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밤나무 잎의 화학성분, 항산화 및 항균활성
Chemical Component,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hestnut(Castanea crenata) Leave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9 no.2, 2002년, pp.234 - 239  

정창호 (경상대학교 식품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허재연 (경상대학교 식품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심기환 (경상대학교 식품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밤잎의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으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밤잎의 화학성분, 항산화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총당 11.95%, 조지방 11.50%, 조섬유 10.11%, 조단백질 7.50% 및 회분이 1.79%순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무기성분으로는 Ca과 K으로 그 함량은 각각 215.7 mg%와 196.6 mg%로 나타났다. 비타민 C의 함량은 12.5 mg%였으며, 유리당glucose 3.33%, fructose 0.25%, sucrose 0.022% 함유되어 있었다. 밤잎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로 그 함량은 36.86%로 나타났다. 밤나무 잎의 주된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295.4 mg%), proline(285.7 mgg%), aspartic acid(245.5 mg%), arginine(240.8 mg%), phenylalanine(237.4 mg%) and leucine(230.6 mg%)로 나타났으며,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48.3%이었다. 항산화 효과는 용매별 추출물에서는 methanol 추출물이 72.52%, 용매분획 추출물에서는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84.12%로 각각 높게 나타났다. 각종 용매별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메탄을 추출물이 높게 나타났으며, 용매분획별 추출물에서는 ethyl acetate 분획층에서 다른 분획보다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study the potential of the chestnut(Castanea crenata S.) leaves, as raw materials for functional food and medicine, chemical components,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carried out. The proximate composition was composed of total sugar 11.95%, crude fat 11.50%, crude fiber 10.1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국내의 고유 전통식품이나 천연자원 및 부산물로부터 기능성을 갖는 다양한 물질을 탐색하여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 측면, 새로운 기능성을 함유한 식품개발 및 국민보건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밤잎의 활용 방안을 높이기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특히 경남 지역에 많이 생산되고 있는 밤잎을 이용하여 그 화학성분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새로운 기능성 소재를 탐색하기 위한 일환으로 밤잎의 각종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및 항균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김창민, 신민교, 안덕균, 이경준. (1998) 중약대사전. 도서출판 정담, p. 4374-4375 

  2. Lee, T.B. (1994)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oon Press, p. 273 

  3. Roberto, C. (1984) The macdonald Encyclopedia of Medical Plants, No. 72. Macdonald Press, London, UK 

  4. Ahn, D.K. (1998) Illustrated Book of Korean Medicinal Herbs. Kyo-Hak Publishing Co., p. 718-719 

  5. Choi, O.B., Yoo, G.S. and Park, K.H. (1998) The processing of a tea with Castanea crenata leaves and its chemical composition. J. Kor. Tea Soc., 3(2), 105-115 

  6. Choi, O.B., Kim, K.M., Yoo, G.S. and Park, K. H. (1998) Anti-allergic effects of Castanea crenata leaf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468-471 

  7. Choi, O.B., Yoo, G.S. and Park, K.H. (1999)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water extracts with Castanea crenata leaf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128-1131 

  8. Choi, Y.H., Kim, J.H and Kim, M.J. (2000) Antioxidative compounds in leaves of Castanea crenata S. et Z. Korean J. Medicinal Crop Sci., 8, 373-377 

  9. Israel Goldberg. (1994) Functional Foods, Chapman & Hall Press, New York, USA. p.3-550. 

  10. Pszczola, D.E. (1993) Designer food. Food Technology, 47, 92-101 

  11. Sadaki, O. (1996)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and materials. Bioindustry, 13, 44-50 

  12. Elliott, M.Jr. (1996) Biological properties of plant flavonoids:An overview. J. Pharmacognosy, 34, 344-348 

  13.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4. 보건사회부. (1994) 식품공전. p. 790 

  15. Choi, J.H., Jang, J.G., Park, K.D., Park, M.H. and Oh, S.K. (1981)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free sugars in ginseng and its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13, 107-113 

  16. Metcalf, L.D., Schmits, A.A. and Pelka, J.R. (1966) Rapid preparation of fatty acid esters from lipids for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Anal. Chem., 38, 514-515 

  17.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5, 1199-1120 

  18. Farag, R.S., Daw, Z.Y. Hewei, F.N. and El-Baroty G.S.A. (1989)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Egytion spice essential oils. J. Food. Prot., 52, 665-671 

  19. Bae, Y.I. and Shim, K.W. (1998) Nutrition components in different parts of Korean loquat(Eriobotrya japonica Lindl.).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5, 57-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