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중자망의 망목 선택성 및 적정망목을 추정하기 위하여 강원도 주문진 해역에서 2000년 8월 10~13일, 11월 9~13일 (18회), 부산 수영만에서 2001년 6월 1일~27일(21회), 시험조업을 행하였다. 또한 주문진 해역에서는 60, 75, 90 105, 135, 150, 180mm의 7가지의 삼중자망으로 조업하였고, 수영만에서는 60, 75, 90mm의 삼중자망과 홑자망으로 비교실험을 행하였다. 망목 선택성 곡선의 분석은 전체 어획량의 약 60%를 차지하는 물가자미(Eopsetta grigorjewi) 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Master curve의 다항식이 포함된 Kitahara(1968)방법을 사용하여 작성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 어획미수는 삼중자망이 2,331미였고, 홑자망이 1,433미였으며, 가자미류가 59.8%~60%였다. 2. 최적 l/m값은 삼중자망이 2.56이었으며, 흩자망이 2.47로 삼중자망이 약 0.1 정도 크게 나타났다. 3. 50% 선택구간은 삼중자망이 1.88~3.36(1.48)로 나타났으며, 홑자망은 2.00~3.02(1.02)로 삼중자망이 약 1.5배 정도 넓게 나타났다. 4. 가자미의 최소성숙체장 265mm에 대한 적정망목은 삼중자망이 약 141mm, 홑자망이 약 132mm로 삼중자망이 약 10mm 정도 크게 나타났다. 5. 적정망목을 사용했을 경우 50% 선택 체장범위는 삼중자망이 265mm~474mm, 흩자망이 265mm~398mm로 삼중자망의 체장범위가 76mm 정도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삼중자망의 망목 선택성 및 적정망목을 추정하기 위하여 강원도 주문진 해역에서 2000년 8월 10~13일, 11월 9~13일 (18회), 부산 수영만에서 2001년 6월 1일~27일(21회), 시험조업을 행하였다. 또한 주문진 해역에서는 60, 75, 90 105, 135, 150, 180mm의 7가지의 삼중자망으로 조업하였고, 수영만에서는 60, 75, 90mm의 삼중자망과 홑자망으로 비교실험을 행하였다. 망목 선택성 곡선의 분석은 전체 어획량의 약 60%를 차지하는 물가자미(Eopsetta grigorjewi) 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Master curve의 다항식이 포함된 Kitahara(1968)방법을 사용하여 작성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 어획미수는 삼중자망이 2,331미였고, 홑자망이 1,433미였으며, 가자미류가 59.8%~60%였다. 2. 최적 l/m값은 삼중자망이 2.56이었으며, 흩자망이 2.47로 삼중자망이 약 0.1 정도 크게 나타났다. 3. 50% 선택구간은 삼중자망이 1.88~3.36(1.48)로 나타났으며, 홑자망은 2.00~3.02(1.02)로 삼중자망이 약 1.5배 정도 넓게 나타났다. 4. 가자미의 최소성숙체장 265mm에 대한 적정망목은 삼중자망이 약 141mm, 홑자망이 약 132mm로 삼중자망이 약 10mm 정도 크게 나타났다. 5. 적정망목을 사용했을 경우 50% 선택 체장범위는 삼중자망이 265mm~474mm, 흩자망이 265mm~398mm로 삼중자망의 체장범위가 76mm 정도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fiel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for the mesh selectivity in trammel net and optimum mesh size, during Aug. 10~13, Non 9~13 2000 in Jumunjin, Kangwon-Do and during Jun. 1~27 2001 in Suyong-Bay, Busan. The experiments in Jumunjin area were conducted by using trammel nets with seven d...
The fiel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for the mesh selectivity in trammel net and optimum mesh size, during Aug. 10~13, Non 9~13 2000 in Jumunjin, Kangwon-Do and during Jun. 1~27 2001 in Suyong-Bay, Busan. The experiments in Jumunjin area were conducted by using trammel nets with seven different mesh sizes (60, 75, 90, 105, 135, 150, 180mm) and those in Suyong-Bay were done by using trammel nets and gill nets with three different mesh sizes (60, 75, 90mm) in order to compare two types of nets of same structure. The mesh selectivity analysis was done mainly with flat fish(Eopsetta grigorjewi) that was occupied 60% out of total catches. And the mesh selectivity was written by extension of Kitahara's method included master curve with function type.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otal number of catch by, trammel net was 2,331 and that of gill net was 1,433, and flat fishes occupied 59.8 ~60% in total catches. 2. The value of optimum l/m by, trammel net was higher about 0.1 than that of gill net according as trammel net was 2.56, and gill net was 2.47. 3. The 50% selection range by, trammel net was wider about 1.5 time than that of gill net according as trammel net was 1.88~3.36(1.48) and gill net was 2.00~3.02(1.02). 4. The optimum mesh size(OMS) was estimated that trammel net was about 141mm and gill net was about 132mm on first maturity length(FML) 265mm of flat fish. 5. On the optimum mesh size based on the first maturity length of flat fish, The 50% range by, trammel net was wider about 76mm than that of gill net according as trammel net was 265 mm~474mm and gill net was 265mm~398mm.
The fiel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for the mesh selectivity in trammel net and optimum mesh size, during Aug. 10~13, Non 9~13 2000 in Jumunjin, Kangwon-Do and during Jun. 1~27 2001 in Suyong-Bay, Busan. The experiments in Jumunjin area were conducted by using trammel nets with seven different mesh sizes (60, 75, 90, 105, 135, 150, 180mm) and those in Suyong-Bay were done by using trammel nets and gill nets with three different mesh sizes (60, 75, 90mm) in order to compare two types of nets of same structure. The mesh selectivity analysis was done mainly with flat fish(Eopsetta grigorjewi) that was occupied 60% out of total catches. And the mesh selectivity was written by extension of Kitahara's method included master curve with function type.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otal number of catch by, trammel net was 2,331 and that of gill net was 1,433, and flat fishes occupied 59.8 ~60% in total catches. 2. The value of optimum l/m by, trammel net was higher about 0.1 than that of gill net according as trammel net was 2.56, and gill net was 2.47. 3. The 50% selection range by, trammel net was wider about 1.5 time than that of gill net according as trammel net was 1.88~3.36(1.48) and gill net was 2.00~3.02(1.02). 4. The optimum mesh size(OMS) was estimated that trammel net was about 141mm and gill net was about 132mm on first maturity length(FML) 265mm of flat fish. 5. On the optimum mesh size based on the first maturity length of flat fish, The 50% range by, trammel net was wider about 76mm than that of gill net according as trammel net was 265 mm~474mm and gill net was 265mm~398mm.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에서는 연중조업을 하는 가자미 삼중 자망을 대상으로 망목선택성과 어획성능을 분석하고, 홑자망과의 비교 시험을 통해 삼중자망의 치자어 남획 및 혼획문제, 그리고 적정망목 등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러나 자망의 대상어종 및 본 연구의 대상 어종인 가자미류에 대해서는 규정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는 상품성이 있는 체장을 어획하기 위한 것이라기 보다는 금지어구인 삼중자망의 치자어 남획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그 정도와 자원관리의 측면에서 적정망목을 추정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g는 망목 선택성곡선의 최대점에서의 어획 효율을 나타내고 침적시간, 어구의 구성 등 조업 조건과 관련하며, 체장과는 무관한 요소로서 사용 어구의 구조 및 조업 조건이 동일한 경우 대개 상수 (<?= 1)로 가정한다.
제안 방법
시험어구는 삼중자망과 흩자망을 각각 제작하였으며, 어구의 구조에 따르는 어획효율을 감안하고, 동일 조건에서 비교 실험을 행하기 위해 그 구조를 서로 동일하게 하여 제작하였다.
2. 시험방법
시험조업은 어획강도가 비교적 크고 타 업종 간의 분쟁이 심한 강원도 주문진 해역과 시험조업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부산의 수영만에서 실시하였으며, 삼중자망 중, 비교적 어획량이 많은 가자미류를 주 대상으로 시험조업을 하였다. 조업 기간, 조업위치 및 조업시간은 Table 2와 같다.
2의 (a)와 같은 배열로 각각 2조를 구성하여 조업을 하였다. 조업은 1일 1회 행해졌으며, 출어는 새벽 4시경에 하여 전날 투망한 어구 1조를 먼저 양망한 후 출어전에 선적해둔 어구 1조를 투망하고 귀항하는 조업의 형태를 가졌으며, 시험조업과 어민들의 조업이 병행되었다. 이 지역의 어선들은 항해장비를 비롯하여 어로 장비가 대부분 장착되어 있었으며, 사이드롤러와 양망 롤러를 이용하여 양망에 효율성을 기여하였고, 투망은 선미 거치대 등을 이용하여 투망하였다.
조업은 1일 1회 행해졌으며, 출어는 새벽 4시경에 하여 전날 투망한 어구 1조를 먼저 양망한 후 출어전에 선적해둔 어구 1조를 투망하고 귀항하는 조업의 형태를 가졌으며, 시험조업과 어민들의 조업이 병행되었다. 이 지역의 어선들은 항해장비를 비롯하여 어로 장비가 대부분 장착되어 있었으며, 사이드롤러와 양망 롤러를 이용하여 양망에 효율성을 기여하였고, 투망은 선미 거치대 등을 이용하여 투망하였다.
시험어구의 배치는 Fig. 2의 (b)와 같이 각각의망지 2폭을 무작위로 배열하여 어획물 자료의 신뢰성을 높였으며, 조업어선은 0.98톤의 연안 유자망 어선을 이용하여 조업하였고, 어선의 구조상 선현에서 투 . 양망을 하며, 특별한 어로기기나 장비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순수 인력으로 조업을 하였다.
98톤의 연안 유자망 어선을 이용하여 조업하였고, 어선의 구조상 선현에서 투 . 양망을 하며, 특별한 어로기기나 장비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순수 인력으로 조업을 하였다. 이 해역에서의 시험조업은 관련 법제 상의 문제를 고려하여 관계 기관에 '어업허가 및 신고 등에 관한 규칙'에 의거하여 연구 .
이 해역에서의 시험조업은 관련 법제 상의 문제를 고려하여 관계 기관에 '어업허가 및 신고 등에 관한 규칙'에 의거하여 연구 . 교습어업의 허가 절차를 거쳐 시험조업을 행하였다. 조업은 1일 1회 행해졌으며, 출어는 새벽 4시경에 하여 전날 투망한 어구를 먼저 양망하고, 출어전에 선적해둔 어구를 투망하였으며, 어획물은 양망과 동시에 분리하거나 조업의 여건에 따라 귀항하여 작업하기도 하였다.
어획물은 각각의 망목별로 분류하여 전수 조사를 행하였다. 어획물은 종류별로 분류한 후 어종에 따라 전장, 가랭이체장, 표준체장 등을 측정하였으며, 시험의 대상 어종인 가자미는 전장(Total Length)을 측정하였다.
행하였다. 어획물은 종류별로 분류한 후 어종에 따라 전장, 가랭이체장, 표준체장 등을 측정하였으며, 시험의 대상 어종인 가자미는 전장(Total Length)을 측정하였다.
최소성숙체장(FML : First Maturity Length) 에대해 50%의 선택률을 가지는 망목을 적정망목 (OMS : Optimum Mesh Size)으로 하고, 선택성곡선의 50%선택점에 최소성숙체장을 대입하여 적정 망목을 계산하였다.
어획 선택성의 분석에서는 60㎜, 75㎜, 90㎜망목 이외의 망지에는 어획미수가 극히 적어, 선택성 추정이 불가능하였으며, 60㎜, 75㎜, 90 ㎜ 망목을 대상으로 어획 선택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 대상어종인 가자미류는 총 어획 미수 중 약 60.1%의 어획률을 보였으며, 가자미류 중 90%이상의 어획량을 보인 물가자미 (Eopsetta grigorjewi)에 대해 체장분포 및 선택성 분석을 하였으며, 망목별 체장계급에 따른 어획미수는 Fig. 4 및 Table 4와 같다.
대상 데이터
삼중자망은 지역이나 어구를 운용하는 어업자의 경험과 조업 해역의 해황에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정해져 있는 어구의 설계 기준은 없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시험 어구는 삼중자망이 비교적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강원도 주문진 해역에서 가자미를 대상으로 사용되는 현용 어구를 기준으로 제작하였고, 그 설계도는 Fig. 1과 같다.
주문진 해역에서의 시험조업은 주문진어촌계의 연안 유자망 1.8~2톤급 어선 2척을 사용하였으며, 시험어구는 Fig. 2의 (a)와 같은 배열로 각각 2조를 구성하여 조업을 하였다. 조업은 1일 1회 행해졌으며, 출어는 새벽 4시경에 하여 전날 투망한 어구 1조를 먼저 양망한 후 출어전에 선적해둔 어구 1조를 투망하고 귀항하는 조업의 형태를 가졌으며, 시험조업과 어민들의 조업이 병행되었다.
이론/모형
망목 선택성 곡선은 Kitahara(1968)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이 방법은 기본적으로 Ishida(1962) 방법과 동일하나, 식 (1)과 같이 선택성 곡선을의 함수로 표현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망목 크기에 대한 선택성을 하나의 Master curve인 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때 다항식의 파라메터는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각각 구하였다.
6. Master curve of mesh selectivity of the trammel net for flat fish, by Kitahara's method.
9. Master curve of mesh selectivity of the gill net for flat fish, by Kitahara's method.
10. Comparison Master curve of mesh selectivity of the trammel net and the gill net for flat fish, by Kitahara's method.
성능/효과
어획 어종의 수에 있어서는 삼중자망이 약 30여 종, 홑자망이 약 20여 종으로 삼중자망의 혼획 비율이 약 1.5배로 나타났다.
강원도 주문진 해역과 부산 수영만에서의 시험조업 결과는 삼중자망에서 약 30여 종의 어종이 어획되었으며, 총 어획미수는 2, 331미였고, 홑 자망에 서는 총 17여 종이 어획되었으며, 총 어획 미수는 1, 433미가 어획되었다. 삼중자망의 경우는 내 망의 망목의 크기가 60㎛에서 180㎛로 커짐에 따라 총어획미수가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주문진 해역에서는 전형적으로 망목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어획미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수영만의 경우는 조업어장의 오염도가 심하여 어구의 훼손이 잦았고, 그로 인한 어자원의 분포 밀도 및 어구에 대한 시인도 등도 달라져 주문진 해역에 비해 망지별 어획 분포가 다소불규칙적이었으며, 어획어종의 수는 해역의 특성상 수치적으로 차이가 나기도 하였으나, 선택 성을 추정하는 데는 문제가 없었다. 최대 어획량을 보인 체 장계 급은 150㎜와 170㎜였다.
흩자망의 시험 조업 결과는 약 20여 종의 어종이 어획되었으며, 총 어획미수는 1, 433미였다.
어종별 어획 비율은 Table 5와 같으며, 가자미류는 총 어획미수 중 약 59.8%의 어획률을 보였으며, 가자미류 중 90%이상이 물가자미였다. 물가자미의 망목별 체장계급에 따른 어획미수는 Fig.
10과 같다. 선택률이 1이 되는 최적의 전장/망목의 크기(#)의 값은 삼중 자망이 흩자망에 비해서 약 0.1 만큼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삼중자망의 어획체장이 같은 망목을 사용한 흩자망 보다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0% 선택구간은 삼중자망이 1.48, 홑자망이 1.02로 삼중자망이 흩자망에 비해서 약 1.5배 넓게 나타났으며, 선택성은 작은 체장 계급에서는 비슷하고 큰 체장계급에서는 선택성이 다소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최소성숙체장이 50%의 어획률을 가지는 적정 망목은 삼중자망의 경우 141㎜로, 홑자망의 경우 132mm로 나타났으며, 이들 망목으로 어획을 하였을 경우 50% 어획률을 가지는 체장범위는 삼중 자망의 경우 265㎜~474㎜로 나타났으며, 홑자망의 경우는 265㎜~398㎜로 나타났다.
따라서, 두 어구의 적정망목은 어종에 따라서는 상이하겠지만, 가자미를 주대상으로 했을 때는 삼중 자망이 흩자망에 비해 약 10m 정도의 더 크게 나타났으며, 현재 시험조업 해역에서 사용하고 있는 망목보다 크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어획 어종의 수에 있어서는 삼중자망이 약 30여 종, 홑자망이 약 20여 종으로 삼중자망의 혼획 비율이 약 1.
후속연구
삼중자망은 가자미 단일 어종을 대상으로 본다면 어느 정도의 선택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으나, 혼획어종이 홑자망에 비하여 많을 뿐더러 타 어종에 대해서는 별도의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9)
Fujimori, Y., Tokai, T., Hiyama, S. and Matuda, K.(1996): Selectivity and gear difficiency of trammel nets for kuruma prawn (Penaeus japonicus), Fisheries Research, 26, 113-114.
Tatsuro, M.(1991): A tank experiment on selectivity components of a trammel net for Tilapia mossambica, Bulletin of the Japanese Society of Scientific Fisheries, 57(7), 1331-1338.
Kitaha, T.(1968): Mesh selectivity curve of sweeping trammel net for Branguillos, Bulletin of the Japanese Society of Scientific Fisheries, 34(19), 759-76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