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미역취아재비와 미국풀솜나물
Two newly naturalized plants in Korea: Euthamia graminifolia (L.) Nutt. and Gamochaeta pensylvanica (Willd.) Cabrera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4 no.1, 2014년, pp.13 - 17  

지성진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정수영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홍정기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황희숙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박수현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양종철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장계선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오승환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이유미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화과에 속하는 미기록 귀화식물 2종이 강원도와 제주도에서 확인되었다. 미기록속인 미역취아재비속(Euthamia Nutt.)에 속하는 미역취아재비[Euthamia graminifolia (L.) Nutt.]가 강원도 인제군에서 발견되었다. 이 종은 선점이 있고 전연인 잎과 맥이 없는 통상화관에 의해 미역취(Solidago japonica Kitam.) 및 미국 미역취(S. gigantea Aiton)와 구별된다. 국명은 미역취와 유사하여 '미역취아재비'로 신칭하였다. 또한 미국풀솜나물[Gamochaeta pensylvanica (Willd.) Cabrera]이 제주도에서 발견되었다. 이 종은 개화기에 없어지는 근생엽과 더 짧은 내총포에 의해 자주풀솜나물[G. purpurea (L.) Cabrera]과 구분된다. 국명은 종소명을 고려하여 '미국풀솜나물'로 신칭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o naturalized plants belonging to Asteraceae (Compositae) were collected in Gangwon-do and Jeju-do. Euthamia graminifolia (L.) Nutt., a taxon of unrecorded genus Euthamia Nutt., was found in Inje-gun, Gangwon-do. This species can be distinguished from Solidago japonica Kitam. and S. gigantea Ait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art of the Korea National Arboretum’s The Naturalized forestry plants distribution monitoring and a study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KNA1-1-12, 13-2) projec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nderberg, A. A., B. G. Baldwin, R. G. Bayer, J. Breitwieser, C. Jeffrey, M. O. Dillon, P. Eldenas, V. Funk, N. Garcia-Jacas, D. J. N. Hind, P. O. Karis, H. W. Lack, G. Nesom, B. Nordenstam, Ch. Oberprieler, J. L. Panero, C. Puttock, H. Robinson, T. F. Stuessy, A. Susanna, E. Urtubey, R. Vogt, J. Ward and L. E. Watson. 2007. Compositae. In The Families and Genera of Vascular Plants, Vol. 8. Kubitzki, K. (ed.), Springer-Verlag, Berlin. Pp. 61-588. 

  2. Chen, Y. S., S. X. Zhu and R. J. Bayer. 2011. Gamochaeta. In Flora of China, Vol. 20-21. Wu, Z. Y., P. H. Raven and D. Y. Hong (eds.). Science Press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Beijing and St. Louis. Pp. 776-778. 

  3. DAISIE. 2009. Handbook of Alien Species in Europe, Vol. 3. Springer, New York. P. 156. 

  4. Drury, D. G. 1971. The American spicate cudweeds adventive to New Zealand: (Gnaphalium section Gamochaeta-Compositae). New Zealand Journal of Botany 9: 157-185. 

  5. Freire, S. E. and E. Urtubey. 2013. Gamochaeta beckii (Gnapha- lieae, Asteraceae): A new species from Bolivia. Systematic Botany 38: 259-265. 

  6. Gandhi, K. N. 1999. Nomenclatural novelties for the Western Hemisphere plants . Harvard. Papers in Botany 4: 295-299. 

  7. Haines, A. 2006. Euthamia. In Flora of North America, Vol. 20. Flora of North America Editorial Committee (ed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91-100. 

  8. Juzepczuk, S. V. 1959. Solidago. In Flora of the U.S.S.R, Vol. 25. Schishkin, B. K. (ed.). Izdatel'stvo Akademii Nauk SSR, Moskva-Leningrad. Pp. 31-50. 

  9. Mcneill, J. 1976. Solidago. In Flora Europaea, Vol. 4. Tutin, T. G. and V. H. Heywood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p. 110-111. 

  10. Nesom, G. L. 1990. The taxonomic status of Gamochaeta (Asteraceae: Inuleae) and the species of the United States. Phytologia 68: 186-198. 

  11. Nesom, G. L. 1999. Review of early nomenclature in Euthamia (Asteraceae: Astereae). Sida, Contributions to Botany 18: 1009-1018. 

  12. Nesom, G. L. 2000. Generic conspectus of the tribe Astereae (Asteraceae) in North America, Central America, the Antilles, and Hawaii. Sida, Botanical Miscellany 20: 1-100. 

  13. Nesom, G. L. 2004. New species of Gamochaeta (Asteraceae: Gnaphalieae) from the Eastern United States and comments on similar species. Sida, Contributions to Botany 21: 717-741. 

  14. Nesom, G. L. 2006. Gamochaeta. In Flora of North America, Vol. 19. Flora of North America Editorial Committee (ed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431-438. 

  15. Park, S. H. 1995.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P. 318. (in Korean) 

  16. Pellow, B., M. Henwood and R. Carolin. 2009. The Flora of the Sydney Region, 5th ed. Sydney University Press, Sydney. P.465. 

  17. Sieren, D. J. 1981. The taxonomy of the genus Euthamia. Rhodora 83: 551-579. 

  18. Sojima, A. 2003. Astereae. In Naturalized Plants of Japan. Shimizu, T. (ed.), Heibonsha Ltd., Publishers, Tokyo. Pp. 211-217. (in Japanese) 

  19. Strother, J. L. 2000. Who named Euthamia (Compositae Astereae) and when?. Sida, Contributions to Botany 19: 217-218. 

  20. Takahashi, H. 2003. Inuleae. In Naturalized Plants of Japan. Shimizu, T. (ed.), Heibonsha Ltd., Publishers, Tokyo. Pp. 222-224. (in Japa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