Changes in compositions of fatty acids according to drying methods of mugwort (Artemisia asiatica Nakai). J Korean Soc Food Nutr 14: 95-98 

  33. Hwang JB, Yang MO, Shin HK. 1998. Survey for amino acid medicinal herb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35-41 

  34. 太田靜行. 1976. 食品調味論. p 146-150 

  35. 小保靖. 1969. 食品成分と味. 日食工誌 16: 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