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산 프로폴리스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Korean Propoli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22 no.1, 2002년, pp.66 - 71  

이수원 (성균관대학교 생명공학부) ,  황보식 (성균관대학교 생명공학부) ,  김희재 (한국식품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예천산 프로폴리스는 ethanol과 butanol 분획물이 S.typhimurium과 B. subtilis에 강한 항미생물 활성을 보였으며, 용매별로는 butanol, ethyl acetate, chloroform 분획물의 순이었다. C. utilis와 A. niger에는 모든 분획물이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농도별 균생육 억제 시험 결과, E. coli의 경우 예천산은 0.4mg/ml에서 초기에 균증식이 억제되었으며 영월은 0.25mg/ml에서 12시간 이후 균증식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S. aureus의 경우, 영월과 예천산 프로폴리스가 0.25와 0.30mg/ml에서 완전히 균증식을 억제시켰다. P. aeruginosa의 경우, 예천산 프로폴리스는 0.20mg/ml에서 12시간 이후 균생장 억제를 보였으며, 영월산 프로폴리스는 0.20mg/ml에서 균생장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S. typhimurium의 경우, 영월산은 0.20, 0.25mg/ml에서 균증식이 거의 억제되었으며, 예천산은 0.40mg/ml에서 균증식이 거의 억제되었다. MIC는 예천산 프로폴리스가 P. aeruginosa가 >0.2mg/ml로 가장 낮았고 S. aureus 0.25mg/ml, S. typhimurium > 0.35mg/ml 순이었다. 영월산은 P. aeruginosa가 0.15mg/ml로 가장 낮았으며 E. coli, S. aureus 및 S. typhimurium이 0.25mg/ml, B. subtilis 와 C. utilis는 각각 0.3, 0.4mg/ml 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extraction solvent, ethanol fraction was reveale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ies. The butanol, ethyl acetate and chloroform fractions were also revealed anti-microbial activities with less extent compared to ethanol fraction. All fractions exhibited to inhibition of bacterial growth regar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프로폴리스는 각종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이 높은 것이 입증되어 있으나, 국내산 프로폴리스에 대한 항균 작용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북 예천과 강원도 영월에서 채취한 프로폴리스를 이용하여 식품의 부패와 관련된 미생물에 대한 항균작용을 검토하여, 식품에 대한 천연 보존료나 병원성 미생물의 살균제를 개발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e, H. D., Mcallister, T. A., Yanke, L. J., Cherag, K. J. and Muir, A. D. (1993) Effects of condensed tannins on endoglucanase activity and filter paper digestion by Fibrobacter succinoeenes 585. Appl. Environ. Microbiol,. 59, 2132 

  2. Barry, T. N. and Manley, T. R. (1986)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concentrations of total condensed tannin, free condensed tannin and lignin in Lotus sp. and their possible consequences in ruminant nutrition. J. Sci. Food Agric., 37, 248 

  3. Bogdanov, S. (1984) Characterization of antibacterial substances in honey. Lebens Wiss Technol., 17, 74 

  4. Grange, J. M. and Davey, R. W. (1990) Antibacterial properties of propo1is(bee glue). J. R. Soc. Med., 83, 159 

  5. Grzybowski, R. and Szewczyk, A. (1987) Effect of propolis on growth of some kinds of microorganisms. Przemysl Spozywczy, 41, 15 

  6. Kim, J. R., and Kim, Y. J. (1997) The determination of MIC of antimicrobial agents in gram negative bacilli with E test. Kyemyung Uni, 16, 195 

  7. Kivalkina, V. P. and Bukarkova, E. L. (1978) Propolis impact on the immunogenesis in tehcase of immunization with tetanic anatoxin. Propolis. Apimondia Publishing House, p. 104 

  8. Lavie, P. (1978) The antibiotic from propolis. Propolis. Apimondia Publishing House, p. 41 

  9. Lindenfelser, L. A. (1967) Antimicrobial activity of propolis. American Bee J., 107, 90 

  10. Lee, S. W., Kim, H. J., and Hwangbo, S. (2001) Studies o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ropolis. Korean J. Food Sci. Ani Reaour, 21. 4 

  11. Makashvili, Z. A. (1978) The characteristics of Georgian propolis. Propolis. Apimondia Publishing House, p. 34 

  12. McAllister, T. A., Bae, H. D,. Yanke, L. J., Cheng, K. J. and Muir, A. D. (1994) Effect of condensed tannins from birdsfoot trefoil on endoglucanase activity and the digestion of cellulose filter paper by ruminal fungi. Appl. Environ. Microbiol., 60, 119 

  13. Palmbakhaz, S. E. and Popravko, S. A. (1978)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 activity of propolis. Propolis. Apimondia Publishing House, p. 27 

  14. Scheller, S., Tustanowski, J. and Paradowski, Z. (1987) Comparative study on the staphylococcus sensitivity to propolis and to antibiotics. Propolis. Apimondia Publishing House, p. 51 

  15. Sugimoto, T. (1993) Biological activites of propolis. Food Tech. p. 65 

  16. Takino, Y. and Mochida, S. (1982) Propolis, its chemical constitu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Honeybee Sci., 3, 145 

  17. Ulyatt, M. J., Lancashire, J. A. and Jones, W. T. (1977) The nutritive value of legumes. Proc. New Zealand Grassland Asso., 38, 107 

  18. Vakhonina, T. V. (1978) Spur elements of propolis and their bactericidal value. Propolis. Apimondia Publishing House, p. 48 

  19. Waghorn, G. C., John, A., Jones, W. T. and Shelton, I. D. (1987) Nutritive value of Lotus corniculatus L. containing low and medium concentrations of condensed tannins for sheep. Proc. NewZealand Soc. Ani. Prod., 47, 25 

  20. Wollenweber, E., Hausen, B. M. and Greenway, W. (1990) Phenolic constituents and sensitizing properties of propolis, Poplar balsam and balsam of Peru. Bull. Groupe Polyphenols, 15, 1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