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ve naturalized species of taxa in Jeju such as Solanum ciliatum, Rubus fruticosus, Lepidium bonariens, Rudbeckia hirta, Solanum photeinocarpum have been found and given the Korea names. Among those species, four species such as Solanum ciliatum, Rubus fruticosus, Lepidium bonariense, Rudbeckia hir...
Five naturalized species of taxa in Jeju such as Solanum ciliatum, Rubus fruticosus, Lepidium bonariens, Rudbeckia hirta, Solanum photeinocarpum have been found and given the Korea names. Among those species, four species such as Solanum ciliatum, Rubus fruticosus, Lepidium bonariense, Rudbeckia hirta, Solanum photeinocarpum. are naturalized in Korea but have not been reported yet and Rudbeckia hirta has been cultivated as a garden plant on the mainland Korea but it is found in the natural environment on Jeju island in Korea. And so we report here that Rudbeckia hirta is a naturalized species.
Five naturalized species of taxa in Jeju such as Solanum ciliatum, Rubus fruticosus, Lepidium bonariens, Rudbeckia hirta, Solanum photeinocarpum have been found and given the Korea names. Among those species, four species such as Solanum ciliatum, Rubus fruticosus, Lepidium bonariense, Rudbeckia hirta, Solanum photeinocarpum. are naturalized in Korea but have not been reported yet and Rudbeckia hirta has been cultivated as a garden plant on the mainland Korea but it is found in the natural environment on Jeju island in Korea. And so we report here that Rudbeckia hirta is a naturalized specie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그러나 최근 국제공항을 통하여 외국인이 직접 들어오며, 그 외에 국내외 관광객의 옷이나 화물, 목초지의 종자수입 등으로 외국의 식물이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다수 들어오고 있다. 필자들은 제주도에서 미기록 한국귀화 식물을 발견하고 이들의 귀화를 확인하여 이를 보고 한다. 즉.
본 조사는 2000년 6월 25일부터 2001년 6월 28일 까지 현지 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제주도내의 전지역을 대상으로 지역별 귀화식물의 종류와 양을 조사하였다. 귀화식물의 동정은 박(1995)의 한국귀화 식물원색도감, Osada(1997) 의 일본원색귀화 식물도감을 이용하였고 조사과정에서 새로 제주도의 귀화가 확인된 5종에 한국명을 신칭 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조사는 2000년 6월 25일부터 2001년 6월 28일 까지 현지 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제주도내의 전지역을 대상으로 지역별 귀화식물의 종류와 양을 조사하였다.
원산지는 남아메리카이고, 유럽과 일본에도 귀화 되 었다(Osada, 1997). 필자는 2000년 10월 5일 제주도 성이시돌목장 및 동광검문소 근처 빈터 에 자라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국명은 도깨비가지(solanum carolinense)와 비슷하고 가시와 열매 그리고 잎이 커서 "왕도깨비가지" 로 新稱하였다.
유럽이 원산지며, 최근 일본에서는 재배하고 있다(Osada, 1997). 필자는 2001년 6월 26일에 제주시 오등동 오라골프장 옆 도로변에 자생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국명은 산딸기와 잎이 비슷하고 유럽 이 원산지 라서, 서 양산딸기' 라고 新稱하였다.
남아메리카 원산이며 , 유럽 (Stace, 1991)과 일본 (Osada, 1997)에 귀 화되었다. 필자는 2001년 5월 7일 제주 북제주 한경면 해안 절부암 근처에서 발견하였다. 잎이 국화잎처럼 갈라져서 국명을 '국화잎다닥 냉이'로 新稱하였다.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이다(Osada, 1997). 원예종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으며 필자는 2000년 6월 26일 제주 서부산업도로 자동차운전면허 시험장과 이시돌목장 근처에서 일출되어 야생화된 것을 발견하였다.
남아메리카 원산이며, 지리적으로 일본과, 대만, 중국의 남부에 분포하고 있다(Osada, 1997). 필자는 2001년 6월 28일 제주 남제주군 남원읍 하례리 해안 에서 확인하였다. 식물 명칭은 까마중과 비슷한 외부 형태 를 취하고 있어 민까마중' 이라고 新稱하였다.
이론/모형
제주도내의 전지역을 대상으로 지역별 귀화식물의 종류와 양을 조사하였다. 귀화식물의 동정은 박(1995)의 한국귀화 식물원색도감, Osada(1997) 의 일본원색귀화 식물도감을 이용하였고 조사과정에서 새로 제주도의 귀화가 확인된 5종에 한국명을 신칭 하였다.
원예종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으며 필자는 2000년 6월 26일 제주 서부산업도로 자동차운전면허 시험장과 이시돌목장 근처에서 일출되어 야생화된 것을 발견하였다. 국명은 원예종으로 불리우는 한국자원식 물명 총람 (강과 심, 1997)에 기재된 명칭을 이용하였다.
성능/효과
제주도의 인가 근처 , 길가, 목장지대 등의 각 지역별로 귀 화식물의 종류수와 양를 조사하던 중 제주도 미기록이면서 한국미기록귀화식물 5종이 발견되어 이 식물들을 동정하고 귀화를 확인한 후 한국명을 신칭하였다. 2000년 6월 26일에 스잔루드베키 아, 2000년 10월 5일에 왕도깨비가지, 2001년 5월 7일에 국화잎다닥냉이, 2001년 6월 26일에서 양산딸기, 2001년 6월 28일에 민까마중을 확인하였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