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증점안정제로 사용한 Xanthan Gum첨가가 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as Affected by the Addition of Xanthan Gum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1 no.3, 2002년, pp.423 - 427  

박우포 (마산대학 식품과학계열)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배추김치를 만들 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찹쌀풀이나 밀가루풀이 아닌 xanthan gum을 증점안정제로 첨가하여 숙성중 품질 특성을 측정한 결과 xanthan gum을 첨가한 시험구는 김치 담금 직후 및 숙성 중에 대조구보다 다소 높은 pH를 나타내었다. 숙성 15일까지는 xanthan gum을 0.3% 첨가한 시 험구의 pH가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에는 0.5%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적정산도는 xanthan gum을 첨가한 시험구가 대조구보다 대체적으로 적정산도가 낮았다 Xanthan gum 첨가구 중에서는 숙성 20일 경에 0.5% 첨가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낮은 적정산도를 나타내었다. 김 치가 숙성됨에 따라 환원당의 함량도 감소하였으며, xanthan gum을 첨가한 시험구는 대조구보다 높은 환원당 함량을 나타내었다. 숙성 10일가지는 총균수가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대체적으로감소하였으며, 10일 숙성된 김치 여과액의 점도는 xanthan gum을 0.5% 첨가한 시험구가 대조구보다 8배 이상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시 김치의 색갈 및 냄새는 xanthan gum을 첨가한 시험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맛은 대조구, xanthan gum 0.1%, 0.3% 첨가구가 같은 점수를 얻었으며, 0.5% 첨가구는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Xanthan gum (XG) was investigated for use as a thickening and stabilizing agent in 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10$\^{C}$. The mixing ratios of XG to salted Chinese cabbage were 0.1, 0.3 and 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such as pH, titratable acidity, reducing sugar content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밀가루 풀이나 찹쌀풀이 아니면서도 이들이 가지는 특성을 보유한 xanthan gum을 배추김치 제조기에 첨가하고 김치를 숙성하면서 이들이 김치의 숙성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o JS, Hwang SY. 1988. Standardization of kimchi and related products (2). Korean J Dietary Culture 3: 301-307 

  2. No HK, Lee SH, Kim SD. 1995. Effects of ingredients on fermentation of Chinese cabbage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4: 642-650 

  3. Cheigh HS, Park KY. 1994. Bi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nutritional aspects of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products). Criv Rev Food Sci Nutr 34: 175-203 

  4. Park KY. 1995.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4: 169-182 

  5. Kim SH. 1991. Comutagenic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kimchi components. 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6. Ha JO. 1997 Studies on the developments of functional and low sodium kimchi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alts. 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7. Jang MS, Park MO. 1998. Effect of glutinous rice paste on the fermentation of puchu kimchi. Korean J Soc Food Sci 14: 421-429 

  8. Lee GC, Han JA. 1998. Changes in phys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starchy pastes 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14: 195-200 

  9. Lee GC, Han JA. 1998. Changes in contents of total vitamin C and reducing sugars of starchy pastes 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14: 201-206 

  10. Kim HY, Kim BC, Kim MR. 2001.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kakdugi added with various thickening agents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30: 1060-1067 

  11. Lee IS, Park WS, Koo YJ, Kang KH. 1994. Changes in some characteristics of brined Chinese cabbage of fall cultivar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39-245 

  12. Kim MK, Kim SY, Woo CJ, Kim SD. 1994. Effect of air controlled fermentation on kimchi quality. J Korean Soc Food Nutr 23: 268-273 

  13.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14. Park WP, Lee SC, Bae SM, Kim JH, Lee MJ. 2001. Effect of enoki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30: 210-214 

  15. Lee MJ, Kim HS, Lee SC, Park WP. 2000. Effects of sepiae os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29: 592-596 

  16. Hong WS, Yoon S. 1989. The effects of low temperature heating and mustard oil on the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331-3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